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n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of an Endangered Fish,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from Korea by Artificial Rearing

인공사육에 의한 멸종위기종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성장과 성성숙 특성

  • 양상근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 강언종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김광석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 방인철 (순천향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Received : 2009.11.06
  • Accepted : 2009.11.20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endemic to Korea is one of critically endangered freshwater fish specie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ts captive breeding and reintroduction we investigated basal characteristics on its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in an artificial rearing environment. After 698-day rearing the stumpy bullhead grew up to $89.22{\pm}10.29\;mm$ in total length (TL) and $70.93{\pm}7.68\;g$ in total body weight (BW)($BW=5\times10^{-5}\;TL^{2.678}$; $R^2=0.995$), and showed survival rate of 74.2%. The sex ratio was 1 (471 females) : 1 (473 males), and males ($TL=87.44{\pm}1.07mm$; $BW=8.43{\pm}0.31\;g$) showed significantly faster growth than females ($TL=78.38{\pm}0.92mm$; $BW=6.38{\pm}0.20\;g$) after 663-day rearing. However, condition factor of fema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s (P<0.05). The number of eggs per female ranged from 508 to 867 (average 734), and their diameters ranged from 0.04 to 1.65 mm. The females which reared about two years in the laboratory condition was able to spawn in the early June after 1~2 day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njection. The number of hatched fries ranged from 113 to 338 (average 216).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공사육 환경에서 사육된 종묘에서 친어까지의 성장과 성성숙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698일의 인공사육 기간 동안 전장과 체중은 각각 $89.22{\pm}10.29mm$$70.93{\pm}7.68g$로 성장하였고, 전장 (TL)과 체중(BW)의 관계는 $BW=5{\times}10^{-5}\;TL^{2.678}$ ($R^2=0.995$)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74.2%였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1 (암컷, 471) : 1 (수컷, 473)이었다. 부화 후 663일째에 암컷의 전장과 체중은 각각 $78.38{\pm}0.92\;mm$$6.38{\pm}0.20\;g$로 나타나 수컷의 $87.44{\pm}1.07mm$$8.43{\pm}0.31g$에 비해 높았으나, 비만도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값을 보였다(P<0.05). 암컷 1마리당 포란수는 평균 734개(508~867개)였고, 난경은 0.04~1.65mm의 범위를 보였다. 인공 사육된 친어는 만 2년이 되던 6월 초순에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을 주사한 후 1~2일 사이에 산란이 가능하였고, 부화된 개체는 평균 216마리(113~338마리)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언종, 양 현, 이흥헌, 조용철, 김응오, 임상구, 방인철. 2007.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생태와 초기 생활사 환경생물. 25:378-384
  2. 강언종, 이배익, 조미영, 손상규, 김광석, 김이청, 방인철. 2003. 대농갱이 암.수 성장차이. 한국어류학회지. 15:272-277
  3. 김구환, 이준일. 2003.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 정자의 미세구조와 계통적 고찰(경골어류, 메기목, 동자개과). 한국수산학회지. 36:480-485 https://doi.org/10.5657/kfas.2003.36.5.480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622pp
  5.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6. 문화재청. 2005. 국가지정 문화재 지정보고서: 천연기념물.명승. pp.56-57
  7. 박수진. 2008. 생물다양성협약상 해양생물자원 관련 주요의제 분석을 통한 국내정책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23:65-106
  8. 박홍양, 이종영, 이영직, 권혁추. 1998. LHRH-a와 pimozide에 의한 동자개의 배란유도. 한국양식학회지. 11:151-158
  9. 오민기, 박종영, 강언종, 양상근, 김응오, 조용철. 2008.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한국어류학회지. 20:255-262
  10. 이충열. 2004. 한국멸종 위기 및 희귀어류 현황과 보존. 한국어류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심포지움 발표요약집. pp.17-27
  11. 이충열, 김익수. 1987. 꼬치동자개 Coreobagrus brevicorpus의 골격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 춘계학술발표요지록. p.125
  12.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법률 제7457호
  13. 환경부. 2009. 꼬치동자개 증식.복원 연구. pp.63-67
  14. 홍영표. 2004.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의 현황과 보존. 한국어류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심포지움 발표요약집. pp.23-37
  15. Akira G. 1984. Sexual dimorphism in river sculpin Cotus hangiongensis. Jap. J. Ichthyol. 31:161-166
  16. Changeux T and D Pont. 1995. Current status of the riverine fishes of the French Mediterranean basin. Biol. Conserv., 72:137-158 https://doi.org/10.1016/0006-3207(94)00077-4
  17. de Vlaming VL. 1975.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gonadal activity in the cyprinid teleost, Notemigonus rysoleucas. Biol. Bull. 148:402-415 https://doi.org/10.2307/1540517
  18. Donaldson EM and GA Hunter. 1983. Induced final maturation, ovulation and spermiation in cultured fishes. pp.351-403. In Fish Physiology. Reproduction, Vol. 9(B) (Hoar WS, DJ Randall and EM Donaldson eds.). Academic Press, Orlando, FL.
  19. Kim IS and JS Park. 2002. Freshwater Fisheri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Korea, 465pp
  20. Lam TJ. 1982. Applications of endocrinology to fish culture. Can. J. Fish. Aquat. Sci. 39:111-137 https://doi.org/10.1139/f82-013
  21. Penczak K and A Kruk. 2000. Threatened obligatory riverine fishes in human-modified polish rivers. Ecol. Freshwater Fish. 9:109-117 https://doi.org/10.1034/j.1600-0633.2000.90113.x
  22. Peng L, WO Lee, JH Im, SJ Lee, YK Nam and DS Kim. 2004. Genetic analysis of long snout bullhead (Leiocassis longirostris) using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and 12S rRNA genes. Korean J. Ichthyol. 16:109-115
  23. Ricciardi A and JB Rasmussen. 1999. Extinction rates of north American freshwater fauna. Biol. Conserv. 13:1220-1222 https://doi.org/10.1046/j.1523-1739.1999.9838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