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prenorphin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상복부 수술후 진통을 위한 경막외 Buprenorphine의 효과 (Efficacy of the Epidural Bupren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 신감진;최훈;한영진;김동찬;송희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13-219
    • /
    • 1993
  • 수술후 통증관리에 있어서 경막외 buprenorphine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에 있어서 morphine 2 mg 및 4 mg, buprenorphine 0.15 mg, 및 0.3 mg을 경막외로 각각 투여하여 혈압과 맥박의 변화, 작용발현기간, 작용 지속 시간, 부작용의 발생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혈압 및 맥박의 유의한 변동은 초래하지 않았다. 2) 작용 발현은 morphine 2 mg군에서는 약물 주입후 30분에, 나머지 군에서는 15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진통 지속 시간은 morphine 2 mg 군에서는 $10.79{\pm}3.64$시간이었고, morphine 4 mg군에서는 $21.13{\pm}4.36$시간, buprenorphine 0.15 mg군에서는 $15.19{\pm}3.12$시간, buprenorphine 0.3 mg군에서는 $33.94{\pm}3.97$시간이었다. 4) 부작용의 발생은 buprenorphine군에서 오심, 구토가 많았으며, 졸림증이 현저하게 많았고, 소양감과 배뇨 곤란은 morphine군에서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수술후의 통증관리에 있어서 경막외로의 buprenorphine주입은 유용한 방법이며, 경막 외 morphine에 비해 장점과 단점을 아울러 포함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개구리 좌골신경에 대한 Buprenorphine의 작용 양상 (Agonist-Antagonist Effects of Buprenorphine on Action Potentials of Frog Sciatic Nerve Fibers)

  • 이종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30
    • /
    • 1989
  • 함께 투여되는 마약성진통제에 따라 효능제 또는 길항제(mixed agonist-antagonist)로 작용하는 buprenorphine을 사용하여 개구리 좌골신경에 존재하는 아편수용체의 성질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sucrose-gap apparatus를 사용하여 활동전압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약물의 상호작용을 검토하고자 meperidine 또는 naloxone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uprenorphine은 현저하게 개구리 좌골신경의 활동전압을 저하시켰다. 2) 두 개의 최고작용농도를 보였는데 저농도에서는 $10^{-8}\;M$, 또 고농도에서는 $10^{-4}\;M$에서 현저하게 작용을 나타내었다. 3) Buprenorphine은 meperidine의 활동전압 저하작용을 의의있게 억제하였다. 4) Naloxone에 의하여 Buprenorphine의 저하 작용이 억제되었다. 위의 실험결과로 Buprenorphine은 순수 마약성진통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차단제로 작용하는 한편 또한 효능제로 활동전압을 의의있게 억제하였다. 이로써 개구리 좌골신경에 있는 아편수용체는 세포막에 또는 세포막 주위에서 $Na^+-Channel$이 활성화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 수용체는 또한 Naloxone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 PDF

Morphine과 Buprenorphine의 지속적 정주에 의한 술후 통증 억제효과의 비교 (Effects of Morphine and Buprenorphine Intravenous Infusion for Postoperative Pain)

  • 백선기;소상윤;한영진;최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1호
    • /
    • pp.78-83
    • /
    • 1994
  • 수술후 통증치료에 morphine과 buprenorphin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orphine과 buprenorphinec을 단독 투여하거나(1, 2군) buprenorphine과 ketorolac을 반량씩 혼합하여 지속적으로 정주(3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군에서 모두 혈압과 맥박의 의의있는 변화는 초래하지 않았다. 2) Visual analogue scale으로 평가한 진통 발현은 각군에서 모두 비슷하였다. 3) Visual analogue scale과 Prince Henry Scale로 평가한 진통효과는 morphine군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buprenorphine군과 buprenorphine+ketorolac의 반량 투여군에서는 비슷하였다. 4) 부작용의 발생은 1군과 2군에서 비슷하였으나 3군에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지속적 정주에 의한 술후 통증의 억제에 있어서 buprenorphine은 morphine을 대치할 수는 있으나 morphine보다 우수하지는 못한 것으로 사료되며, buprenorphine 사용시는 ketorolac을 병용하여 사용량을 줄염으로써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uprenorphine 천골강내(薦骨腔內) 주입(注入)에 의(依)한 술후(術後) 제통효과(除痛效果) (Caudal Bupren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Abdominal Surgery)

  • 윤덕미;고순영;오흥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권1호
    • /
    • pp.80-86
    • /
    • 1988
  • Caudal buprenorphine was investigated as a postoperative analgesic in a randominzed double blind study of 45 patients after abdominal surgery. At the end of surgery, patients were given 0.2 mg of caudal buprenorphine in 20 ml saline(n=30, experimental group) or no injection(n=15, control group). Pain relief was evaluated by the subsequent need for systemic analgesics(pethidine). Arterial blood gas and micturition disturbance were evaluated. In the buprenophine group, use of systemic analgesics was significantly reduced for the first 24 hours postoperatively. Arterial blond gas study values 2 hollers after buprenorphine administration were within normal range. 8 patients of the buprenorphine group developed urinary retention requiring temporary Nelaton catheterization of the bladder. Caudal bupren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a good alternate method of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 PDF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신체적 의존을 경피적 Buprenorphine 패취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보고 (Successful Treatment with Transdermal Buprenorphine Patch in Opioid-Dependent Cancer Patients: Case Series)

  • 고세일;김정훈;이경원;강정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52-157
    • /
    • 2018
  • 암환자에서 암성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강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마약성 진통제 관련 이상행동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암성 환자에서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중독 및 신체적 의존의 치료는 잘 알려져 있으나, 암환자, 특히 국내의 암환자에서는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저자들은 강한 마약성 진통제에 대해 신체적 의존을 보여 부분 뮤-아편양 수용체 작용제인 buprenorphine으로 성공적으로 치료 받았던 열 명의 암환자들을 보고하고자 한다. 이는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신체적 의존을 경피적 buprenorphine 패취로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준 첫 번째 보고이다.

수술후 통증관리를 위한 Buprenorphine의 지속적 경막외 투여효과 (Effects of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of Bupren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 윤희동;박영철;임혜자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1호
    • /
    • pp.151-158
    • /
    • 1996
  • Background: Buprenorphine, a new synthetic thebaine derivative, is a partial agonist of the opioid $\mu$-receptor with high receptor affinity, great lipid solubility, and slow rate of opiate receptor association and dissociation.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of opioid can possibly produced undesirable effects, such as respiratory depression, pruritus, etc, in spite of effective postoperative analgesia.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analgesic properties and side effects of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of buprenorphine combined with bupivacaine, and morphine combined with bupivacaine in 90 patients following elective gynecologic lower abdominal surgery. At the end of surgery, the initial bolus doses were 3 mg morphine (M group), 0.15 mg buprenorphine (0.15B group), 0.3 mg buprenorphine (0.3B group) combined with 0.25% bupivacaine 10ml, and subsequent continuous infusion doses were 6 mg morphine plus 0.125% bupivacine 100 ml (M group) and 0.6mg buprenorphine plus 0.125% bupivacaine 100 ml (0.15B, 0.3B, group) during 48 hours. The assessment of analgesic efficacy and side effects were made at arrival of recovery room, 1 hr, 4 hr, 8 hr, 24 hr, 36 hr, and 48 hr after the epidural injection. Results: The pain score during 48 hou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0.15B group than in the M group and 0.3B group (P<0.05), and the number of patients requiring additional analges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0.15B group than in the M group and 0.3B group (P<0.05). Signs of respiratory depression were not noted, and the incidence of pruritus, nausea, and vomiting was slightly lower in the 0.15B group and 0.3B group than in the M group, and the incidence of sedation and urinary retention was similar in three group. The subjective rating of satisfaction was better in the 0.3B group than in the M group and 0.15B group (P<0.05).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epidural infusion of buprenorphine combined with low-dose bupivacaine is an advisable method of postoperative analgesia.

  • PDF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일회 주사 내전근관 차단술 및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요법과 도관 삽입 지속적 내전근관 차단술의 임상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Outcomes of a Single Injection Adductor Canal Block with the Concomitant Use of Transdermal Buprenorphine and 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고영철;하동준;박준형;이우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1-417
    • /
    • 2019
  •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시행 후 일회 주사 내전근관 차단술(single injection adductor canal block, SACB), 지속적 내전근관 차단술(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CACB), 그리고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사용을 통한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TKA 후 통증 조절을 시행한 12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SACB를 단독 시행한 I군(41명), SACB 및 경피성 buprenorphine 10 ㎍/h를 병합 사용한 II군(44명), CACB를 시행한 III군(40명)으로 분류하여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통증 조절 지표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사용하였으며, 술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째 침상 안정 상태에서의 VAS (VAS-Rest)와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중 VAS (VAS-CPM), 그리고 술 후 48시간 동안 정맥주사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를 위한 약물(부토판, 트리돌, 케토락)의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기능 개선 지표로 술 후 48시간 동안 오심 및 구토 증상 횟수,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 최대 슬관절 굴곡 범위와 최대 자가 보행 거리, 그리고 총 재원 기간을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VAS-Rest는 술 후 12시간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와 VAS-CPM, PCA 총 사용량에서 II, III군이 I군보다 유의하게(p<0.05)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오심 및 구토 증상 횟수, 최대 슬관절 굴곡 범위와 자가 보행 거리, 총 재원 기간은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SACB 및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사용은 초기 통증 조절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카테터로 인한 문제가 없고, 사용의 편의성 및 신 기능에 대한 안전성이 있기 때문에 TKA 후 유용한 통증 조절 방법이 될 수 있다.

Determination of Buprenorphine in Raw Material and Pharmaceutical Products Using Ion-pair Formation

  • Amanlou, Massoud;Khosravian, Peghah;Souri, Effat;Dadrass, Orkideh Ghorban;Dinarvand, Rasoul;Alimorad, Mohammad Massoud;Akbari, Hamid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2호
    • /
    • pp.183-187
    • /
    • 2007
  • A simple and sensitive extractive spectrophotometric method has been described for the determination of buprenorphine either in raw material or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The developed method is based on the formation of a colored ion-pair complex (1 : 1 drug/dye) of buprenorphine and bromocresol green (BCG) in buffer pH 3 and extracting in chloroform. The extracted complex shows absorbance maxima at 415 nm. Beer's law is obey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32-100.81 μ g mL-1.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applied successfully for the determination of drug in commercial sublingual tablets and injectable dosage form. No significant interference was observed from the excipients commonly used as pharmaceutical aids with the assay procedure.

견관절 통증을 동반한 동결견 환자에게서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의 효과: 단기 추시 결과 (The Effectiveness of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on Patients with Shoulder Pain: Short-Term Follow-up Study)

  • 홍진호;박용복;류호영;전상준;박원하;유재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2
    • /
    • 2014
  • 목적: 경피 Buprenorphine 제제는 보존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 이용 범위를 넓히고 있으나 정형외과의 세분화된 영역에서의 통증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동결기의 동결견 환자에게 투여한 경피 Buprenorphine 제제의 통증 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3월에서 9월 사이의 기간 동안 5~6개월 이상 견관절 통증이 지속되고 운동범위의 제한이 확인되었으나 자기공명 영상 검사나 초음파 진단 검사상 가능한 다른 병리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동결기 상태의 동결견으로 진단 받은 총 12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와-상완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1회 시행 받았다. 첫 외래 방문 이후 2~4주 후 전화를 통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전체 127명의 대상 환자 중 22명의 환자가 전화 설문을 거부하여 최종 105명의 환자가 대상이 되었으며 이중 경구 NSAID 제제와 함께 경피 Buprenorphine 제제를 처방 받은 실험군(BP group)은 51명, 경구 NSAID 제제 만을 처방 받은 대조군(NP group)은 54명이었다. 치료 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첫 외래 방문 시 및 전화 설문 시 시각적 통증 점수(PVAS), 시각적 기능 점수(FVAS), 미국 정형외과 견주관절 점수(ASES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반적인 통증 및 기능 임상 점수에서 양 군 동일하게 투여 전 보다 투여 후에 호전되는 추세를 보였다. 각군의 평가 점수들의 투여 후 결과는 투여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01). PVAS 점수는 BP group에서 3.55, NP group 에서 2.87로 BP group에서 오히려 0.68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88). 투여 전 ASES 점수는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투여 후 점수는 BP group에서 57.31, NP group에서 64.24로 NP group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반면 FVAS 는 두군 모두 호전되는 추세는 보였으며 역시 NP group에서 높았으며 투여 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동결기의 동결견 환자에게 1회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및 경구 NSAID 제제에 추가로 투여한 경피 Buprenorphine 제제는 단기 추시에서 투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우월한 통증 및 기능적 임상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 PDF

Isofourane으로 마취된 개에 medetomidine, medetomidine-buprenorphine, medetomidine-fentanyl의 경막외 투여 시 심혈관계 반응과 진통효과의 비교 (Comparision of cardiovascular and analgesic effects of epidural administration of medetomidine, medetomidine-buprenorphine and medetomidine-fentanyl in dogs anesthetized with isoflurane)

  • 장화석;김혜진;최치봉;이정선;김휘율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3-115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action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and the anesthetic effect among 3 experimental groups, epidural administration of medetomidine as a single agent, the combination of buprenorphine and medetomidine, and the combination of fentanyl and medetomidine. Twenty one dogs were anesthetized with isoflurane and allowed to breathe spontaneously. Epidural, arterial, and venous catheters were inserted. The tip of epidural catheter was positioned at the level of the space between the sixth and seventh lumbar vertebra. After a stable plane of anesthesia was achieved, these dogs were each administered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s epidurally : medetomidine $10{\mu}g/kg$ (Group M), a combination of medetomidine $5{\mu}g/kg$ and buprenorphine $10{\mu}g/kg$ (Group M/B), and a combination of medetomidine $5{\mu}g/kg$ and fentanyl $10{\mu}g/kg$ (Group M/F). Heart rate (HR), Respiratory rate (RR), End-tidal carbon dioxide (EtCO2), and arterial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drug administration (base line) and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and 60 min postinjection. Blood gas analysis was performed before injection and 5, 15, 25, 35, 45, 60 min postinjection. Isoflurane was discontinued 80 min postinjection and pain/motor function were evaluated up to 260 min postinjection every 15 min. At the early stage of drug introduction (until 5 min), the H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3 groups compared with base line. In Group M, H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other 2 groups. With time (starting 20 min after drug introduction), the H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M/B in respect to base lin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number-wise in all 3 groups. During 60 min after drug introduction, the systolic, diastolic and mean arterial pressures were highest in Group M and lowest in Group M/F. Among 3 groups, drug action and motor loss duration were longest in Group M/F. Analgesic effect observed in the M/F group was the most prominent and long-lasting, compared to those seen in the other 2 groups. Given the fact that the recovery of motor function takes place 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analgesic effects disappeared, additional use of M/F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would be a good way to achieve effective pain management. However, proper care should be taken to ensure the function of cardiovascular system in the patient because the administration of M/F under isoflurane anesthesia results in a significant decline in arterial blood pressure ($65{\pm}10mmH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