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TS 자료기반의 서울시 버스신뢰성 관리정책과 평가

Bus Reliability Management Policy and Evaluation of Seoul Metropolitan Based on APTS Data

  • 이호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임정실 (아주대학교 교통공학과) ;
  • 정영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발행 : 2008.04.30

초록

최근 극심함 교통혼잡 및 유류비 상승으로 인해 대중교통(특히 버스)의 역할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일부 황금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버스노선이 지속적인 이용수요감소, 수입감소, 경영수지악화, 서비스질 저하, 이용자감소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버스의 공공성 강화의 한 방편인 준공영제(관리는 공공, 운영은 민영)를 도입하였으나, 당초 민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했던 의도와는 다르게 운수회사의 자발적인 운행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공공부분의 운행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영제 하에서, APTS 자료를 활용하여 민간 운수회사의 평가관리가 가능하고, 시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버스신뢰성 제고를 위해 서울시에서 관리중인 운행관리항목의 종류와 분석방법론, 운행관리결과, 문제점 및 향후 대책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내용이 이미 준공영제를 도입하였거나,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타 시도의 운행관리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roll of bus transit is critical more than before because of the dramatical increase in congestions and oil prices, but bus companies seriously encounter into vicious circle situation such as decrease in passenger demand, income reduction, and revenue deterioration. To tackle this, major metropolitan cities, Seoul, Busan, DaeGu, etc. have introduced a semi-public system to reinforce public function of bus. However, it was resulted in side effects that the main board of bus company did not control theirselves voluntarily, and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public sectors on bus become very important elements. In this research, the types, limitations, and development of operation-management items, and a methodology for analysis, and changes in those trends are addressed under semi-public system using APTS data. Conclusively, this study could be one of the useful application results and alternatives for the operation-management policy of bus transit-related agenc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