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699건 처리시간 0.031초

버스정보기반 통행속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vel Speed Estimation Using Bus Information)

  • 빈미영;문주백;임승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는 버스정보가 도로의 통행속도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도로통행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지점검지기, 구간검지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와 경기도에서 수집되는 버스정보를 속도정보로 가공하여 비교하였다. 버스정보가 교통정보 검지기의 기능을 할 수 있다면,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구간의 교통류에 대한 패턴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접근방법보다는 기존에 검증된 방법을 중심으로 버스정보를 이용한 교통류 패턴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버스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버스정보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는데, 단순이동, 지수평활법과 이중이동, 이중지수평활법, ARIMA(p,d,q)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모형들은 평가지표인 100-MAPE, MAE, EC로 비교한 결과 상호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단순평균이동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로서 버스정보를 구간의 통행속도로 이용할 경우, 모형의 추정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교통 예측 모델 - 환경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기계 학습을 통한 예측 모델의 구축 및 검증 - (Big Data Based Urban Transportation Analysis for Smart Cities - Machine Learning Based Traffic Prediction by Using Urban Environment Data -)

  • 장선영;신동윤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2-19
    • /
    • 2018
  • The research aims to find im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and urban big data as a way to construct the flexible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of smart city by responding the urban context changes. This research deals with a problem that existing a bus headway model is difficult to respond urban situations in real-time. Therefore, utilizing the urban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prototyping tool in weathers, traffics, and bus statues, this research presents a flexible headway model to predict bus delay and analyze the result. The prototyping model is composed by real-time data of buses. The data is gathered through public data portals and real tim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by the government. These data are fundamental resources to organize interval pattern models of bus operations as traffic environment factors (road speeds, station conditions, weathers, and bus information of operating in real-time). The prototyping model is implemented by the machine learning tool (RapidMiner Studio) and conducted several tests for bus delays prediction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As a result, possibilities of transportation system are discussed for promoting the urban efficiency and the citizens' convenience by responding to urban conditions.

AMBA 버스 기반의 SoC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중재 알고리즘 (Arbitration algorith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AMBA bus system)

  • 이영원;송문빈;정연모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961-962
    • /
    • 2006
  • The AMBA(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having an influence upon system performance in ARM-based SoC environments. The system guarantees easy connection and good performance as a 32-bit bus system for ARM processors. In this paper, we analyze arbitration algorithms for the AHB bus of the AMBA system and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us system.

  • PDF

왕복통행 특성을 이용한 지방부 버스정보안내기(BIT) 지점 선정 (Determining locations of bus information terminals (BITs) in rural areas based on a passenger round-trip pattern)

  • 김형수;김응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BIT 설치 정류장 조사를 적은 비용으로 간단히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도시부와 지방부를 연결하는 버스 노선의 경우 어떤 정류장에서 버스에 승차한 이용자가 용무를 마친 후에 같은 노선의 버스로 돌아오는 왕복통행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판단된다. 즉, 임의의 정류장에 하차한 사람은 이전에 길 건너편 정류장에서 승차했던 사람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자가 버스에 승차하여 각 정류장에서 승차인원과 하차인원을 모두 조사하여 얻어지는 수치를 이용하여 버스정류장별 BIT 이용지수를 만들었다. 방법의 적용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서일주도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차량보급율이 높은 지역으로 설문조사에서 46%가 통학에 이용한다고 대답하였다.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을 서쪽으로 연결하는 일주도로 80 km 구간으로 상하행 204개 버스 정류장이 운영되고 있다. 제주 도심과 서귀포 도심을 연결하지만 일주도로상에는 모두 지방부 지역으로 왕복통행 패턴이 확연한 노선이다. 조사는 제주시에서 조사자가 탑승하여 서귀포시에 갔다가 다시 제주시로 돌아오는 편도 4회(왕복 2회) 이루어졌다. 조사자는 버스에 탑승하여 승차와 하차 인원을 각각 기록하였다. 조사하여 얻어진 수치를 이용하여 버스정류장별 BIT 이용지수를 만들어 설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방법은 지역적 통행 특성에 근거한 조사 방법으로 항상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통행 특성이 전제된다면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결과를 얻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BIS(Bus Information System) 정확도 향상을 위한 머신러닝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Improve BIS (Bus Information System) Accuracy)

  • 장준용;박준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52
    • /
    • 2022
  • BIS(Bus Information System) 서비스는 대도시를 포함하여 중소도시까지 전국적으로 확대운영되는 추세이며, 이용자의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버스도착시간 신뢰성 향상 관련 기술개발, 오차 최소화를 위한 개선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정보 정확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방법인 LSTM을 이용하여 정확도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기존 칼만필터, 뉴럴 네트워크 등 방법론과 비교하였다. 실제 여행시간과 예측값에 대해 표준오차를 분석한 결과 LSTM 기계학습 방법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정확도는 약 1% 높고, 표준오차는 약 10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총 162개 구간 중 109개 구간(67.3%)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어 LSTM 방법이 전적으로 우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구간 특성 분석을 통한 알고리즘 융합시 더욱 향상된 정확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ilot Bus의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지역별 전압제어 (Effective Localized-Voltage Control Scheme using the Information from Pilot Bus)

  • 송성환;윤용태;문승일;이호철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5권12호
    • /
    • pp.505-513
    • /
    • 2006
  •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recent blackout, like August 14, 2003 blackout in the US and Canada has been insufficient voltage/reactive power support. For the stable reactive power management, a new approach for the voltage monitoring and control structure is required in the market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effective localized-voltage control scheme using the information from pilot buses at each zone. In this paper, the steady state voltage monitoring and control (SSVMC) is adopted and illustrated for the voltage control scheme during steady state because it is thought as the systemic algorithm to explain voltage profile phenomenon before and after contingencies. And the concept of electrical distance is applied to simultaneously achieve both clustering the voltage control zone, and selecting the pilot bus as the representative node at each control zone. Applying SSVMC based on the structure with clustering and pilot bus enables system operators to monitor and understand the system condition much more easily, to monitor and control the voltage in real-time more manageably, and to respond quickly to a disturbance. The proposed voltage control scheme has been tested on the IEEE 14-bus system with the nume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system reliability and structure efficiency.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심층신경망 성능 비교 (Comparison of Deep Learning Networks in Voice-Guided System for The Blind)

  • 안륜희;엄성호;유윤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5-177
    • /
    • 2022
  •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시스템 안에 사용될 수 있는 심층신경망에 따라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시스템은 GPS, 경로 안내 API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르는 경로를 찾고 안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임베디드 보드, 심층신경망, 버스정보 API를 이용해 원하는 버스의 탑승 대기시간을 구하고 도착을 감지하는 정거장 설치형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정거장 설치형 모듈에 탑승할 버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서 faster-RCNN, YOLOv4, YOLOv5s 세 가지 심층신경망을 적용했고 최상 정확도와 속도면에서 YOLOv5s 심층신경망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and the Strategy for Bus Transport Improvement)

  • 배기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3-130
    • /
    • 1999
  • The bus as a feeder trip should supply equality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But in spite of the change of latent demand to the bus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effective feeder service. For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establish a concept that frame of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tackled to evidence this fact by analyzing the bus transport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and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the strategy for improvement of bus operation, 2) the land use control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 network, 3) the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4)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 mode. O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an be justified. This would provide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타이젠 용 데스크톱 버스 (D-Bus) 권한 우회 취약점 분석 및 자동 탐지 (Automatic Detection and Analysis of Desktop Bus'(D-Bus) Privilege Bypass in Tizen)

  • 김동성;최형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1023-1030
    • /
    • 2020
  •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기기들은 시스템 내에서 민감한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보안 기능이 요구된다. 타이젠 운영체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별한 권한을 요구하는 서비스에 접근 시 시스템 데스크톱 버스(D-Bus)를 통하여 요청하는데, 시스템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권한을 검증하여 서비스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젠 웨어러블 운영체제의 권한 정책과 접근 제어에 취약한 서비스들을 검출하기 위해 데스크톱 버스 분석 자동화 도구를 소개한다. 자동화 도구는 타이젠 시스템 내 다양한 서비스들에서 권한 검증을 우회할 수 있는 다수의 취약한 호출 메소드들을 발견하였다. 상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무선랜 위치 추적, 푸시 알림 수집 등 최소 5개의 취약점에 대한 시연을 하였다.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and Transport Strategy)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3-332
    • /
    • 1999
  • The bus should supply an equal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as feeder trip. However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an effective feeder service in spite of the changes in the latent demand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ept which frames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o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tackled this evidence by analyzing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emphasizing the following issues ; First, the strategy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Fourth,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ation mode On the latter part,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ould be justified.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