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chlor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19초

Butachlor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수도(水稻)에 대(對)한 상호작용(相互作用) (Butachlor and Silicate Fertilizer Interaction to Rice)

  • 오병열;양환승;신용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61
    • /
    • 1984
  • 수도작(水稻作)에 있어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증진(增進) 및 생산성(生産性) 증대(增大)에 필수적(必須的)인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施用)과 butachlor의 수도(水稻)에 대(對)한 상호작용(相互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진주(眞珠)벼(Japonica 型)와 서광(曙光)벼 (Japonica ${\times}$ Indica 형(型))를 대상(對象)으로 실내(室內) 및 pot 시험(試驗)을 통(通)하여 생물(生物), 화학적(化學的)으로 검토(檢討)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SiO_2$ 150ppm에서 수도유묘(水稻幼苗)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였으나 300ppm이상(以上)에서는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으나 butacholor의 수도생장저해작용(水稻生長沮害作用)을 증대(增大)시켰다. 2.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150kg/10a 시용수준(施用水準)의 pot 시험(試驗)에서 butachlor의 nitrofen에 의(依)한 수도생육(水稻生育)은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300kg/10a에서는 butacholr가 표준약량(標準藥量)에서 서광(曙光)벼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현저(顯著)히 저지(沮止)하였다.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와 butachlor에 의(依)한 수도생육억제(水稻生育抑制)는 약제처리(藥劑處理) 50 일후(日後)에 완전(完全)히 회복(回復)되었다. 3. 규산질비료시용(珪酸質肥料施用)에 의(依)한 토양(土壤)의 butachlor 흡차이(吸差異)은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토양산도(土壤酸度)는 다소(多少)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施用)은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butachlor의 분해(分解)에 영향(影響)이 없었으나 $SiO_2$ 처리(處理)로 수도근부(水稻根部)에의 제초제(除草劑) 부착량(附着量)은 증가(增加)하였다. 5. 수도체내(水稻體內) butachlor의 흡수량(吸收量)은 $SiO_2$의 첨가(添加)로 서광(曙光)벼에서 증진(增進)되었으며 흡수량(吸收量)의 대부분(大部分)은 근부(根部)에 존재(存在)하였다. 6. 치환성(置換性) 염기(鹽基)에 의(衣)한 butachlor의 수도체내흡수(水稻體內吸收)는 $K_2O$가 촉진효과(促進效果)를 나타낸 반면(反面) $Na_2O$는 영향(影響)이 없었고 CaO는 감소(減少)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7. $SiO_2$에 의(依)하여 수도체내(水稻體內)에 흡수(吸收)된 butachlor의 분해양상(分解樣相)은 무처리(無處理)와 차이(差異)가 없었고 진주(眞珠)벼보다 서광(曙光)벼에서 높게 유지(維持)되었다.

  • PDF

수도묘(水稻苗)의 Butachlor 흡수(吸收) 및 약해발생(藥害發生) 특성(特性)에 관한 생리적(生理的) 연구(硏究) (Uptake of Butachlor by Rice Seedlings and Its Phytotoxic Action to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 정봉진;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8
    • /
    • 1981
  • 수도묘(水稻苗)의 Butachlor(2-chloro-2',6'-diethyl-N-(carboxymethyl) acetanilide) 흡수특성(吸收特性)과 약해발생가구(藥害發生機構)를 밝히어 Butachlor의 안전사용(安全使用)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試圖)되었다. 수도품종(水稻品種) '만석(萬石)'(수원(水原)264호(號))을 사용(使用)하여 제(第)6, 7여기(葉期)까지 수경재배(水耕栽培)한 후 Butachlor를 0, 1.8, 3.6, 7.2, 10.8 또는 14.4ppm 되도록 처리(處理한) 수경액(水耕液)으로 1, 2, 4일간(日間) 생육(生育)시킨 경우와 Butachlor 처리(處理) 후(後) 정상수경액(正常水耕液)으로 교체(交替)하고 6일간(間生) 생장(生長)시킬 경우 약해(藥害)의 진전(進展) 또는 회복과정중(恢復過程中)에 일어나는 수도(水稻)의 Butachlor 흡수(吸收)에 따른 생장반응(生長反應), 수분흡수(水分吸收), 양분흡수(養分吸收), 기공(氣孔) 개폐(開閉),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Nitrate reductase)의 생합성(生合成) 및 분해작용(分解作用)의 변화(變化)를 검정(檢定)했고 Butachlor의 세포구성물질(細胞構成物質)들에 대한 흡착특성(吸着特性)을 비교(比較)하였으며 그 결과(結結)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수도묘(水稻苗)의 Butachlor의 흡수(吸收)는 처리농도(處理濃度) 및 기간(期間)에 비례(比例)하여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2. Butachlor는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보다는 뿌리생육(生育)을,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 및 출엽(出葉)보다는 초장(草長)의 생육(生育)을 더욱 저해(沮害)하였으며, 처리종료(處理終了) 후(後)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과 출엽(出葉)은 조속(早速)히 회복(恢復)되었으나 초장(草長) 및 뿌리생체중(生體重) 생장(生長)은 4일(日) 이후(以後) 회복세(恢復勢)를 보였다. 3. Butachlor는 뿌리의 수분흡수(水分吸收)를 처리농도(處理濃度) 비례(比例)하여 곧 저해(沮害)하였고, 그 결과(結果) 엽면(葉面) 기공(氣孔)의 저항(低抗)을 증가(增加)시켰으며, 처리종료(處理終了) 후(後)에는 수분흡수력(水分吸收力)은 곧 회복(恢復)되었으나 기공(氣孔)의 개도(開度)는 서서히 회복(恢復)되었다. 4. Butachlor는 처리(處理) 전(前) 후(後) 수도묘(水稻苗)의 $NH_4^+$, $K^+$$Ca^{++}$ 같은 양(陽)이온의 흡수(吸收)에는 영향(影響)하지 않았으나 $NO_3^-$의 흡수(吸收)를 뚜렷이 저해(沮害)했고, 7.2 ppm의 고종도(高濃度)에서는 인산(燐酸)의 흡수(吸收)도 저해(沮害)했다.

  • PDF

송사리에서 제초제 Butachlor의 생물농축성 (Bioaccumulation of Herbicide Butachlor in Killifish)

  • 김용화;김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30-36
    • /
    • 2002
  • 제초제 butachlor의 어류농축 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위원소 표지화합물과 비표지 화합물을 사용하여 송사리 체내에서의 농축시험을 수행하였다. 비표지 화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송사리 체내에서의 butachlor농축은 0.036ppm농도에서 40시간 경과 후 가장 높은 어류생체 중 296의 생체 농도/수중 농도$(C_f/C_w)$ 비율을 보였고, 64시간 이후부터는 평형상태에 이르렀으며, 이 때의 bioconcentration factor(BCF)는 87이었다. 또한, 0.0036 ppm도에서는 18시간 경과 후 가장 높게 축적되어 $C_f/C_w$의 비율이 169였고, 60시간 이후에는 평형상태에 도달하여 BCF 값은 51이었으며, 이 두 농도로부터 결정된 BCF 값은 $69{\pm}28$이었다. $^{14}C-butachlor$의 송사리 체내에서의 농축 및 배설은 총 $^{14}C$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7시간 경과 후 가장 높은 539 $C_f/C_w$의 비율을 나타내었고, 74시간 이후부터는 평형상태에 이르러 BCF는 394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14C-butachlor의 양만을 고려했을 때 $C_f/C_w$의 비율은 총 흡수량의 1/3이었고, 2/3은 $^{14}C-butachlor$의 대사물 이었으며, 평형상태에서의 $^{14}C-butachlor$의 BCF는 334로 계산되었다. 또한, 송사리 체내로부터의 $^{14}C-butachlor$의 배설은 12시간 이내에 50% 이상이, 30시간이 되면서 90% 이상이 배설되었다. 생체 내에서의 대사물은 아주 극성이 강한 대사물들로서 TLC상에서 $R_f$이 0.43인 대사물 M-II와 $R_f$값이 0.7인 대사물 M-III로 확인되었고, 신선한 사육수로 어체내 대사산물을 배설시켰을 때 $R_f$ 값이 0.25인 대사물 M-I을 확인하였다. M-I은 어체내에서 배출되는 과정중의 주요한 중간 대사물 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 세포형태(細胞形態) 및 근세포막(筋細胞膜) 투과성(透過性)에 미치는 BUTACHLOR 와 1,8-NAPHTHALIC ANHYDRIDE 의 영향(影響) (Butachlor and 1,8- Nphthalic Anhydride Effects on Post - Germination Growth, Anatomy and Root - Cell Membrane Permeability of Rice)

  • 전재철;황인택;한민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6-62
    • /
    • 1985
  •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 중경(中徑)과 근(根) 세포형태(細胞形態) 및 근(根) 세포막(細胞膜) 투과성(透過性)에 대한 butachlor와 1, 8 - naphthalic anhydride(NA)의 상호작용력(相互作用力)을 검토(檢討)하였다. Butachlor와 NA의 단일처리(單一處理)는 독도(獨度)의 증가(增加)와 함께 벼의 중경(中莖) 및 유근(幼根) 신장(伸長)을 현저히 억제(抑制)시키지만 엽초에 대해서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Butachlor + NA 처리(處理)로 엽초 신장(伸長)을 증대(增大)되었지만 중경(中莖) 신장(伸長)은 감소(減少)되었다. Butachlor를 단일처리(單一處理)하면 중경(中莖) 근(根) 세포(細胞)의 피층세포(皮層細胞)가 부분적(部分的)으로 파괴된 세포간공극(細胞間空隙)이 형성(形成)되지만, NA를 동시(同時)에 처리(處理)하면 피층세포(皮層細胞)가 파괴된 세포간공극(細胞間空隙)은 더욱 확대(廓大)되었다. 벼의 근(根) 세포막(細胞膜) 투과성(透過性)은 butachlor와 NA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증가(增加)로 확대(擴大)되지만, butachlor + NA의 처리(處理)로 감소(減少)되는 경향이었다.

  • PDF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 (The Risk Assessment of Butachlor for the Freshwater Aquatic Organisms)

  • 박연기;배철한;김병석;이제봉;유아선;홍순성;박경훈;신진섭;홍무기;이규승;이정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벼재배용 제초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butachlor는 농약 사용 성수기($5{\sim}6$월)에 하천수 중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utachlor의 담수조류와 담수무척추동물, 담수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여 독성영향을 구명하였고 위해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utachlor의 담수조류에 대한 생장영향을 알아보고자 녹조류 3종(P. subcapitata, D. subspicatus, C. vulgaris)에 대해 생장저해시험을 수행한 결과, butachlor에 대한 P. subcapitata, D. subspicatus, 그리고 C. vulgaris의 72시간 $ErC_{50}$은 각각 0.002, 0.019, 그리고 $10.49mg\;L^{-1}$이었고, NOErC는 0.0008, 0.0016, 그리고 $5.34mg\;L^{-1}$로 나타났다 Butachlor의 담수무척추 동물인 물벼룩(Daphnia magna)에 대한 24시간 및 48시간 $EC_{50}$ 값은 각각 2.55와 $1.50mg\;L^{-1}$이었고, NOEC는 $0.6mg\;L^{-1}$이었다. Butachlor의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결과, 잉어(C. carpio), 송사리(O. latipes) 그리고 미꾸리(M. anguillicaudatus)에 대한 96시간 $LC_{50}$ 값은 각각 0.62, 0.41 그리고 $0.24mg\;L^{-1}$으로 나타났다.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별 수서생물에 대한 TER을 산출한 결과, 논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04, 3.6 그리고 0.58로서, 조류와 어류는 우리나라 기준인 2보다 낮아 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로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5, 50 그리고 8로 조류는 2이하로 위해가능성은 있었다. 강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각각의 TER은 0.36, 357 그리고 57로 산출되어 조류는 2이하로 여전히 위해가능성이 있었다.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별 수서생물에 대한 TER을 산출한 결과, 논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04, 3.6 그리고 0.58으로서, 조류와 어류는 우리나라 기준인 2보다 낮아 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로에서 조류,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5, 50 그리고 8으로 조류는 2이하로 위해가능성은 있었다. 강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각각의 TER은 0.36, 357 그리고 57로 산출되어 조류는 2이하로 여전히 위해 가능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butachlor는 녹조류 중 감수성이 높은 P. subcapitata, D. subspicatus 등에 일시적인 개체수 감소 등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감수성이 낮은 C. vulgaris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Butachlor의 물벼룩과 어류에 대한 위해 가능성은 배수로 및 강에서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utachlor의 논에 살포시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의 산란시기($6{\sim}7$월)가 butachlor의 사용시기와 비슷하여 논에 butachlor 사용으로 인한 미꾸리 수정란과 치어에 대한 영향, 개체수 감소 및 회복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yrazole계(系)와 Chloroacetamide계(系) 제초제(除草劑)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피(Echinochloa crusgalli)의 살초효과(殺草效果)에 미치는 상호작용(相互作用) (Interaction of Pyrazole - and Chloroacetamide Herbicide Combinations in Control of Echinochloa crusgalli)

  • 권용웅;성기영;소창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63
    • /
    • 1985
  • Pyrazole계(系) 제초제(除草劑) pyrazolate, pyrazoxyfene 및 benzophenap과 Chloroacetamide계(系)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및 pretilachlor의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피에 대한 살포작용(殺草作用)에 있어서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천판(千坂)의 등효과선법(等效果線法)과 Colby의 상호작용검정법(相互作用檢定法)으로 검정(檢定)해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yrazole계(系)의 10a당(當) 300g ai 수준(水準)에서의 피의 생육억제율(生育抑制率)은 pyrazolate 경우 1.5엽기(葉期) 피해 eoo 44%, pyraxoxyfene 경우 1.5엽기(葉期) 피에 대해 64%이었고, benzophenap의 피 초엽기에 60% 억제(抑制)할 뿐 1엽기(葉期) 이상(以上)에서는 억제(抑制)하지 못하였으며, chloroacetamide계(系)의 경우 butachlor는 150g ai/10a 수준(水準)에서, 그리고 pretilachlor는 20g ai/10a 수준(水準)에서 1.5엽기(葉期) 피를 99% 정도(程度) 억제(抑制)하였다. 2. Pyrazolate와 butachlor의 혼합처리(混合處理), pyrazoxyfene과 pretilachlor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피 1.5엽기(葉期) 또는 초엽기에 모두 상승적(相乘的)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보였는데 상호적(相互的)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정도(程度)는 pyrazolate/butachlor(공력작용지수(共力作用指數)=2.4) > pyrazoxyfene / pretilachlor(공력작용지수(共力作用指數) = 1.62) > benzophenap / butachlor(공력작용지수(共力作用指數)=1.52) 순위(順位)이었다. 3. Pyrazole계(系)와 Chloroacetamide계(系) 제초제(除草劑)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피의 생육(生育) 90% 억제등효과선상(抑制等效果線上) 최고(最高)의 공역효과(共力效果)가 나타난 약량수준(藥量水準) 및 약량비율(藥量比率)은 pyrazolate/butachlor 혼합(混合)의 경우 187g/14g ai/10a (1:0.075)이었고, pyrazoxyfene/pretilachlor 조합(組合)의 경우 330g/3.3g ai / 10a(1:0.01)이었으며, benzophenap/butachlor의 경우 335g/52g/ ai/10a(1:0.15)이었다.

  • PDF

Butachlor에 대한 벼 유묘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 Seedlings to Butachlor)

  • 채문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7-253
    • /
    • 1995
  • The herbicide butachlor [N-(butoxymethyl)-2-chloro-N-(2,6-di-methylphenyl) acetamide] is widely used by farmers as a tool for weed management of transplanted rice(Oryza sativa L.) in Taiwan. The herbicide did not stop germination of rice and weed seeds, but strongly inhibited the subsequent growth of young shoots and roots. The inhibition was also strong on established seedlings. However, they could recover to normal growth after the herbicide effect disappeared. Butachlor greatly decreased the endogenous indole-3-acetic acid (IAA) but increased the endogenous abscisic acid (ABA) contents of rice seedlings. Addition of lAA into growth medium (Hoagland's solution) partly relieved growth inhibition. Pretreatment of both gibberellic acid ($GA_3$) and IAA 24 hours before butachlor treatment almost completely alleviated the butachlor-interfere with GA and/or IAA metabolism or their action resulting in the growth inhibition of rice. Butachlor was readily absorbed by rice roots. During 24 hours of uptake experiment, 32% of the applied herbicide was absorbed. Pretreatment of the herbicide for 2 days did ncx affect the absorption. Of the absorbed herbicide, 80% remained in roots, only 20% transported into shoots, and more than 50% was metabolized to water soluble substances. Thin-layer chromatographic (TL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f value of the most abundant metabolite was butachlor-glutathione conjugate. Rice,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and monochoria (Monochoria vaginalis Presl) seedlings contained relatively high level of non-protein thiols, while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was found highest in rice, barnyardgrass the next, monochoria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GST activity among these species might be related to their sensitivity to butachlor.

  • PDF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에 있어서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중금속(重金屬)의 영향(影響) (Effects of heavy metals on the degradation of fenitrothion, IBP, and butachlor in flooded soil)

  • 문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38-142
    • /
    • 1990
  •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살균제(殺菌劑) IBP, 살충제(殺蟲劑) fenitrthion, 살초제(殺草劑) butachlor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각종중금속(各種重金屬) Cd, Cu, Cr, Ni, Zn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하였다.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분해(分解)는 5종(種)의 중금속첨가(重金屬添加)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抑制)되었으며, 억제(抑制)된 정도(程度)는 butachlor>IBP>fenitrothion순(順)이었다. MPN법에 의하여 계측(計測)한 fenitrothion과 butachlor 분해균(分解菌)의 균수(菌數)은 중금속(重金屬) 첨가(添加) 토양(土壤)에서가 무첨가토양(無添加土壤)에서보다 적었다.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정도(影響程度)는 중금속(重金屬)의 종류(種類) 및 농도(濃度), 농약(農藥)의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어, fenitrothion의 분해(分解)를 Cr>Zn>Cd>Ni>Cu순(順)으로 억제(抑制)시켰다. IBP의 분해(分解)는 $Cr>Cu{\geqq}Zn{\geqq}Cu$순(順)으로 억제(抑制)받았으나, Ni는 분해(分解)에 거의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그리고 butachlor의 분해(分解)는 Cr>Cu>Cd>Ni>Zn순(順)으로 억제(抑制)되었다.

  • PDF

토양사상균(土壤絲狀菌) Chaetomium globosum에 의(依)한 Butachlor의 분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주요대사산물의 GLC-MS에 의한 확인- (A Study on Degradation of Butachlor by a Soil Fungus, Chaetomium globosum -[Part I] Identification of major metabolites by GLC-MS-)

  • 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1호
    • /
    • pp.1-10
    • /
    • 1978
  • 토양미생물에 의한 Acetanilide계 제초제 Butachlor의 분해기구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해력이 강력하다고 알려진 Chaetomium globosum을 선택하여 Butachlor와 배양한 후 생성된 분해 산물에 관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utachlor로부터 탈염소화 작용은 아주 용이하게 일어나며 배양후 180시간 부터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2) 십여종의 분해 산물을 분리 동정하였고 그 중 질량이 205, 177, 223, 182 및 206인 것이 주된 산물이었다. (3) 본논문에서는 질량 206, 182, 223, 225 및 189인 분해산물의 구조와 형성 경로를 제안하였다.

  • PDF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에 대한 보리의 품종간(品種間) 반응차이(反應差異) (Response of Barley Cultivars to Butachlor, Terbutryn, and Methabenzthiazuron)

  • 변종영;김태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0-104
    • /
    • 1983
  • 보리 피맥(皮麥) 8품종(品種) 과맥(稞麥)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Butachlor는 표준 추천약량인 147g/10a에서 모든 품종(品種)은 약해(藥害)를 받지 않았으나 2 배량 이상의 수준에서 피맥(皮麥)의 올보리, 동보리 1호와 강보리에서 약간의 약해 증상을 나타냈다. 2. Terbutryn에 대한 약해 반응은 피맥품종(皮麥品種)보다 과맥품종(稞麥品種)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표준 처리약량인 175 g/10 a에서 피맥품종(皮麥品種)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과맥품종(稞麥品種)중에서 이리 4호는 약간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terbutryn 350g/10a에서 피맥품종(皮麥品種)의 동보리, 부호보리와 부농보리는 다소 심한 약해를 보였고, 과맥품종(稞麥品種)의 방사 6호, 광성, 논산과 1~6 호와 이리 4호는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3. Methabenzthiazuron은 표준약량인 245g/10a에서 모든 품종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배 이상의 수준에서도 피맥(皮麥)은 약해를 받지 않았으나 과맥(稞麥)의 광성, 방사 6호와 논산과 1~6호는 경미한 약해를 보였고 이리 4 호는 심한 약해 증상을 나타냈다. 4.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의 표준 추천량에서 보리의 건물중(乾物重)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terbutryn은 추천량의 2배 수준인 350g/10a 이상에서 건물중(乾物重)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과맥품종(稞麥品種)은 피맥품종(皮麥品種)에 비하여 그 경향은 더욱 심하였다. 5 피맥(皮麥)의 오월보리, 동보리 1 호, 조강보리와 과맥(稞麥)의 백동, 방사 6호와 광성은 butachlor 처리에 의하여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약간 감소된 경향이었다. 오월보리, 올보리와 논산과 1~6호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terbutryn 175g/10a 처리에 의하여 약간 감소되었으나 추천량의 2배인 350g/10a 이상의 수준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현저히 감반되었으며 특히 과맥품종(稞麥品種)에서 그 경향은 더욱 현저하였다. methabenzthiazuron을 처 리 하였을 때는 피맥(皮麥)의 조강보리, 동보리 1호와 오월보리, 과맥(稞麥)의 백동, 광성과 논산과 1~6 호에서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약간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