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lying observ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임상실습 중 태움관찰 경험과 간호전문직관이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llying Observation Exper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Major Commitment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 최동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9-5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태움관찰경험과 간호전문직관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두 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95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다중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11.60, p=.000), 태움관찰경험(ß=-.13, t=-1.99, p=.048), 간호전문직관(ß=.20, t=2.99, p=.003)과 학교만족도(ß=.31, t=4.58, p=.000)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이 향후 태움의 가해자와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전문직관과 전문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따돌림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Bullying)

  • 배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17-42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따돌림에 대한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3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돌림 인식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 현장관찰수업유무,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따돌림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는 등 폭력을 가하는 일이 빈번함', '공동으로 쓰는 물건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음', '다른 친구 앞에서 창피를 주거나 모함을 하는 일이 잦음'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따돌림 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공격적인 행동과 말을 많이 함'이 가장 높았고 따돌림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수줍음이 많고 말이 별로 없음'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가해 이유에 대한 인식으로 '특별한 이유없이 그냥 재미로'가 가장 높았고 따돌림 현상 원인에 대한 인식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나 가정환경의 문제'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따돌림 예방 및 대처의 주요 수행기관은 교사, 부모와 가정, 지역사회 및 국가, 유아교육기관, 교육청 순이었다. 교사의 역할로는 '학급에서 고립되는 유아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가 가장 높았고, 부모의 역할로는 '자녀에게 관심을 갖고 대화를 많이 하기'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역할로는 '교육과정 중에서 따돌림 방지교육 시간을 마련하여 운영하기'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Q 방법론적 접근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A Q Methodology Approach)

  • 최진규;이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62-57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Methods: Q 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Thirty-six Q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Q population of 210 that included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linical nurses and nursing managers. Participants were 30 nursing unit managers who had experience managing workplace bullying and they classified the Q samples into a normal distribution frame measured on a nine-poi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response patterns were identified: (1) sympathetic-understanding acceleration, (2) harmonious-team approach, (3) preventive-organizational management, (4) passive observation, and (5) leading-active intervention. The preventive-organizational management type wa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nursing unit manag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nursing unit managers attempted to prevent and solve workplace bullying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duct leadership training and intervention programs that appropriately address the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such as those identifi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