• 제목/요약/키워드: CAD/CAM 수복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5초

심한 교모와 구치부 상실을 보이는 환자의 전악 수복: Jaw motion tracking과 digital workflow를 활용한 증례 보고 (Full-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trited dentition with missing posterior teeth: a case report using digital workflow with jaw motion tracking)

  • 박찬영;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93-307
    • /
    • 2023
  • 최근 다양한 증례 보고에서 소개되고 있는 jaw motion tracking은 환자의 안궁 이전 및 개별화된 하악 운동 경로를 기록한 후, 이를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소프트웨어의 가상공간상에 재현하는 방법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오랜 기간 구치부의 상실로 인해 교합평면의 붕괴가 관찰되었기에,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술을 계획하였다. 우선 jaw motion tracking을 진행하여 새로운 중심위 상에서 환자의 하악 운동을 기록한 후, 이 정보를 환자의 초진 구내 데이터 및 3차원 안면 스캔 데이터와 조합하여 가상 환자를 생성하였다. 가상 환자 상에서 진행한 디지털 왁스업과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바탕으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수직 교합 고경 상에서 적절한 견치 유도를 보이는 임시 보철물의 검증을 통해,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이처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는 저작능과 심미성의 개선에 만족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구치 단일임플란트 수복에서 임플란트 길이에 따른 치관-임플란트 비율이 임플란트안정성 및 변연골소실에 주는 영향 (Influence of crown-to-implant ratio of short vs long implants on implant stability and marginal bone loss in the mandibular single molar implant)

  • 백연화;김봉주;김명주;권호범;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280-289
    • /
    • 201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의 길이 및 치관-임플란트 비율(crown-to-implant (C/I) ratio)이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량(MBL)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자로 하악 구치부에 단일치를 상실한 46명의 환자를 선별하였다. 대조군에는 총 19개의 직경 5.0 mm, 길이 10 mm의 임플란트(CMI IS-III $active^{(R)}$ long implant)를 식립하였고, 실험군에는 직경 5.5 mm, 길이 6.6, 7.3, 8.5 mm의 임플란트 총 27개(CMI IS-III $active^{(R)}$ short implant)를 식립하였다. 각각의 임플란트는 디지털 방식으로 술 전 제작한 수술가이드를 사용하여 식립하였고 임시보철물을 장착하여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에 CAD-CAM 방식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최종 수복하였다. 술 후 48주에 ISQ 값과 변연골 소실량을 측정하여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ISQ 및 변연골 소실량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그룹 모두 안정도 및 변연골 소실량 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술 후 48주에 측정한 두 그룹간 ISQ와 변연골 소실량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안정성 및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변연골 소실량 간에 어떤 상관관계도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결론: 두 그룹의 하악 단일 임플란트에서 치관-임플란트 비율은 안정성 및 변연골 소실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높이가 부족한 하악에서 단일 임플란트 수복 시, 짧은 임플란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치관-임플란트 비율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조건 하에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implant fixed prosthesis: A case report)

  • 정병석;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8-346
    • /
    • 2018
  • 엇갈린 교합 환자의 치료 방법은 피개의치, 이중관 의치를 사용하여 치료하거나 결손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 지지를 회복해주는 방법이 있다. 잔존 치조골의 양이 양호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지지 및 기능,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증례는 발치 후 심한 치조골 흡수가 동반되어 좌우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수직, 수평적 치조골 증대술을 실시하였다. 이후, 보철적으로 이상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시 보철물로 환자의 고유의 기능 및 심미를 평가한 후 이를 반영할 수 있는 double scann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엇갈린 교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였으며, 저작 및 심미를 회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과 임플란트에서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의 응력분석 및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Stress Analysis and Fatigue Failure of Prefabricated and Customized Abutments of Dental Implants)

  • 김희은;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3
    • /
    • 2013
  • 하악 제 1대구치에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소재의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해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경우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통해 응력 분포를 분석해 보고, 피로 파절 강도 및 파절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정상교합자의 CT scan을 재구성한 하악골 모형상에 제 1대구치 임플란트 지지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6가지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고, 협측 교두 중앙에 수직과 30도 각도로 100 N의 하중을 가하는 조건으로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지대주를 이용하여, 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ISO 14801에 따라 피로파절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대주나 고정체의 재질에 따른 응력분포의 차이는 없었고 형태에 따른 응력크기의 차이만 보였다. 맞춤형 지대주 군이 전반적으로 낮은 크라운 응력을 나타내었으며, 지대주 일체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는 계면 골조직의 응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피로수명의 평균값은 7군이 가장 높았고, 1군, 2군, 3군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기성 지대주 군은 피로수명의 편차가 적게 나타났다. 구치부의 임플란트 수복 시에는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이 상부 보철물의 파절저항성 향상에 유리하며, 심미적 요구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정체와의 접합부를 티타늄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을 고려해 볼 만 하다.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가이드 수술 방식을 이용한 무피판절개 임플란트 식립증례: 증례보고 및 5년 추적관찰 (Flapless implant placement with digital 3D imaging and planning system in full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and 5-year follow-up)

  • 신미선;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12-320
    • /
    • 2019
  •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진료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가 디지털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수술용 스텐트를 제작,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분야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임플란트 치료계획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술용 가이드는 예지성과 심미성, 기능성을 갖춘 임플란트의 식립과 수복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가이드 수술은 임플란트 수복물의 형태와 기능을 고려한 임플란트의 식립 시 더욱 유리하다. 최근 여러 제조사에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치과용 스캔부터 제작방법까지 다양한 디지털 방식의 제작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정확하고 예지성 있는 예후를 위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번 증례는 완전무치악의 여성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증례이다. 하악은 all-on-four 방식을 적용하여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상악은 이에 기초하여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최종보철물에 기초한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해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를 이용하였으며, 환자는 치료 결과에 만족하였으며, 5년 추적관찰 결과, 임플란트와 보철물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악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Application of various digital technique on full mouth rehabilitation: A case report)

  • 배민수;송광엽;안승근;박주미;이정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3-54
    • /
    • 2021
  • 디지털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보철 수복치료에 있어서도 많은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구강스캐너와 3D printing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더 나아가 안면스캔 기술 또한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37세 여성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되고 장착되어 충분히 평가된 전악 고정성 임시수복상태를 구강스캐너와 안면스캐너, 3D printing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모와 조화를 이루는 최종보철물로 이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교합을 회복하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임시 의치와 이중 디지털 스캐닝 기법을 활용한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ing temporary denture and double digital scanning technique: a case report)

  • 신석현;박찬익;강세하;문지은;오민석;박철민;전우진;한성구;김선재;최수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45-256
    • /
    • 2023
  •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 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복할 때, 3차원적인 임플란트 위치의 구내 스캔과 임시 의치 혹은 임시 보철물 장착 후 구내 스캔을 이용한 이중 디지털 스캐닝(double digital scanning) 기법이 필요하다. 구내 스캔 시, 스캔 바디를 안정적인 랜드마크로 이용하면 다지털 인상의 정확도 향상과 기공과정이 효율적이고 단순화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완전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여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임시 보철물, 최종 보철물을 계획하고 제작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에 체결한 구내 스캔 바디와 임시 의치 조직면에 인기 된 구내 스캔 바디의 스캔 영역을 중첩하였다. 중첩된 파일에서 임시 의치의 수직 고경에 맞는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와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에게 시적 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토대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시 의치 제작 시 설정한 수직 고경, 중심위 등을 최종 보철물까지 활용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지르코니아 강화 리튬 실리케이트 세라믹의 특성과 임상적용 (Material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 of zirconia-reinforced lithium silicate ceramics)

  • 김종은;김지환;심준성;박영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3호
    • /
    • pp.159-166
    • /
    • 2018
  • 지르코니아 강화 리튬 실리케이트 세라믹 재료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e.max(리튬디실리케이트 세라믹) 재료에 비하여 더 개선된 강도를 지니고 있다. 단일 크라운의 수복에 사용될 수 있으며, 1.5mm 의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예지성 있는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Celtra Duo의 경우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강도나 마모 저항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접착을 위해서는 불산의 처리가 도움이 되며, 너무 짧은 시간의 불산은 접착 강도의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의 불산 처리가 필요하다. 지르코니아 강화 리튬 실리케이트 세라믹 재료는 실험실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출판되고 있지만, 아직 신뢰할만한 임상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추가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 PDF

선양낭포암 환자에서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와 인두 폐쇄장치를 이용한 악안면 수복증례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of adenoid cystic carcinoma patient using full mouth fixed implant and pharyngeal obturator: a clinical report)

  • 반민희;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51-357
    • /
    • 2016
  • 상악절제술 후 환자들의 재건 치료는 쉽지 않은 과정이다. 상악골 결손은 저작, 발음, 연하 장애를 초래하여 기능적인 회복이 필요하다. 폐쇄장치 제작의 목표는 결손부를 대체하여 구강기능을 회복하고 환자에게 편안함과 심미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증례에서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인두 폐쇄장치 제작 후 획득한 저작력과 심미성 그리고 개선된 유지력을 보고하고자 한다.

열 가압 방식을 사용하여 제작된 인레이 세라믹 수복물의 적합도 평가 (Assessment of inlay ceramic restorations manufactured using the hot-pressing method)

  • 이범일;유승규;유승민;박동인;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1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lithium disilicate ceramic inlay produced by heat pressing that inlay pattern made by subtractive manufacturing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Methods: A mandibular lower first molar that mesial occlusal cavity (MO cavity) die was prepared. After fabricating an epoxy resin model using a silicone impression material, epoxy resin die was scanned with a dental model scanner to design an MO cavity inlay. The designed STL pile was used to fabricate wax patterns and resin patterns, and then lithium disilicate ceramic inlays were fabricated using hot-press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the lithium disilicate, silicone replica method was applied, and gap was measured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x 80). Data were test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using the Mann-Whitney Utest. Results: The marginal fit was 103.56±9.92㎛ in the MIL-IN group and 81.57±9.33㎛ in the SLA-IN gro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 internal fit was 120.99±17.52㎛ in the MIL-IN group and 99.18±6.65㎛ in the SLA-IN gro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It is clinically more appropriate to apply the additive manufacturing than subtractive manufacturing method in producing lithium disilicate inlay using CAD/CAM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