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lhead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5초

Egg Development of the Ussurian Bullhead Fish, Leiocassis ussuriensis (Pisces: Bagridae)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Its Larvae and Juveniles

  • Park, Jae-Min;Yim, Hu-Sun;Lee, Yong-Sik;Kim, Heung-Yu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4호
    • /
    • pp.189-196
    • /
    • 2015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ovogenesis of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its larvae and juveniles and to use the results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species and resource enhancement. For artificial egg collection,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was injected at a rate of 10 IU per gram of fish weight. During breeding period, water temperature maintained at $24.5{\sim}26.5^{\circ}C$ (mean $25.0{\pm}0.05^{\circ}C$). The process of ovogenesis reached the two-cell stage in 5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In 73 hours of fertilization the movement of the embryoid body became active state and the larvae began to hatch from the tail through the oolemma. Length of prelarvae were 6.33~6.50 mm long (mean $6.40{\pm}0.06mm$) just after hatching having yolk with their mouth not opened. After thirty eight days of hatching, juveniles were 30.6~32.5 mm long (mean $31.5{\pm}0.65mm$). The color was dark yellowish brown throughout the entire body, and the number of caudal fin rays developed to thirty six perfectly.

한국 특산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생식소 발달과 성분화 (Gonadal Development and Sex Differentiation of a Korean Endemic Species, Black Bullhead Pseudobagrus koreanus)

  • 박진석;이원교;박충국;허승준;기세운;최낙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15-220
    • /
    • 2008
  •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성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부화 직후부터 250일령까지 생식소의 분화 및 발달을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는 부화 후 1일(전장: $6.63{\sim}6.95\;mm$)에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7.50{\sim}9.36\;mm$)에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5일($11.58{\sim}13.21\;mm$)에서는 생식소 후단부 한쪽 끝에서 신장된 체세포 돌기가 생식소와 융합되어 작은 난소강이 형성되었다. 부화 후 30일($12.19{\sim}13.72\;mm$)에는 생식소 하단부에 정소관 원기가 출현하여 정소의 분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50일째 자어($16.28{\sim}17.06\;mm$)의 난소내에서는 주변인기 난모세포로 채워지기 시작하였으며, 정소내에서는 정원세포(spermatogonia, SG)의 활발한 증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화 후 250일째 자어($35.49{\sim}51.12\;mm$)에서는 난소의 크기가 더욱 커지고 난모세포들로 가득 채워져 있었고, 정원세포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상의 결과 눈동자개의 성분화 양상은 자웅이체형 중 분화형이었다.

  • PDF

인공사육에 의한 멸종위기종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성장과 성성숙 특성 (Characteristics on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of an Endangered Fish,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from Korea by Artificial Rearing)

  • 양상근;강언종;김광석;방인철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69-374
    • /
    • 2009
  •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공사육 환경에서 사육된 종묘에서 친어까지의 성장과 성성숙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698일의 인공사육 기간 동안 전장과 체중은 각각 $89.22{\pm}10.29mm$$70.93{\pm}7.68g$로 성장하였고, 전장 (TL)과 체중(BW)의 관계는 $BW=5{\times}10^{-5}\;TL^{2.678}$ ($R^2=0.995$)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74.2%였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1 (암컷, 471) : 1 (수컷, 473)이었다. 부화 후 663일째에 암컷의 전장과 체중은 각각 $78.38{\pm}0.92\;mm$$6.38{\pm}0.20\;g$로 나타나 수컷의 $87.44{\pm}1.07mm$$8.43{\pm}0.31g$에 비해 높았으나, 비만도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값을 보였다(P<0.05). 암컷 1마리당 포란수는 평균 734개(508~867개)였고, 난경은 0.04~1.65mm의 범위를 보였다. 인공 사육된 친어는 만 2년이 되던 6월 초순에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을 주사한 후 1~2일 사이에 산란이 가능하였고, 부화된 개체는 평균 216마리(113~338마리)였다.

한국산 퉁가리과 (Amblycipitidge) 어류 2종 수염의 조직 학적 구조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Barbels of Liobagrus andersoni and L. obesus (Amblycipitidae: Pices) from Korea)

  • 박인석;설동원;임수연;김치홍;강언종;공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8-343
    • /
    • 2006
  •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barbel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are reported.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and Korean torrent catfish (L. obesus) have eight obvious barbels in two pairs each on the maxilla and mandible.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central cartilagerod. The epidermi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arbels of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is thicker than that of the Korean torrent catfish (P<0.05) and is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that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There are many taste buds on the uppe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that enclose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ese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Our results validate the barbels as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ese fishes.

퉁가리과(Amblycipitidae) 어류 계측형질 특징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 박인석;설동원;강언종;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9-215
    • /
    • 2006
  • 한국의 퉁가리과 어류 3종의 형태학적 특성을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Arc sin square root 전환 후, 18가지의 계측형질을 체장에 대한 비율로, 그리고 3가지의 계측형질은 두장에 대한 비율로 각각 분석하였다. 퉁사리, Liobagrus obesus는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의 4가지 계측 형질이 퉁가리, L. andersoni와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a에 비하여 컸다 (P<0.05). 퉁사리와 퉁가리는 truss dimension의 3가지 계측형질이 자가사리보다 컸다 (P<0.05). 조사된 퉁가리과 어류의 6가지 계측형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imension들은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들을 구별할 수 있는 적절한 분류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HCG, LHRHa, Ovaprim and Pimozide 처리에 따른 종어 Leiocassis longirotris의 배란유도 (Effect of HCG, LHRHa, Ovaprim and Pimozide on Ovulation Induction in Long Snout Bullhead Leiocassis longirotris)

  • 임상구;김광석;김영수;한형균;김응오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137-1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호르몬 처리에 따른 배란유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LHRHa 호르몬을 종어 암컷에 2회 투여 시 50과 100 ${\mu}g/kg$ 농도에서 100%의 배란율을 보여 가장 높았으며, LHRHa를 1차 처리한 후, 인간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인 HCG를 2차 처리하였을 때, 500 IU에서는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00 IU를 주사한 암컷에서 72%의 높은 배란율을 보였다. HCG만 처리했을 시 500~25,000 IU까지 각각 10, 17, 50, 50 및 50%의 배란율을 보였다. Ovaprim 처리에 따른 배란율은 2.5 mL/kg을 주사한 실험구에서 50%의 배란율을 보여 가장 높았다. LHRHa와 pimozid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LHRHa의 농도가 10, 200 및 300일 때 87%의 가장 높은 배란율을 보였다. LHRHa 호르몬을 종어 암컷에 2회 투여 시 모든 농도에서 배란시간은 28~44시간까지 소요되었으며, LHRHa를 1차 처리한 후, 인간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인 HCG를 2차 처리하였을 때, 배란시간은 4,000 IU를 주사한 암컷에서 28~34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HCG를 처리하였을 때, 25,000 IU를 주사한 암컷에서 66~72시간이 소요되었고, LHRHa와 HCG를 2차 처리한 실험구에 비해 배란시간이 길었다. Ovaprim을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2.5 mL/kg을 투여 시 66~72시간으로 배란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LHRHa와 pimozide (1,000 ${\mu}g/kg$)를 혼합처리시, 300 ${\mu}g/kg$과 400 ${\mu}g/kg$에서 각각 62~70시간과 66~70시간으로 소요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50 ${\mu}g/kg$에서 80~86시간으로 소요시간이 가장 길었다. LHRHa 호르몬을 종어 암컷에 2회 투여 시 50 ${\mu}g/kg$의 농도에서 수정률 68.4%와 부화율 58.4%로 100, 150 및 200 ${\mu}g/kg$ 농도의 수정률과 부화율보다 높았다. LHRHa 50 ${\mu}g/kg$을 주사하고, 24시간 후, HCG 처리했을 때, 수정률과 부화율도 각각 35.2와 24.2%로 가장 높았으며, HCG의 처리 후, 수정률과 부화율은 15,000 IU에서 55.2와 46.6%로 가장 높았다. Ovaprim 0.5 mL/kg의 농도를 주사한 실험구에서 2.5 mL/kg을 주사한 실험구에서 56.8과 30.8%의 수정률과 부화율을 보였으며, LHRHa와 pimozid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50 ${\mu}g/kg$의 농도에서 수정률과 부화율이 각각 38.6 및 25.3%로 가장 낮았고 200 ${\mu}g/kg$의 농도에서 62.4와 70.3%로 가장 높았다.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the Light Bullhead Leiocassis nitidus (Teleostei, Siluriformes, Bagridae)

  • Kim, Kgu-Hwan;Kwon, Ae-Sook;Lee, Byung-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4호
    • /
    • pp.196-199
    • /
    • 2007
  • The spermatozoa of Leiocassis nitidus are relatively simple cells composed of a spherical head, a short midpiece, and a tail, as in most Siluriformes. The ultra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Acrosome absent, as in most teleosts; around nucleus about $1.8\;{\mu}m$ long, with a deep nuclear fossa containing the proximal and distal centrioles and mitochondria. Two centrioles approximately $180^{\circ}$ from each other; 10 or more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axoneme (with a 9+2 microtubular pattern), arranged in two layers in the postnuclear cytoplasm and separated from the axoneme by the cytoplasmic canal. Two lateral fins on the same plane as the two central microtubules; doublets 3 and 8, which ar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rma tail unlike other siluroids laking the lateral fins.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Orientocreadium 속 흡충류 : Orientocreadium koreanum sp. nov. 및 O. pseudobagri Yamaguti, 1934 (Two Korean Digenetic Trematodes : Orientocreadium. koreanum sp. nov. and O. pseudobagri Yamaguti 1934(Orientocreadiidae) from Freshwater Fishes)

  • 김기홍;임한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0
    • /
    • 1995
  •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연충류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2종류의 흡충류를 동정, 분류하였다. Orientocreadium koreanum n. sp.는 퉁가리의 장에서 검출된 신종이며, O. pseudobagri Yamaguti, 1934는 동자개의 장에서 검출된 한국산 미기록 종이었다. Orientocreadiidae과의 분류학적 문제점들에 관해 고찰하였으며, 분류된 2종에 대해 기존의 기록종들과의 차이점들을 상세히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