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Innovation Activity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4초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혁신저항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Fir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 박주경;이설빈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89-99
    • /
    • 2017
  • 본 연구는 그동안 기술혁신 활동이 자체 기업 또는 조직, 인적 구성원의 역량과 활동 방법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의 실행에 대한 혁신저항을 적극 고려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활동이 조직 내 혁신저항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국내 IT, BT기업 293개사를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가설1의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2의 기술혁신 활동은 기술혁신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셋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넷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성과 사이에 매개 효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다섯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혁신 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전체적으로 기술혁신 역량이 높을수록 기술혁신 저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관성을 갖고 기술혁신 저항 또한 저항 정도에 따라 기술혁신 역량과 성과를 증진 또는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PDF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s)에 대한 창업·경영학적 접근의 필요성 (The Needs for a Start-up and Business Approach to Makerspace; Why Should we Develop Makerspace through Management Techniques?)

  • 서진원;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3호
    • /
    • pp.111-127
    • /
    • 2019
  •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는 국가경쟁력(Mass Flourishing) 향상을 위한 대중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요구 속에서 2000년 이후 부활한 DIY 운동의 새로운 형식인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은 변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대중혁신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메이커 운동의 주요 활동공간인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는 '메이커(Maker)'들이 서로의 지식과 자원을 나누고 협업하며, 결과물을 공유하는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메이커스페이스는 최근 들어 '대중혁신플랫폼' 또는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준비 공간으로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0년 이후 다양한 형태의 '메이커스페이스'를 혁신기반육성을 위한 정책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메이커스페이스 확대 사업을 2018년부터 추진 중이며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세분화하여 '일반랩'은 메이커 입문과 기본단계에 있는 초보 메이커들을 위한 'Zero to Maker' 공간으로, '전문랩'은 전문가(창업가)들을 위한 'Maker to Maker(Market)' 공간으로 역할을 나누어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메이커 관련 주제 중 메이커들이 활동하는 공간인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메이커스페이스에 관련된 국내외 주요 연구를 조사하고 관련 연구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연구 필요성 및 구체적 내용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창업 경영학적 관점에서 메이커스페이스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연구 분야를 제시, 4차산업 시대에 대중혁신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새로운 제조 산업유형에 대한 창업 경영학적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대구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 분석: 기술역량의 조절효과 (Analysis for Impact of Individual Cooperation Activity 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in Daegu :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apability)

  • 강석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04-413
    • /
    • 2021
  • 중소기업은 기술력과 다양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외부기업이나 기관 등과의 기술개발 관련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데,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의 협력 네트워크 형성은 해당기업이 보유한 또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은 대구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유형이 혁신활동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역량이 개별 협력 유형과 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활동 중에서 공동연구개발만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역량이 우수할수록 개별 협력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은 제약된 자원에서 야기되는 성장의 걸림돌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동의 연구개발과 같이 하나의 자원을 형성하여 외부기업 및 기타 조직과 협력을 해야 한다는 것과 내부적으로 기술역량을 함양하여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혁신을 위한 EUC의 관리전략 (A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EUC for Business Innovation)

  • 오화중;김동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5권25호
    • /
    • pp.115-124
    • /
    • 1992
  • The need for organization to formulate an appropriate strategies and tactics for the management of EUC has been repeatedly emphasized in the MIS literature. Yet to date an absence of explicite EUC strategies seems to be the overwhelming norm. The purpose of this paper, under the assumption that EUC is an organization innovation, is to contribute what EUC management is most effective for a given organization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1. How to effectively implement a particular EUC strategy\ulcorner 2. When to adopt a particular strategy\ulcorner After this paper reviewed these issues, it would present strategies that the business can accomplish innovation through EUC activity.

  • PDF

특허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 금속기업 중심으로 (The Study of an Analysis on Patent Management Affecting the Company Performance: Korean Metal Industry)

  • 길상철;강성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1-193
    • /
    • 2008
  • 21세기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은 자국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식재산권을 보호강화하기 위한 국제적 동향은 더욱 더 강력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은 사활을 걸고 기술보호와 경영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최적인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며, 기업의 지식재산관리는 관리적인 차원이 아닌 경영적인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기업은 산업재산권을 경영자원의 하나로서 전환하여야 하며 그 중요성은 기업의 생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허 데이터는 기업 전략 수립의 중요한 정보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금속기업 27개사를 대상으로 특허활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특허데이터를 이용하여 특허경영과 기업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노동생산성은 종업원 1인당 특허활동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규모와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허 활동은 기업의 연구개발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젓으로 생각한다.

  • PDF

차세대 경영혁신 및 정보시스템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PI & 6시그마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for Management Business Innovation and Information System in Next generation. (Focued on PI & Six Sigma))

  • 박종기;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29
    • /
    • 2005
  • Since 1980's, many enterprises have constructed Strategy Information System and tried BPR, ISP. Also, they implemented ERP and practiced the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for Management Innovation in todays, Although most companies had provious good plans, but those are not satisfied. Because of failed to change management and continued next activity. Many Project for Process innovation are ended as disposal project in many case, if they want next project, they need a new plan which needs additional fund and re source. This paper studied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in many things and proposed new model for continued project on the master plan. Also it proposed next study subject about ERP Optimization and Harmonization after implemented ERP which is considered as next step of PI.

  • PDF

차세대 경영혁신 및 정보시스템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PI & 6시그마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for Management Business Innovation and Information System in Next generation(Focued on PI & Six Sigma))

  • 박종기;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19-130
    • /
    • 2006
  • Since 1980's, many enterprises have constructed Strategy Information System and tried BPR, ISP. Also, they implemented ERP and practiced the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for Management Innovation in todays. Although most companies had previous good plans, but those are not satisfied. Because of failed to change management and continued next activity. Many Project for Process innovation are ended as disposal project in my case, if they want next project, they need a new plan which needs additional fund and resource. This paper studied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in many things and proposed new model for continued project on the master plan. Also it proposed next study subject about ERP Optimization and Harmonization after implemented ERP which is considered as next step of PI.

공공기관 경영혁신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K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cale for measuring management innovation: Focusing on the K public institution)

  • 노현재;양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97-302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기관 경영혁신의 중요성과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개발되었던 경영혁신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공공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경영혁신 측정도구 개발을 주된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더불어 개발한 척도를 활용하여 경영혁신 구성 요소들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하여 그 적용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공공기관의 경영혁신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EFA 결과, 고유치 1이상의 7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CFA 결과 역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CFI=.906, TLI=.887, GFI=.807, NFI=.872, RMSEA=.094). 신뢰도 검증결과 역시 각 구성차원 별로 기준치 이상을 충족하여 7차원 46개 문항의 공공기관 경영혁신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경영혁신 구성요소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영혁신 구성요소 모두가 혁신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R&D 조세 지원 정책과 기업 혁신활동 간의 관계 연구: 국가전략기술 R&D 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tax support policy and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Focus o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R&D companies)

  • 구본진;이종선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1-20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tax support policy and firm innovation activity using data on firms engaged in 12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sec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664 companies engaged i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The data were then analysed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Findings - First, corporate R&D tax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firm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cremental innov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adical innov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firm's first innov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world's first innovation.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R&D projects of a firm. Fin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 firm's open innova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in terms of policy effectiveness,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promoting R&D tax support policies in areas where R&D competition is fierce. For private companies engaged in the 12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fields, the R&D tax support policy is working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nd this positive policy effect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areas where R&D competition is fierce. Second, if the government wa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R&D tax support policies, it needs to provide incentives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혁신형 기업 인증 제도가 중소기업의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novative Company Certification Syste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SMEs)

  • 유형선;전승표;김지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12-1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장려 정책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인 혁신형 기업 인증 제도의 효과를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실시한 2013~2015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벤처기업 확인, 이노비즈 인증, 메인비즈 인증 등 혁신형 기업 인증을 받은 혁신형 중소기업과 그렇지 않은 일반 중소기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혁신형 중소기업이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에 관련된 많은 세부 지표에서 비교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부사용 연구개발비 비중, 기술개발 시도건수와 성공건수 등은 조사년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제도의 사후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자체조달연구개발비 비중은 3개년 조사 모두에서 오히려 일반 중소기업이 혁신형 중소기업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자금 지원이 기업의 자체 연구개발 투자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의 기술적 혁신 활동과 성과는 인증 여부보다는 기업의 규모와 참여 업종에 더 큰 영향을 받으므로, 기술혁신 장려 정책 수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