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Metropolitan City

검색결과 691건 처리시간 0.036초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이용한 광역도시권 설정방안 - 부산광역권 설정사례를 중심으로 - (The Boundary Delimitation of Busan Metropolitan Area using Network Analysis)

  • 심재헌;조연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75-86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권을 사례대상으로 하여 보완된 광역도시권 설정방안을 제시하고 실증적인 설정결과를 현행 광역도시권 설정사례와 비교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대상선정과 관련해서는 네트워크 분석 기법의 하나인 서비스 권역 분석을 통하여 중심도시의 반경권이 아닌 광역교통망의 실제 분포를 반영하였으며, 중심도시와 주변지역 간의 연계성 분석은 기종점 통행량 자료를 사용하여 통근 통학과 더불어 업무 구매 여가 친교 등의 다양한 통행행위를 고려하였다. 또한 주변지역의 도시적 특성은 지표항목을 추가적으로 적용하고, 분석과정에서 토지피복지도를 사용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광역도시권의 설정범위는 현행 광역도시권 설정사례와 비교하여 일부지역에서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인접한 지역 간에 새롭게 형성된 동질적 생활권의 양상이 반영된 점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부산광역시 공동주택의 외피구조에 따른 에너지 소비특성 분석 (A Study on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 by Building Envelope of Apartment Hous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정재;김환용;김승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75-81
    • /
    • 2014
  • In this paper we made energy consumption units of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and general apart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compared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y building envelope. The monthly electricity consumption units of general apartment were shown in the range of $1.16{\sim}1.51kWh/m^2{\cdot}mon$ which were indicated higher value in January, February, August and September with little vari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monthly electricity consumption units were represented in the range of $1.91{\sim}7.07kWh/m^2{\cdot}mon$ with significant fluctuations monthly, which were outstandingly high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The monthly city gas consumption units of general apartment were found to be in the range of $1.79{\sim}18.07MJ/m^2{\cdot}mon$, while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were within $0.94{\sim}19.91MJ/m^2{\cdot}mon$. City gas consumption units from December to March were shown highly in both type apartments. The monthly energy consumption units of general apartment were found to be within $14.23{\sim}30.69MJ/m^2{\cdot}mon$, while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were within $24.49{\sim}68.9MJ/m^2{\cdot}mon$. Energy consumption units of glass curtain wall type apartment were suggested 4.84 times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apartment.

바람권역 구분을 통한 부산지역 국지바람 분석 - Part I :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바람권역 대분류 - (Analysis of Local Wind in Busan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Wind Sector Division - Part I : Coarse Division of Wind Sector us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

  • 이화운;정우식;임헌호;이귀옥;최현정;지효은;이현주;성경희;도우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9호
    • /
    • pp.835-846
    • /
    • 2006
  • In this study, climate analysis and wind sector division were conducted for a propriety assessmen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2000{\sim}2004)$ indicated hat air temperature is strongly correlated between 9 atmospheric monitoring sites, while wind speed and direction are not. This is because wind is strong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terrain and the obstacles such as building and tree. in the next stage,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to divide wind sector over the Busan metropolitan area.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usan metropolitan area is divided into 6 wind sectors. However 1 downtown and 2 suburbs an area covering significantly broad region in Busan are not divided into independent sectors, because of the absence of atmospheric monitoring site. As such, the Busan metropolitan area is finally divided into 9 sectors.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해양산업 간의 관계 - 부산시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of Sea Port City and Ocean Industrie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강윤호;우양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27-635
    • /
    • 2013
  • 본 연구의 주제는 우리나라 제1의 항만이자, 해양수도인 부산시를 대상으로 해항도시(sea port city)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산업(ocean industries)의 장기적인 효과 및 그 주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수산업, 해운항만산업, 해양관광산업, 조선업 등 해항도시의 다양한 해양산업이 그 도시의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부산시를 대상으로 심층 연구한다. 이를 위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각 영향변인들에 관한 논거를 살펴보고, 다시 이를 토대로 수산, 해운항만, 조선, 해양관광, 도시재정, 인구, 정치 등에 관한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항도시 부산의 사례에서 해양산업이 도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산업, 해운항만산업, 조선산업, 해양관광산업 등 연구대상으로 삼은 모든 분야의 해양산업이 해항도시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도시경제성장에 대해 해운항만산업과 해양관광산업 및 조선산업의 활성화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수산업의 활성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은 우리에게 해항도시에 대한 해양산업의 경제적 기여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드는 동시에, 향후 정부가 해양산업에 관한 주요 성장동인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지자체 PR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분석 : 부산광역시 블로그 '쿨부산'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PR Communica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Social Media : Focusing on the Official Blog of Busan Metropolitan City, 'Cool Busan.')

  • 선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0-29
    • /
    • 2018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블로그 '쿨부산'을 대상으로 지자체 PR커뮤니케이션이 지자체와 공중간의 관계성과 지자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공중관계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소셜 미디어 정보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흥미성'은 조직-공중관계성과 지자체 이미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공중관계성의 하위요인들 중 '균형성'이 지자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자체 소셜 미디어 정보특성의 지자체 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조직-공중관계성의 매개역할이 입증되었다.

부산광역시교육청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의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48
    • /
    • 2002
  • 학교도서관의 협력망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는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설치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및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최초로 설치하였다. 본고는 먼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구축하는데 적용된 정보시스템의 기반 기술과 외국의 정보시스템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세계도시지역론과 그 지역정책적 함의 (Global City-Regions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 이재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2-574
    • /
    • 2003
  • 이 연구는 아주 최근에 새롭게 제기된 세계도시지역론을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지역발전 정책을 위한 함의를 제안하고 있다. 세계의 주요한 거대도시지역으로. 이루어진 정치ㆍ경제적 조직체 또는 다중심적 구조를 지닌 새로운 규모의 도시조직으로 정의되는 세계도시지역은 세계경제의 역동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발전도 동시에 유발함으로써 세계화시대에서 대안적인 신지역주기 발전모델로 평가된다. 한국에서 세계도시지역모델의 정책적 적용은 특히, 비수도권의 거대도시지역의 세계적 경쟁력 강화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극심한 지역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 필요시 된다. 그러나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의 비수도권의 광역시가 세계도시지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ㆍ도 통합과 지방분권과 같은 제도개혁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