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striat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점줄종개(Cobitis lutheri) 와 줄종개(C.striata)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rudy of the Combitid Fish, Cobitis Iutheri Rendahl and C. striata Ikeda (Cobitidae) from Korea)

  • 김익수;이금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2호
    • /
    • pp.91-102
    • /
    • 1988
  • Both Cobitis lutheri Rendahl and C.striata Ikeda previously regarded as the subspecies of C.taenia are revised here and raised to the species rank based on the distinct color pattern on their body sides in relation to the shpae of lamina circularis and suborbital spine, and distinct distributional patter. C. lutheri was similar to C. striata in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but chromosomal polymorphism as Robert sonian event was confirmed only in the population of C.lutheri studies. Both, C. kutheri and C..striata have disjunct ranges : the former in western Korea and east-northern China Mainland, the latter in the Smjin River of korea and west-southern Japan. hybridization between C. lutheri and C. striata by secondary contact appeared in the limited zone of the Dongjin River, Chllabuk-do province, korea, but the evidence for habitat segregation between them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natural hybridization occurs between the two species and introgression results. We consider that the two species were produced as ecological equivalent species in the different branch stream of the Paleo-Hwangho River , The time of recession of sea level during the gracial period.

  • PDF

RAPD를 이용한 자란(Bletilla striata)의 유전적 다형성 분석 (Identification of the Genetic Polymorphism of Bletilla striata Using RAPD)

  • 경윤정;윤미정;박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2호
    • /
    • pp.103-106
    • /
    • 2000
  • RAPD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자생 자란과 일본자생 자란의 유전적 다형성을 연구하였다. PCR 결과 156개의 재현성을 보이는 band를 얻었으며 그 중 58개가 다형성을 보였고 98개는 단일성을 나타냈다. 유연관계 분석 결과 자란은 세가지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그룹은 국내 A(자생일반종), B(목포산 자생 반엽종), C(자생 반엽종) 그리고 일본품종 D와 E(일본자생 일반종)가 속한다. 국내 무늬종 B와 C의 유사도 0.806, 일본품종 D와 E는 0.77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그룹은 일본품종 G(일본자생 왜성종)만이 분류되었다. 그리고 세 번째 그룹은 일본자생 무늬종인 F와 H(일본자생 무늬종)가 포함되었다.

  • PDF

기름종개속 Cobitis(어강, 미꾸리과) 어류 5종의 난막 (Egg Membrane in Five Cobitid Species of Cobitis (Pisces : Cobitidae))

  • 박종영;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129
    • /
    • 1997
  • 기름종개속 Cobitis 어류 5종의 부착막의 미세구조(adhesive membrane)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성숙란을 조사한 결과, 난황형성시기인 난황구 후기의 zona radiata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형태의 부착막 구조가 존재하였다. Cobitis lutheri, C. striata, C. sinensis 그리고 C. sinensis-longicorpus는 과립형(granular form)을 보였으며 C. melanoleuca는 융모형(villous form)을 보였다. 그러나 C. lutheri와 C. striata 그리고 C. sinensis, C. sinensis-longicorpus는 같은 과립형의 부착막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들 과립의 크기와 분포 수 그리고 난막의 미세구조에서 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기름종개속 어류의 난막과 부착막 구조는 그들의 서식처와 산란습성에 관련된 종의 특이성을 보여 주고 있어서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 PDF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8. Cobitis taeni complex mtDNA의 유전적 분화와 분류학적 위치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8.Mitochondrial DNA Differentia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e Cobitis taenia Complex)

  • 김재흡;민미숙;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29-36
    • /
    • 1997
  • 한국산 기름종개속 어류중 Cobitis taenia complex의 집단간 유전적 차이에 따른 종 분화 여부를 밝히고자 6개 집단을 대상으로 mitochondrial DNA(mtDNA)의 RFLP분석을 실 시하였다. C. taenia complex mtDNA를 10개의 6-base cutting 제한효소로 처리한 다음 그 절편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6개 집단 공히 mtDNA 의 전체 genome 크기는 약 17.0$\pm$ 0.5Kbp였으며 공동절편수(F)에서 C. t. taenia 2개집단과 C. t. stria와 C. t. lutheri 4개 집단 간의 F값은 평균 0.263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C. t. striata 와 C. t. lutheri 사이는 F=0.569로 가깝게 나타났다. 염기치환율 (p)에 있어 C. t. taenia는 C. t. striata 및 C. t. lutheri와 평균 p=0.082로 뚜렷한 종간차이를 보였으나, C. t. striata와 C. t. lutheri 집단들은 p=0.033으로 매우 가까운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MtDNA 분석결과 C. taenia complex 중 C. t. taenia는 완전히 종분화가 이루어진 별종으로, C. t. striata와 C. t. lutherisms 아직 종수준의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종으로 분류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줄종개 Cobitis striata (미꾸리과(科))의 정소 및 정자의 구조 (Structure of Testis and Spermatozoon of Cobitis striata (Pisces: Cobitidae) from Korea)

  • 김익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1996
  • 저서성 어류인 Cobitis striata의 정소는 좌우 한쌍의 가늘고 긴 촛대모양으로서 체벽에 매달려 있다. 또한 미성숙한 정소는 규칙적인 배열을 하는 많은 정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성숙된 정소에서 는 복잡한 망상구조(network)를 보였다. C. striata의 정자는 첨체가 없어 수중으로 배정되는 무첨체 수중형(anacrosomal aquasperm)이며, 구형의 핵을 갖는다. 중편은 길이가 약 $0.8{\mu}m$으로서 아주 짧았으며, ring모양의 미토콘드리아가 5~8개 존재하였다. 편모는 하나로서 전형적인 9+2구조를 보이며 돌기물(fin)이 없는 특징을 보였다.

  • PDF

한국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기름종개속(Cobitis) 어류의 핵형 비교 (A Chromosomal Study on the Genus Cobitis (Pisces : Cobitida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김익수;이지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7-264
    • /
    • 1986
  •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기름종개속 어류의 5종 및 아종, Cobitis taenia taenia, C.taenia lutheri, C.taenia striata, C.koreensis, C.longicorpus의 핵형 분석 결과, 2n의 수, karyotype form (metacentric-submeta centric-acrocentric chromosome), AN(arm number)은 다음과 같다. C. longicorpus, 2n=50, 12m-8sm-30a, AN=70; C. koreensis, 2n=50, 10m-l2sm-28a, AN=72; C. taenia taenia, 2n=48,14m-4sm-30a, AN=66; C. taenia striata, 2n=50,10m-6sm-34a, AN=66; C. taenia lutheri, 2n=50,10m-6sm-34a, AN=66. 이 가운데 C.t.lutheri는 2n=48, 49 및 51도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각각의 AN이 66인 점으로 미루어 Robertsonian 염색체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조사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C.taenia taenia의 핵형은 2n=48로서 종전의 결과와는 아주 다르고, 또 본 조사집단의 반문등 형태적 특징에 있어서도 유럽산 C.t.taenia와 구분되기때문에 이 개체군은 분류학적으로 별종이 된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본 조사결과 각 종의 집단이나 개체내에서는 현저한 변이는 없었으나, diploid number와 arm number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본 바 다음 3가지의species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1) C. taenia taenia, C. taenia lutheri 및 C. taenia striata 2) C. koreensis, C. longicorpus 및 C. rotundicaudata 3) C. granoei

  • PDF

난과 식물의 형질전환 유도 및 다량증식에 관한 연구 (II) 자란의 원형질체 분리, 배양 및 Electroporation (Studies on the Induction of Transformation and Mutiplication in Orchid Plants (II) Isolation, Culture and Electroporation of Protoplasts in Bletilla striata)

  • 이정석;김영준황성진황백
    • KSBB Journal
    • /
    • 제6권2호
    • /
    • pp.201-205
    • /
    • 1991
  • 난과식물의 형질전환 유도의 기초연구로서 자란(Bletilla striata)의 미성숙 종자로 부터 embryogenic callus를 유도하고, 이 배발생 캘러스의 현탁배양을 하여 이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에 여러가지 조건하에서 electroporation을 행하고 원형질체의 생존율(viability)을 조사하였다. Voltage와 capacitancy의 증가에 의해 생존율은 감소를 가져 왔으며, HBM buffer에서 $4^{\circ}C$로 electroporation시 원형질체의 생존율에 있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답압이 매듭풀(Kummerowia Striata)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ad-Pressure on the Growth of Kummerowia striata)

  • Kim, In-Tea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49-157
    • /
    • 1994
  •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distribution of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mostly restricted on the roadside and reclaimed land, plant growth was analyzed under different of tread-pressures: $P_1$(10 times/day, $16.34Kg/cm^2$), $P_2$(20 times/day, $31.52 Kg/cm^2$), $P_3$(30 times/day, $40.79 kg/cm^2$) and the control $P_c$(0 times/day, $3.73 Kg/cm^2$). The matter production in the $P_1$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the $P_c$, and those in the $P_2$and $P_3$ continuously decreased so that its length growth gradually de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growth of leaves and nodule was suppressed. The number of leaves and roots tended to increase in the $P_2$and $P_3$. The water contents of roots following the increase of tread-pressure increased continuously. Following the increase of tread-pressure, T/R ratio and C/F ratio tended to increase. Kummerowia striata showed the highest growth in the $P_c$ and showed 26% relative growth in the $P_1$compared with that in the $P_c$. This plant showed 8% relative growth in the $P_3$, which is excess to the tread-pressure $21Kg/cm^2$, the limit of growth in the plant. Because this plant grew continuously in the P$_3$, the tread-pressur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oadside distribution of this plant.

  • PDF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2. 한국산 Cobitis taenia complex의 분류학적 고찰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Pisces, Cypriniformes). 2. Taxonomic Study on the Cobitis taenia complex from Korea)

  • 양서영;이혜영;양홍준;전상린;박병상;김재흡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151-170
    • /
    • 1993
  • 한국산 기름종개 3 아종의 분류학적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 23개 집단을 대상으로 체측반문을 비롯한 형태형질 분석과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3 아종의 체측반문 변이 분석 결과 기름종개와 점줄종개에서는 각 아종 의 특정인 점열형 (A, B type: 14.5%)의 개체보다 중간형 (C, D type: 51.0%)의 빈도가 월등히 높았다. 기름종개 3 아종은 모두 암수간 체측반문 형태가 달리 발현되는 성적이형 현상이 뚜렷하였다. 형태계측 및 집단 판별분석에서 집단간 및 아종간의 뚜렷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결과 3 아종중 줄종개 5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가 A=1.48. P=31.2%. HD= 0.082 및 HQ=0.099로서 기름종개(A=1.37. P=24.7%. HD=0.058 및 HQ = =0.065) 및 점줄종개(A=1.43, P=27,0%. 매=0.066 및 HQ=0.079)에 비하여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 각 아종의 유전적 근연관계에 있어 기름종개와 줄종개 및 점줄종개의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 = O.64로서 일반적인 담수어류의 종간차이를 보였고, 줄종개와 점줄종개간은 S=0.82로서 아종 수준의 유전적 근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체측반문 변이, 형태분석 결과 및 유전자 분석결과 기름종개는 타 두 아종과 약 200만년전에 분화된 별종으로 사료된다. 기름종개 (C. t. taenia)의 학명사용에 있어 이미 보고된 자료(핵형, 형태, 분포 등)들을 비교할 때 중국산 C. Sinensis와 많은 차이가 있어 한국산 기름종개를 중국산 C. sinensis Sauvage a and Dabry 의 synonym으로 보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 그러나 줄종개와 점줄종 개는 형태 및 유전적 특정등을 고려할 때 아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여겨 지며 앞으로 이들에 대한 학명의 재검토가 요구된다.

  • PDF

Comb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Quercus infectoria Galls and Scrophularia striata Aerial Parts for an Anticariogenic Herbal Mouthwash

  • Pooya Falakdin;Dara Dastan;Shabnam Pourmoslem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4-52
    • /
    • 2023
  • Objectives: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human diseases worldwide. The disease initiates with bacterial adherence to the tooth surface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dental plaques. Mutans streptococci and Candida albicans are principal oral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Phytochemicals have been shown to possess promising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a wide range of microorganisms and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Herein, we reviewed literature on plants that are traditionally used for their antimicrobial properties or possess promising anticariogenic activity. We selected aerial parts of Scrophularia striata (S. striata) and galls of Quercus infectoria (Q. infectoria) and investigat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riogenic microorganisms. Methods: Water soluble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hydroalcoholic extracts of S. striata and Q. infectoria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S. sobrinus), and Candida albicans (C. albicans) was evaluated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The extracts were then used for preparing an herbal mouthwash whose stability and tannic acid content were evaluated over 60 days. Results: Q. infectoria gall extract possesses effici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synergistically enhanced in the presence of S. striata extract. Mouthwash prepared using these extracts showed desirabl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Conclusion: Extracts of S. striata and Q. infectoria galls can be used together for preparing dental products with effective anticariogenic properties. Our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tensive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when using herbal produc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chemical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