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ied Type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Starburst and AGN activity in local infrared luminous galaxies

  • 이종철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55.1-55.1
    • /
    • 2011
  • Luminous infrared galaxies (LIRGs; $L_{IR}$ > ${10^{11}}_{Lsun}$) are the most powerful objects in the local Universe. Previous work suggested that dust re-processing of starburst and/or active galactic nuclei (AGN) activity, triggered by galaxy interactions, is responsible for their enormous infrared emiss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LIRGs,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ir spectral types. Optical spectral types of 115 ultraluminous infrared galaxies in the southern sky are presented using CTIO observations. The AGN fraction is on average 50% and increases with infrared luminosity. Near-infrared spectral types of 36 LIRGs are also presented based on AKARI observations. In the sample, 12 optically elusive buried AGNs are found. To investigate the evolutionary sequence of LIRGs, star formation histories of ~6000 LIRGs in the SDSS and IRAS/AKARI matched sample are derived by comparing observed optical spectra and stellar population models. AGN-dominated LIRGs are currently massive relative to starburst-dominated LIRGs, which originates from an enhancement of star formation at intermediate-ages. For ~1100 early-type LIRGs, optical and NIR fundamental planes (FPs) are constructed. The FP of LIRG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early-type galaxies, but the difference is minimized in low luminous and AGN-like LIRGs. These findings support that the importance of AGN is growing as infrared luminosity increases and that LIRGs follow at least in the high mass regime the standard evolutionary scenario: starburst LIRGs evolve into AGN LIRGs and finally into normal early-type galaxies.

  • PDF

Considerations for the Management of Cryptotia Based on the Experience of 34 Patients

  • Kim, Seok-Kwun;Yoon, Chung-Min;Kim, Myung-Hoon;Kim, Min-Su;Lee, Keun-Cheo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601-605
    • /
    • 2012
  • Background Cryptotia is a congenital ear deformity in which the upper pole appears buried beneath the mastoid skin. Cryptotia is a common auricular malformation among Asian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urgical techniques for and complications of 34 cryptotic patients. Methods Surgery was performed for 34 cryptotic deformities (January 2005 to January 2012). Twenty-two patients (64.7%) were classified as having type I cryptotia, and 12 patients (37.5%) type II cryptotia. Among the type I cryptotia patients, 8 patients had mild deformity and 14 severe deformity. Among the type II cryptotia patients, 10 patients had mild deformity and 2 severe deformity. Results The mild deformities were corrected via Z-plasty, V-Y plasty, full-thickness skin graft, and transposition flap, while the severe deformities were corrected via cartilage graft or Medporfor the spread of cartilage adhesion of antihelix. There were two cases of reinvagination in the autologous cartilage graft group. Implant exposure occurred with Medpor (two cases). There were two cases of hypertrophic scar on the previous surgical wound with Medpor.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 the 18 patients who had mild deformities. Conclusions The type I cryptotia patients had more severe deformities than the type II cryptotia patients. As most of the type II cryptotia patients had only mild deformities, their deformities were corrected without using autologous conchal cartilage graft or Medpor, except for two patients. Through more case analyses, resear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identify methods for recurrence and prevention of complication.

저수지 제체 내 배수통관의 누수로 인한 파이핑 분석 (Piping Analysis of Reservoir Embankment due to Leakage of Buried Box Culvert)

  • 김한일;양학영;김영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787-799
    • /
    • 2017
  • 저수지 제체 내 수로 구조물과 흙 접촉면의 장기적인 누수가 제체 파괴의 주원인 중의 하나 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배수통관과 같은 구조물이 부분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외형적으로 관측하기 곤란하고 파이핑 등에 의한 제체 손상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저수지 제체를 관통하는 배수 통관이 부등침하 등으로 인해 통관 일부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저수지의 제체 형태를 코어형 단면과 균일형 단면으로 구분하여 수위변화에 따른 2차원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수지 등의 제체를 관통하는 배수 통관으로의 누수가 발생 할 경우 통관 하부보다는 상부가 파손되어 누수가 되는 경우가 파이핑 발생 가능성이 크며, 특히 제체 하류측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제체 중심 코어부의 존재는 제체 안정 유지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저수지 제체 내부 간극수압의 급격한 감소가 관측되면 파이핑 발생 우려에 대한 심도 있는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석면의 활용을 위한 저온 용융처리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ow temperature melting treatment of waste asbestos for using)

  • 송태협;김영훈;박지선;이세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83-90
    • /
    • 2010
  • As a reinforced fabric, asbestos has been utilized as a fire-resistant material as it has a superior flexural stiffness and heat resistance up to $1500^{\circ}C$. However, due to its harmfulness, its use has been prohibited recently and the even the installed asbestos materials are being repaired or supplemented if there is a concern about flying. Asbestos is mainly used for construction panels as a reinforced fabric and coating materials to ensure the fire-resistance of steel frames. Asbestos was used as fire-resistant materials for steel frames until 1991 and then prohibited as Act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imits the concentration of asbestos in the air. Classified as a designated waste according to Act on Waste Control, asbestos must be buried if there is no possibility of flying (panel-type materials) or cement-solidified and then burie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flying (spray coating material) In general, it is required that a new waste landfill include a certain landfill facility for designated waste, but in reality there is an absolute storage of landfill facilities for designated waste as they only install facilities of the size required by the regulations. This could result in the 2nd environmental pollution as they cannot process asbestos wastes which will be generated in large volume in the future. This study explores a method that melts asbestos wastes at $700^{\circ}C$ rather than cement-solidifying the waste asbestos from construction sites, especially asbestos-containing spray coating.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mposition and shape even though asbestos wastes was melted at $1300^{\circ}C$, but there was a change for the specimen which was process in advance for low temperature melting and then melt at $900^{\circ}C$.

  • PDF

SOA 집적 XPM형 파장변환기 모듈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PM based wavelength converter module with monolithically integrated SOA's)

  • 김종회;김현수;심은덕;백용순;김강호;권오기;엄용성;윤호경;오광룡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9-514
    • /
    • 2003
  • SOA(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를 단일 기판에 집적한 Mach-Zehnder 간섭계 구조의 파장변환기를 제작하여 40 nm 지역폭에 대한 10 Gb/s 파장변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작된 파장변환기는 BRS(Buried Ridge Structure)형 SOA와 수동 도파로를 butt-joint결합하여 단일 집적한 구조이다. 집적화 과정에서 높은 도파 손실을 발생시키는 p+ InP덮개층을 제거하고 무첨가 InP로 도파로 덮개층 및 전류 차단층을 동시에 형성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였고, 모듈 제작에서 경사진 도파로와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광 접속하기 위하여 경사진 광섬유 배열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파장변환기 모듈을 이용하여 1535-1575 nm의 40 nm 대역폭에서 1 ㏈ 이하의 power penalty를 갖는 10 Gb/s 파장변환을 구현하였고, 특히 negative penalty를 갖는 파장변환을 성공적으로 구현함으로써 2R(re-amplification, re-shap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파이프형 앵커의 인발거동에 대한 연구 (Study on Pullout Behavior of Pipe Anchor)

  • 배우석;이봉직;권영철;이준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표면거칠기와 근입비, 직경에 따른 파이프형 앵커의 인발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험이 시행되었다. 수직방향의 지반 변형에서 매입된 파이프형 앵커의 설계는 파이프에 부과된 힘의 크기에 의해 지배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실험의 분석을 통하여 파이프 직경과 표면 거칠기, 근입비와 지반상태로 야기된 파이프형 앵커의 변위 특성과 극한 저항력을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상대밀도의 증가에 따라 극한 인발력이 20%가량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반의 상대밀도와 파이프의 지름, 표면거칠기의 변화에 따른 파이프형 앵커의 파괴시 변위는 근입비가 2에서 8로 증가함에 따라 약 5배 정도의 증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앵커이론에 근거한 이론식들은 인발계수를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파로 결합 구조에 따른 DBR-LD의 동작특성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DBR-LD with Wavegudies Coupling Structure)

  • 오수환;박문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9호
    • /
    • pp.666-67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광의 결합 메커니즘이 다른 ITG(integrated-twin-guide) 와 BT(butt coupled) 구조를 가지는 두 종류의 파장 가변 DBR-LD의 제작공정과 성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두 종류의 DBR-LD는 PBH(planar buried heterostructure) 구조론 가지며, MOVPE 성장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DBR-LD 광출력 특성을 측정한 결과 BT-DBR-LD가 ITG-DBR-LD보다 임계전류 변화폭, 광출력 변화 폭, 기울기 효율에서 2배 이상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준 연속 파장 가변 특성은 BT-DBR-LD가 7.2nm, ITG-DBR-LD가 7.4nm 이며, SMSR이 35dB 이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BT DBR-LD가 특성이 우수한 것은 BT 구조가 ITG 구조보다 높은 결합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Si_3N_4-SiO_2$ 도파로 가변 브래그필터 (Tunable bragg filter of $Si_3N_4-SiO_2$ waveguide using thermooptic effect)

  • 이형종;정환재
    • 한국광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44-251
    • /
    • 1992
  • $SiO_{2}$를 덮개층으로하는 $Si_{3}N_{4}$ rib 도파로의 $Si_{3}N_{4}-SiO_{2}$ 계면에 브래그격자를 제작하여 매립된 형태의 단일모우드 브래그필터 도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HF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Si_{3}N_{4}$ 코어층에 브래그격자를 식각하였으며 1nm까지 식각깊이를 제어하며 균일하게 식각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매립된 형태의 브래그필터는 그 특성이 소자표면의 오염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브래그필터의 파장스펙트럼 측정에서 도파로의 모우드굴절률과 반사대역폭을 결정하고 이를 계산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브래그필터의 도파코어층에 미세히터와 silicone rubber의 덮개층을 올려 필터파장을 가면할 수 있는 도파로 가변 필터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브래그파장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여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동량은 10mA의 전류에 대해 0.41nm이다.

  • PDF

고압가스배관의 기계적 충격(타공사)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Impact (Third Party Damage) of High Pressure Gas Pipe)

  • 이경은;김정환;하유진;길성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14
    • /
    • 2017
  • 가스배관 사고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는 기계적 충격(타공사 등)으로 인한 사고이다. 이는 국내 주요 산업단지에 매설되어 있는 고압가스배관의 대다수가 매설 시기가 20년 이상인 노후 배관이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별도의 검사 및 보강 시간 없이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타공사(굴착공사) 실험을 통해 기계적 충격 시 배관에 미치는 결함 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산업단지에서 굴착공사 시 사용되고 있는 21 ton 굴착기와 ASTM A106 Grade.B와 ASTM A53 Grade.B 배관을 이용해 타격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굴착기 작업에 이용되는 버켓 중 톱니 버켓 일 때 결함의 정도가 더 컷으며, 매설되어 있는 배관의 관경이 작을수록 결함의 깊이 및 길이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굴착기 작업 중 타격 높이는 매설 배관의 결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울특별시 지하철 A설계구간에서의 지하수 수질 및 오염특성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in the 'A' section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 이병선;우남칠
    • 지질공학
    • /
    • 제12권4호
    • /
    • pp.379-394
    • /
    • 2002
  •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지하철 A설계구간에서, 현재 시점의 지하수 수질 및 오염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지하철 공사로 인한 수질 악화 발생시, 이에 과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설계구간을 따라 총 21개 시추공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배경수질은 주로 $Ca-HCO_3$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체시료 가운데,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시료는 1개이며, 나머지 20개 시료는 $SO_4$, Cd, Pb, Fe, Mn, Al, F, $NO_3-N$ 등이 먹는 물 수질 기준치를 초과하여 있었다. 오염의 형태는 일부 시료에서 몇몇 화학 원소의 농도가 나머지 시료에서의 농도보다 크게 나타나는 점오염의 형태를 띄었다. 화학분석 자료와 포화지수 분석을 통하여, 지하에 매립된 물질과 지표 퇴적물이 일차적인 오염원임을 추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연구지역 내 지하수 시료의 수리화학적 특성의 약 47%가 오염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