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Operation management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and Transport Strategy)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3-332
    • /
    • 1999
  • The bus should supply an equal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as feeder trip. However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an effective feeder service in spite of the changes in the latent demand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ept which frames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o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tackled this evidence by analyzing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emphasizing the following issues ; First, the strategy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Fourth,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ation mode On the latter part,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ould be justified.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 PDF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and the Strategy for Bus Transport Improvement)

  • 배기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3-130
    • /
    • 1999
  • The bus as a feeder trip should supply equality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But in spite of the change of latent demand to the bus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effective feeder service. For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establish a concept that frame of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tackled to evidence this fact by analyzing the bus transport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and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the strategy for improvement of bus operation, 2) the land use control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 network, 3) the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4)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 mode. O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an be justified. This would provide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버스 운행 신뢰성 평가를 위한 정시성지표의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of Punctuality Index for Bus Operation and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 고승영;박준식;김은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42
    • /
    • 2005
  • 버스 운행 정시성은 운행계획에 따라 정시에 운행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이용자의 대기시간은 버스 운행의 정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시성지표는 이용자 관점에서 버스 운행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지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평가척도 중 하나이다. 그러나 실제 버스 운행은 도로여건, 교통상황, 승객수요 등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사전에 작성된 운행 계획을 준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버스 운행의 정시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시성 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한다. 또한 서울시에서 운행하는 여러 버스 노선의 운행 자료를 분석하여 정시성 지표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운행 여건에 따른 정시성지표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시성 확보를 위한 버스노선 당 적정 운행시간 산정 연구 (Study on the Optimum Route Travel Time for Bus to Improve Bus Schedule Reliability)

  • 김민주;이영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2-123
    • /
    • 2017
  • 정부의 대중교통활성화 정책과 이용자들의 승용차에서 버스나 지하철로의 수단 전환으로, 대중교통의 정확한 배차시간과 도착시간의 확보가 중요해졌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 : Bus Management System)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 버스위치, 배차간격, 운행이력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MS 자료를 이용하여 안전운행을 하면서 정시성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른 연구와는 다르게, 버스 정류장 사이 구간을 5개의 지점과 6개의 시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시간을 BMS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각 시간에 영향을 주는 주된 원인을 살펴보고, 요소별 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정류장 별 정시성과 안전성, 이동성을 모두 확보한 버스 노선의 적정 운행시간을 제안하였다.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개발 (A Development of Punctuality Index for Bus Operation Using Time-space Diagram)

  • 양지영;김영찬;김승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29-138
    • /
    • 2005
  • 각 지자체에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BMS사업은 버스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대중교통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BMS(Bus Management System)에 있어 노선별 배차간격 관리는 버스의 정시성 확보를 통한 버스 이용자의 편의를 제고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배차간격 및 정시성 준수여부 등 버스서비스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해야만 효율적인 버스운행 관리를 할 수 있으나, 기존 방법의 대부분이 정성적 지표에 머물고 있다. 또한 버스운행 정보의 부족으로 정량적인 평가방법은 현장조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각 지자체 BMS의 도입으로 개별 버스의 자세한 운행 정보 수집과 정량적인 지표에 의한 객관적인 번스 운행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BMS 센터로 수집되는 개별 버스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버스운행 서비스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버스 정시성 평가방법을 고찰하고 새로운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지표개발은 노선별 시공도 작성을 통해, 스케줄 기반(Scheduled-based), 차두시간 기반(Headway-based)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를 실제 버스운행 수집 데이터에 적용해 정시성을 평가해 보았다.

APTS 자료기반의 서울시 버스신뢰성 관리정책과 평가 (Bus Reliability Management Policy and Evaluation of Seoul Metropolitan Based on APTS Data)

  • 이호상;임정실;정영제;김영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2
    • /
    • 2008
  • 최근 극심함 교통혼잡 및 유류비 상승으로 인해 대중교통(특히 버스)의 역할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일부 황금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버스노선이 지속적인 이용수요감소, 수입감소, 경영수지악화, 서비스질 저하, 이용자감소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버스의 공공성 강화의 한 방편인 준공영제(관리는 공공, 운영은 민영)를 도입하였으나, 당초 민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했던 의도와는 다르게 운수회사의 자발적인 운행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공공부분의 운행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영제 하에서, APTS 자료를 활용하여 민간 운수회사의 평가관리가 가능하고, 시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버스신뢰성 제고를 위해 서울시에서 관리중인 운행관리항목의 종류와 분석방법론, 운행관리결과, 문제점 및 향후 대책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내용이 이미 준공영제를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타 시도의 운행관리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버스전용차로 구간 유형별 버스사고영향요인 분석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 of Bus Accidents in Bus Lane Section)

  • 박준태;김현진;김정열;장일준;임준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3-160
    • /
    • 2012
  •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car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roblems(air pollution, noises etc.) have been happen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at has the car oriented traffic system providing cars continuously. Along with this, the financial burden caused by current oil price anxiety made paradigm shift from caroriented to public transportation-oriented. Its typical example is an arterial branch bus system changing(bus lane through the center of main road) started in Seoul in July, 2004. But study on safety analysis of bus lane and characteristic of accident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now. The bus lanes are expanded to provide roads for better traffic operation and accidents between buses and pedestrians or ordinary vehicles are considered main problems. This study divided each bus route of median bus lane(bus-only lane through the center of main roads) and bus lane at roadside by intersection and collected and analysed data about influence variables of bus accidents chosen in each section. We constructed a logistic model using collected data. As a result, bus lane at roadside are used by both buses and other kinds of vehicles differently from median bus lane and showed such characteristic in accident influence. Therefore access management to factors causing conflict and improvement of operation management are required. In case of median bus lane, the more buses moving general vehicle lane and traffic volume of section were, the more accidents happened. In case that stop line of center lane is not backward, view blocking of vehicles turning left caused accidents.

정보화시대의 대중교통정책 : 광주광역시의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 Traffic Policy in Information Age: Focused on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전정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9-33
    • /
    • 2010
  • 시내버스는 과거 시민들에게 교통편익을 제공하는 가장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이었지만 최근 자가용의 급속한 증가와 지하철 건설 등으로 버스 이용자는 감소 추세에 있다. 따라서 시내버스업체의 경영여건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으며, 시민에 대한 교통서비스 수준 역시 낮게 평가되어 왔다. 이에 서울과 부산 및 각 광역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운영의 합리화와 지하철과의 연계 등 대중교통 시스템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경쟁적으로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대도시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시내버스 운영형태와 외국(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일본 동경도)의 사례를 먼저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대도시들에서 도입한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현황, 실시효과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광주광역시의 대중교통현황과 준공영제의 운영 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대중교통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실시간 버스 운행계획수립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Optimal Bus Scheduling Models)

  • 김원길;손봉수;정진혁;이점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587-595
    • /
    • 2008
  •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버스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며 버스운영 측면에서 불필요한 운행을 최소화하기 위한 버스운행계획 최적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2000년 이후 ITS의 일환으로 버스 운행계획 최적화를 통한 운행관리와 정보제공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과학적인 기반 하에 합리적인 버스운행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운행계획 수립을 위해 구간 및 정류소 단위의 운행이력, 버스이용수요 등 세부자료를 활용하여 DTR 및 DTRC 모형에 따라 버스운행계획을 수립하였고 기점 및 정류소 단위의 timetable을 작성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서울시 472번 간선노선을 대상으로 BMS, 교통카드 등의 수집 자료를 활용하여 운행계획을 수립하고, 모형에 사용된 파라미터와 가정들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내버스 노선별 특성 분석에 기초한 운행 개선 방안 연구: 공공성과 수익성을 고려하여 (Proposition of Desirable Mana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Various Bus Route Type)

  • 이상용;정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6-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제도 아래에서 효율적인 시내버스 노선 운영 개선 방안을 도모하기 위해 버스 노선의 유형별 적정 서비스 제공 수준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 특성을 반영하는 공공성 개념을 도입하고, 수익성과 잠재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시내버스의 노선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노선 유형 분류 방법을 활용하여 부산에서 실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113개 노선을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노선연장, 운행횟수, 도심통과 유무 등 9개의 노선별 운행특성을 고려하여 유형별 시내버스 노선 운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버스 노선의 운영 개선 방안을 도출함에 있어, 9개의 노선별 운행특성자료를 주성분 분석으로 3가지 운행특성 자료로 축약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유형별 시내버스 노선의 운영 개선 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