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Metropolitan City

검색결과 691건 처리시간 0.029초

항만공사(PA) 운영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정비와 지원조례 설치방안 -부산항만공사와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Managing Legal Issues and Developing Ordin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Port Authority: Focused on Busan Port Authority and Busan Metropolitan City)

  • 손애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
    • /
    • 2004
  • This study deals with legal issues and solutions for a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Busan Port Authority(BPA) and proposes Busan Metropolitan City Ordin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BPA because the role of BPA is to improve Busan regional economy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In order to prepare the ordinanc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urrent legislation related to Port Authority(PA), which empowers central government to control the management of port, should be amended to strengthen the port autonomy by allowing PA and local government to control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n port independently and enabling the building of cooperative system from the City for BPA.

  • PDF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MRSA 균주의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Busan Area)

  • 최성화;박은희;박연경;김정아;김남호;이영숙;빈재훈;박호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83-1089
    • /
    • 2008
  • 부산 지역 5개 2차 종합병원 설사환자 변에서 유래한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연구 결과,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142주 중 총 49주(34.5%)가 MRSA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중 MRSA 분리율이 '04, '05, '06년에 걸쳐 각각 30.0%, 32.7%, 46.7%인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RSA 균주의 항균제 내성 양상은 75.5%가 10종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1종 항균제에 대한 다제 내성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RSA주의 장독소 유전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 51%가 장독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30.6%가 독소유전자 A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밖에 C (8.3%), B (4.1%) 순이었다. MRSA 총 49주에 대해 PFGE를 수행하여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크게 7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부산지역 전체에 뚜렷하게 동일한 균주의 유행은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종합병원 내에 소규모의 MRSA 유행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의 생태특성을 이용한 수영강 중류 수생태 건강성 평가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Middle Reach of Suyoung River using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Fauna)

  • 전대영;이소림;손정원;차영욱;권기원;유평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34-942
    • /
    • 2010
  • Bent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fauna were investigated from September 2008 to October 2009 in the middle reach of the Suyoung river in Busan. During the survey period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total 35 species at the three sites (Hanmul-gyo, Dongcheon-gyo, Seokdae Jct.) of Suyoung river. At that sites, species diversity index was 1.9, 1.5, 1.6, dominance index was 0.75, 0.81, 0.86 and Korean Saprobic Index (KSI) was 1.8(B), 4.4(D), 4.4(D) on average,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was Caenis Kua, Chironomidae sp., at Hanmul-gyo site and Limnodrilus gotoi, Chironomidae sp., at Dongcheon-gyo and Seokdae Jct. sites. Fish fauna was also investigated at the two sites (Hanmul-gyo and Seokdae Jct.) of Suyoung river. Total caught fishes were 10 species 32 individuals in the first survey and 6 species 26 individuals in the second survey. Dominant species was Carassius auratus in the both surveys.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value was C grade at the Hanmul-gyo and D grade at the Seokdae Jct.

해항도시의 해양환경 관리실태 분석 -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of Sea Port Citie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

  • 김상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9-26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항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 및 동북아 관문항을 지향하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 관리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양환경지표로서 수온(C), 염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mg/l), 용존무기질소(DIN: mg/l), 총질소(T-N: mg/l), 용존무기인(DIP: mg/l), 총인(T-P: mgp/ml), 규산규소(Sio2-Si), 부유물질(mg/l), 클로로필(Chi-a: ${\mu}g/l$) 등의 총 12개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경우 200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는 해양환경상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해양환경지표는 총질소, 용존무기인, 총인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해양환경지표들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패턴에 관한 연구 (Spatial Patterns of Migration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 구동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30-939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부산의 인구 감소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에 의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부산의 교외화에 의한 결과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7대도시 및 부산권의 인구와 가구, 그리고 시도간 및 부산권의 인구이동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은 서울, 대구 등 우리나라의 다른 대도시와 유사하게 인구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부산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셋째, 부산의 인구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부산권으로도 다수 유출되고 있으므로, 부산의 인구 감소를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로만 해석하는 시각은 옳지 않다. 넷째, 부산의 인구는 부산권 내의 인접한 도시로 주로 유출되고 있으며, 따라서 부산의 인구 감소는 부산의 교외화, 즉 부산권의 성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온천천내 수질 및 Cryptomonads 분포의 시기별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Cryptomonads Distribution in Oncheon River)

  • 정태욱;정선영;김민정;최유정;조은정;정재은;서동철;박종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7-184
    • /
    • 2022
  • BACKGROUND: Recently,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into rivers caused by rapid urban and industrialization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algae, which causes eutrophication of riv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ryptomonads growth in the Oncheon River. METHODS AND RESULTS: The water qual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ryptomonads in the Oncheon River were investigated monthly for 12 months from January 2021. The cell number of cryptomonads was intensively developed in January-April, and it decreased sharply in the summer with heavy rainfall. In particular, cryptomonads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river depending on the time, an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for each investigation point.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in Oncheon River was classified as eutrophy all year round, indicating that cryptomonads can grow year-rou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ryptomonads in Oncheon River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DO (r=0.678), BOD (r=0.826) and chlorophyll-a (r=0.613) in water.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cryptomonads in the Oncheon River, it is judged that a complex countermeasure considering the residence time, insolation and precipitation along with water quality factors is required.

소와 돼지 도체표면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분리 및 장독소 검출 (Isol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detection of enterotoxin from pigs and cattle carcass by PCR)

  • 이우원;정병열;김상현;이승미;이강록;김금향;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5-261
    • /
    • 2010
  • At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explore the states of antimicrobial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320 pigs and cattle carcass (160 pigs and 160 cattle) slaughtered in Busan province from March 2008 to November 2009. Among 320 samples, 26 of Staphylococcus aureus were isolated from pigs (10.6%) and cattle (5.6%).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ll of the isolates were demonstrated susceptibility to oxacillin, cefoxitin, cephalothin, vancomycin, rifampin and linezolid. But the isolates were showed resistance other antibiotics in order of penicillin (92.3%), gentamicin (76.9%), tetracycline (69.2%), erythromycin (65.4%), and clindamycin (61.5%). In case of enterotoxin production, 7.7% of 2 strains produced enterotoxin A.

부산광역시 NO2 농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NO2 Concentration at Busan Metropolitan City)

  • 장난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1호
    • /
    • pp.1035-1047
    • /
    • 2005
  • By using hourly $NO_2$ concentration data$(1998\~2000)$ at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ir qualify monitoring sites, characteristics of daily mean value of $NO_2$ concentration was discussed in space and time. The correlation between $NO_2$ concentration and other relating air pollutants was analyzed by using SAS program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as well. After choosing representative 4 areas, this study used hourly concentration data$(1998\~2000)$ from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on $NO_2,\;NO,\;O_3,\;CO,\;SO_2\;and\;PM_{10}$. Typical metropolitan characteristics of two peaks in a day was shown in the variation of $NO_2$ concentration of Busan city.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norovirus 유전자형 연구 (Study on Norovirus Genotypes in Busan, Korea)

  • 김남호;박은희;박연경;민상기;진성현;박소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5-850
    • /
    • 2011
  •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3년 동안 부산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 위장관염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4,101건 중 426건(10.4%)에서 노로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연도별 검출현황은 2008년에 14.7%(222/1,506), 2009년에 6.9%(95/1,384), 2010년에 9.0%(109/1,211)로 나타났다. 월별 분석 결과는 2008년에는 3월에 35.7%(50/140)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2009년 역시 3월에 21.9%(23/105)로 높게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1월에 23.8%(29/122)로 높은 검출율을 보여 겨울절기에 노로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매해 7-8월 여름절기에는 노로바이러스가 거의 분리되지 않았다. 연령별 로는 1세 영아군과 13-19세 중등학생군에서 각각 20.9%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2-6세 소아군에서 17.5%, 20-29세군에서 13.4%, 7-12세 초등학생군에서 12.7%, 30-39세군에서 9.1%, 0세 신생아군에서 8.7%, 50-59세군에서 7.2%, 60-69세군과 70세이상군에서 각각 6.7%, 40-49세 4.5%로 확인되었다. 노로바이러스 양성 검체 340건에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GI군 7종류, GII군 13종류로 총 20종류가 검출되어 다양한 유전자형의 노로바이러스들이 유행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부산지역에서는 GI군이 21.8%(76/348), GII군이 78.2%(272/348)로 GII군이 우세하여 유행하였고, 유전자형 총 20종 중 GII.4형이 49.1%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