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5G7

검색결과 6,095건 처리시간 0.043초

Cephalosporin C 내성과 7-Aminocephalosporanic Acid 감수성을 지닌 균주의 선발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ephalosporin C Resistant and 7-Aminocephalosporanic Acid Sensitive Strain)

  • 김욱현;박용춘;임재윤;김영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6-558
    • /
    • 1995
  • A strain which showed cephalosporin C resistance and 7-aminocephalosporanic acid sensitivity was isolated from nature. Among the isolates, SS5 was sensitive to cephalosporin C, penicillin G, ampicillin, 7-aminocephalosporanic acid, 6-aminopenicillanic acid, and 7-aminodeacetoxy cephatosporanic acid at concentrations of 1,000 $\mu $g/ml, 2,000 $\mu $g/ml, 3,000 $\mu $g/ml, 30 $\mu $g/ml 100 $\mu $g/ml and 100 $\mu $g/ml, respectively. But SS5 was sensitive at very low concentration of chloramphenicol,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Since SS5 was sensitive to 7-ACA (30 $\mu $g/ml) and didn't have $\beta $-lactamase activity on the cephalosporin C, SS5 could be useful as an indicator strain for the production of 7-ACA, which is an important precursor for the synthesis of many semisynthetic cephalosporins.

  • PDF

Polyoxygenated Flavones; Synthesis, Cytotoxicities and Antitumor Activity against ICR Mice Carrying S-180 Cells

  • Song, Gyu-Yong;Ahn, Byung-Z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6호
    • /
    • pp.440-448
    • /
    • 1995
  • Fitty two flavones were synthesized from polyoxygenated dibenzoylmethanes which were obtained by a modified Baker-Venkatarman rearrangement, of 2-benzoyl oxyacetophenones. The following flavones among them showed good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L1210 and HL60 cells ; 2'-benzoyloxy-5,7-dimethoxyflavone $(8.2{\mu}g/ml,{\;}5.0 {\mu}g/ml)$, 2'-benzyloxy-5,7,8-trimethoxyflavone $(5,9 {\mu}g/ml,{\;}11.0{\mu}g/ml,{\;}2.7{\mu}g/ml)$, 2'-hydroxy-5,7,8-trimethoxyflavone $(9.8{\mu}/ml,{\;}6.2{\mu}g/ml)$, 2'-benzyloxy-5-hydroxyflavone $(5.2 {\mu}g/ml,{\;}3.6{\mu}g/ml)$, and 5,2'-dihydroxyflavone $(5.1{\mu}g/ml,{\;}4.0{\mu}g/ml)$. Presence of 5-methoxy group potentiated the cytotoxic activity, while the existence of 7-methoxy group decreased the activity. 5-Hydroxy or methoxy activates 4-carbonyl group, while 7-methoxy group deactivates the acrbonyl group. From these observ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activation of carbonyl group at C-4 of a flavone is important for the enahncement of the cytotoxic activity. The presence of both 5-hydroxy and 2-benzyloxy-or 2-hydroxy group enhanced the antitumor activity; 2'-benzyloxy-5-hydroxy-7-methoxyflaone 9T/C=144%), 5.2'-dihydroxy-7-methoxyflavone (T/C=132%) and 5,2'-dihydroxy-6,78,6' trtramethoxyflvone (T/C = 172%) 2'hexanolytion of 5,2'-dihydroxy-flavones did not improve the natitumor activity; 2' hexanoyloxy-5-hydroxy-7-methoxyflavone showed T/C = 132%, about the same as that of 5,2'-dihydroxy-7-methoxyflvone (T/C=130%)

  • PDF

Identification of the Marker-Genes for Dioxin(2, 3, 7, 8- tetradibenzo-p-dioxin)-Induced Immune Dysfunction by Using the High-Density Oligonucleotide Microarray

  • Kim, Jeong-Ah;Lee, Eun-Ju;Chung, In Hye;Kim, Hyung-Lae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권2호
    • /
    • pp.75-80
    • /
    • 2004
  • In a variety of animal species, the perinatal exposure of experimental animals to the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leads to the immune dysfunction, which is more severe and persistent than that caused by adult exposure. We report here the changes of gene express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marker-genes representing the dioxin exposure. The expressions of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the 11 K oligonucleotide­microarray from the bone marrow cells of male C57BL/6J mice after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mu}g$ TCDD/kg body weight at various time intervals: gestational 6.5 day(G6.5), 13.5 day(G13.5), 18.5 day(G18.5), and postnatal 3 (P3W)and 6 week (P6W). The type of self-organizing maps(SOM) representing the specific exposure dioxin could be identified as follows; G6.5D(C14), G13.5D(C0, C5, C10, C18), G18.5D(7): P3W(C2, C21), and P6W(C4, C15, C20). The candidate marker-genes were restricted to the transcripts, which could be consistently expressed greater than $\pm$2-fold in three experiments. The resulting candidates were 85 gene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were involved in cell physiology and cell functions such as cell proliferation and immune function. We identified the biomarker-genes for dioxin exposure: smc -like 2 from SOM C14 for the dioxin exposure at G6.5D, focal adhesion kinase and 6 other genes from C0, an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4a2 and 3 other genes from C5 for G13.5D, platelet factor 4 from C7 for G18.5D, fos from C2 for P3W.

Bacillus polymyxa KS-1에 의한 다당류 KS-1 생산의 발효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Exopolysaccharide KS-1 Produced by Bacillus polymyxa KS-1)

  • 권기석;윤병대주현규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41-448
    • /
    • 1995
  •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균주인 Bacillus polymyxa KS-1을 이용하여 이들이 생산하는 미생물 생 다당듀 KS-1의 생산을 위한 배지 및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다당류 KS-1의 생산을 위한 애지의 조성은 증류수 1 liter당 glucose 30g, yeast extract $2.5g, KH_2PO_4 2.5g, NaCl 0.5g, MgSO_4.7H_20 0.3g, CaC0_3 0.05g, FeSO_4.7H_2O 0.05g, 그리고 MnS0_4 . 4H_20 0.05g$ 이 첨가된 배지에서 높은 정성 벚 다탕류 생산 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배양조건은 초기 pH와 배양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 C에서 다당류 생산이 가 장 좋은 갯으로 조사되였다. 또한 이상의 최적조건 에서 발효조를 이용한 경우 통기량 빛 교반속도를 각각 2vvm과 400rpm으로 조절하여 배양한 경우 생산량은 liter당 약 10.3g의 다당류 KS-1이 얻어졌다.

  • PDF

지렁이를 이용한 퇴비화 조건과 분변토의 비료성·안전성에 관한 연구 (Vermicomposting Condition and Safety/Fertility of Earthworm Casts)

  • 송준상;이길철;전성환;최훈근;조경희;김선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1권1호
    • /
    • pp.85-102
    • /
    • 1993
  • 본보는 분뇨처리장에서 잉여 슬러지로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를 지렁이 먹이로 활용하여 처리하는 폐기물 자원화 기술의 하나인 Vermicomposting 방법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기 위한 온도, pH, 사육밀도의 적정사육조건과 Vermicomposting 의 부산물인 분변토의 비료성분과 안전성을 조사하였는데 지렁이 생존율은 온도 $10-15^{\circ}C$ 에서 98.3%, pH 5.8-7.5에서 75% 및 밀도 $1/79.8cm^3$에서 100%였다. 지렁이 생체량 변화는 온도 $10-15^{\circ}C$에서 266%, pH 5.8-7.5에서 227% 및 밀도 $1/79.8cm^3$에서 325% 로 많이 증가하였으며, 지렁이 분변토 발생량은 온도 $20-25^{\circ}C$에서 0.06 g/cap./day, pH 5.8-7.5에서 0.065 g/cap./day 및 밀도 $1/79.8cm^3$에서 0.1 g/cap./day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렁이 난포 생산은 온도 $10-15^{\circ}C$에서 3.8 ea./cap./6weeks, pH 5.8-7.5에서 2.95 ea./cap./6weeks 및 밀도 $1/79.8cm^3$에서 3.16 ea./cap./6weeks로 많이 생산되었으며, 지렁이의 먹이로 공급된 슬러지와 먹고 배설한 분변토의 pH는 6.2에서 5.7로 낮아지며 휘발성 고형물질은 2.9%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H_3-N$$6.984{\mu}g/g$에서 $0.991{\mu}g/g$으로 감소한 반면, $NO_3-N$$3.213{\mu}g/g$에서 $7.706{\mu}g/g$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렁이 분변토 중의 분원성 대장균은 슬러지에서 보다 88.6-99.1% (평균 95.7%)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병원성 장내세균인 Salmonella, Shigella, Vibrio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Vermicomposting 기술은 유기성 슬러지를 재이용함과 동시에 폐기물을 처리하는 효과가 있으며 앞으로 이를 보급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에 중요 분야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알칼리 처리 및 가열, 저장에 따른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류독 성분 특성 및 제독 (Detoxification and Paralytic Shellfish Poison Profile with Heating, Storage and Treatment of Alkaline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장준호;윤소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2-218
    • /
    • 2006
  • 독화된 진주담치 (blue mussel, Mylilus edulis)를 pH 처리, 온도별 저장 그리고 가열에 의한 마비성 패류독의 독성과 독조성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pH 3으로 조절한 시료가 14.1 MU/g$(100\%)$으로 가장 높은 독성이 검출되었고, pH 5는 12.9 MU/g$(92.1\%)$, pH 7은 9.0 MU/g$(63.8\%)$으로 검출되었으나, 마비성 패류독은 독성이 불안정한 알칼리 조건인 pH 9에서는 3.6 Mu/g$(25.5\%)$, pH 10은 0.8 Mu/g$(5.7\%)$으로 독성 이 검출되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독성은 pH(3, 5, 7, 9) 그리고 온도(30, -5, $20^{\circ}C$)에서 5일$(19.9\~65.3\%)$까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5일 후부터 30일까지는 약간의 독성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더 높은 온도에서 저장에서는 독성이 더 빨리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분인 C군(C1, C2)과 GTX1,2,3,4, STX 그리고 dcSTX으로 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8개의 독성분 중에서 GTX1,4, STX 그리고 dcSTX는 모든 가공 조건에서 독성이 감소함에 따라 제일 먼저 감소하였다. 독성이 기준 독성치(4 MU/g)보다 3배 이상이더라도 마쇄된 패류 육에 pH를 알칼리 (pH 7이상)로 처리하고, 10분의 가열에 의해 독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성장단계 별 수온에 따른 배합사료 섭취율 (Daily feeding Rates of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Fed Extruded Pellet at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 김경민;이정의;김재우;한석중;김경덕;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4-298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양식품종인 돌돔을 대상으로 배합사료 급이체계를 구축하여 자동화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실시하였는데, 돌돔을 대상으로 체중이 배수로 증가하도록 성장 단계를 설정하여 각 단계에서 수온별 최대 배합사료 섭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돔 성장단계를 체중에 따라 $10{\sim}30\;g$, $40{\sim}60\;g$, $70{\sim}120g$, $130{\sim}240$, $250{\sim}480\;g$, 480 g 이상으로 나누고, 평균수온 $15.1^{\circ}C$, $16.0^{\circ}C$, $19.2^{\circ}C$, $22.5^{\circ}C$, $23.0^{\circ}C$, $24.7^{\circ}C$, $26.5^{\circ}C$에서 최대 섭취량을 구하였을 때 $10{\sim}30\;g$ 돌돔의 일일사료섭취율은 $15.1^{\circ}C$에서 어체중의 2.24%였으나 수온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여 6.04%까지 섭취하였다. $30{\sim}60\;g$의 돌돔은 일일섭취율이 $15.1^{\circ}C$일 때 어제중의 1.14%를 섭취하였으나, 고수온기일 때는 3.85%까지 섭취하였다. 체중 $240{\sim}480\;g$의 돌돔의 일일사료섭취율은 $15.1^{\circ}C$에서 어체중의 0.48%, $26.5^{\circ}C$에서 2.06%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상추에 인위접종된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과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저온 플라즈마와 UV-C의 살균 효과 (Combined Effect of Cold Plasma and UV-C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Lettuce)

  • 성지영;박미정;권기현;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4-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양상추에 접종된 E. coli O157:H7, S. Typhimurium과 L. monocytogene에 대하여 저온 플라즈마와 UV-C 단독처리 및 병행처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는 양상추에 초기 농도가 5.82, 5.09, 5.65 log CFU/g이 되도록 각각 접종하였다. 저온 플라즈마와 UV-C를 처리된 양상추는 $4^{\circ}C$에서 9일간 보관하며 미생물학적 분석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저온 플라즈마 처리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의 개체 수를 각각 0.26, 0.65, 0.93 log CFU/g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UV-C 처리 시 각각 0.87, 0.88, 1.14 log CFU/g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UV-C 처리 후 저온 플라즈마를 처리한 병행처리에서는 각각 1.44, 2.70, 1.62 log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저온 플라즈마와 UV-C 단독처리 보다는 병행처리가 좀 더 효과적으로 균을 저감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외관, 질감, 전체적인 수용도 면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보관 6일까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저온 플라즈마와 UV-C 병행처리는 양상추에 존재하는 균을 저감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시판 동물성 식품의 오염지표세균 분포 및 저장온도, 기간별 오염지표세균의 변화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 Commercial Animal Foods)

  • 이용욱;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0-440
    • /
    • 1998
  • 식육류에서의 오염지표세균의 분포를 보면 돈육에서는 일반세균 19/g, 대장균군 1.8/g, 저온세균 15/g, 종석영양세균 12/g, 분원성연쇄상구균 6.2/100 g, 슈도모나스 13/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 및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육에서는 일반세균수 $1.3{\times}10^{2}/g$, 대잔균군 5.2/g, 저온세균 $1.4{\times}10^{2}/g$, 종속영양세균 28/g, 포도상구균 1.2/g, 분원성연쇄상구균 9.5/100 g, 슈도모나스균 1.9/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계육은 일반세균수 $8.8{\times}10^{3}/g$, 대장균군 53/g, 저온 세균 $4.6{\times}10^{3}/g,\;종속영양세균\;4.7{\times}10^{3}/g$ 분원성연쇄상구균 9.9/100g, 슈모나스균 1.5/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 및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유에서는 일반세균 $4.7{\times}10^{3}/m;\l,\;저온세균\;1.2{\times}10^{2}/ml,\;종속영양세균\;4.2{\times}10^{2}/ml$이었으며, 대장균군,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분원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치즈에서는 일반세균 3.2/g, 저온세균 2.3/g, 종속영양세균 1.6/g, 포도상구균 1/g, 분원성연쇄상구균 9.1/100g 이었으며,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치즈에서는 일반세균 3.2g, 저온세균 2.3/g, 종속영양배균 1.6/g, 포도 상구균 1/g, 분원성연쇄상구균 9/100 g이었으며, 대장균군, 내열성세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유에서는 유산균의 영향을 받아 일반세균수 $1{\times}10^{7}/ml,\;내열성세균\,1.0{\times}10^{6}/ml,\;분원성연쇄상구균\;2.4{\times}10^3/100\,m;,\;유산균수\;3.2{\times}10^{15}/ml$이었으며,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 밖의 햄, 소시지, 버터, 계란, 메추리알에서는 오렴지표세균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시판동물성 식품을 $10^{\circ}C,\;20^{\circ}C\;30^{\circ}C$에서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오염지표세균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식육류는 $1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 저온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균수가 증가하였으나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분별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2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및 분변성연쇄상구균은 7일 보존시 가장 높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약간 증가하였다. $30^{\circ}C$에서 보존할 경우에는 3일부터 7일 사이에 가장 높은 균수를 나타내었고, 7일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육가공품은 $1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17일 보존시 $10^{1}/g$ 수준까지 증가하였을 뿐이었고, $2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저온세균 및 종속영양 세균이 $10^{5}/g$ 수준정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지표세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3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20^{\circ}C보다\;10^{2}/g$ 수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을 뿐이었다. 우유류는 저온 살균처리에 의해 일반세균, 저온 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이 $10^{\circ}C\;보존시\;10^{4}/ml$ 수준까지 증가하였을 뿐 대장장균군, 포도상구균, 분변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전혀 검출도지 않았다. $20^{\circ}C와\;30^{\circ}C$에서는 빠른 속도로 균수가 증가한 후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

Grazing on Bacteria and Algae by Metazoans in the Lake-river Ecosystem (River Spree, Germany)

  • Kim, Hyun-Woo;Joo, Gea-Jae;Walz, Norbert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11-115
    • /
    • 2008
  • Direct effects of zooplankton grazing activities on the natural assemblage of bacterioplankton and algae were evaluated at monthly intervals, from June to October of 2000, in the middle part of the River Spree, Germany. We quantified bacterioplankton, algae, zooplankton abundance and measured carbon ingestion rates (CIRs) by zooplankton according to two zooplankton size classes: (i) micro zooplankton (MICZ), ranging in size from 30 to $150{\mu}m$ and including rotifers and nauplii, excluding protozoans and (ii) macrozooplankton (MACZ), larger than $150{\mu}m$ and including cladocerans and copepods. CIRs were measured using natural bacterial and algae communities in the zooplankton density manipulation experiments. Algae biomass (average${\pm}$SD: $377{\pm}306{\mu}gC\;L^{-1}$, n=5) was always higher than bacterial biomass ($36.7{\pm}9.9{\mu}gC\;L^{-1}$, n=5). Total zooplankton biomass varied from 19.8 to $137{\mu}gC\;L^{-1}$. Total mean biomass of zooplankton was $59.9{\pm}52.5{\mu}gC\;L^{-1}$ (average${\pm}$SD, n=5). Average MICZ biomass ($40.2{\pm}47.6{\mu}gC\;L^{-1}$ n=5) was nearly twofold higher than MACZ biomass ($19.6{\pm}20.6{\mu}gC\;L^{-1}$ n=5). Total zooplankton CIRs on algae (average${\pm}$SD: $56.6{\pm}26.4{\mu}gC\;L^{-1}\;day^{-1}$) were $\sim$fourfold higher than that on bacteria $(12.7{\pm}6.0{\mu}gC\;L^{-1}\;day^{-1})$. MICZ CIRs on bacteria $(7.0{\pm}2.8{\mu}gC\;L^{-1}\;day^{-1})$ and algae $(28.6{\pm}20.6{\mu}gC\;L^{-1}\;day^{-1})$ were slightly higher than MACZ CIRs. On average, MICZ accounted for 55.6 and 50.5% of total zooplankton grazing on bacteria and algae,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MICZ and MACZ CIRs, the relative role of transferring carbon to higher trophic levels were nearly similar between both communities in the lake-river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