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ging failur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조립토 군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Granular Group Piles)

  • 김홍택;강인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5호
    • /
    • pp.143-16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조립토 단말뚝에 대한 지배적인 파괴형태를 구분짓는 한계깊이 즉, 팽창파괴 중 심부까지의 깊이에 대한 정량적 예측기법을 우선 제시하고, 또한 강성매트기초 하부에 정방형 군형태로 설치되는 조립토 말뚝에 대해, 1) 상부재하하중에 대한 기초지반의 하중분담 봉과를 고려하고, 원추형상의 모델링 및 원지반의 치환율 등을 근거로 각 말뚝의 팽창파괴 중심부까지의 깊이를 결정하기 위한 기법, 2) 인접 말뚝에 의한 훤지반와 치환효과가 고려된 합성탄성계수 개념을 토대로 조립토 말뚝에 의해 보강된 지반의 극한공동압을 평가하는 기법 등이 아울러 제시되었고, 최종 수행되었다.

  • PDF

조립토 Piled Raft의 상호작용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on Factor of Granular Compaction Piled Raft)

  • 신방웅;채현식;김홍택;강인규;박사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9-276
    • /
    • 2000
  • Granular compaction piled raft systems have been effectively used in soft ground foundation to improve not only settlement but also bearing capacity.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bulging failure zone on granular compaction piled raft system, carbon rod tests have been performed.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zone of bulging failure and the effects of pile-pile interaction obtained from the analytical approaches. In addition, parametric studies are peformed with considering pile slenderness ratio, Poisson's ratio and load sharing ratio.

  • PDF

액체로켓 연소기 재생냉각형 노즐의 벌징 공정 개발 (Development of Bulging Process for Regenerative Cooling Nozzle of Liquid Rocket Thrust Chamber)

  • 류철성;최환석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2호
    • /
    • pp.103-109
    • /
    • 2008
  • 액체로켓 연소기의 제작에 필수적인 재생냉각 노즐의 벌징공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벌징공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벌징시험용 재료에 대한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기계적인 물성 값들을 획득하였다. 벌징공정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벌징치구가 2개 또는 3개 필요하였다. 재료의 네킹이 벌징공정에서 발생되는 주된 실패 원인이었으며, 재료의 그레인 사이즈가 이 네킹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침을 본 연구에서 나타났다. 그레인 사이즈를 조절한 재료로 현재 개발된 벌징공정을 이용하여 축소형 및 30톤 실물형 재생냉각 노즐의 제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벌징공정의 적용성 및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 PDF

액체로켓 연소기 노즐의 벌징 공정 (Bulging Process of Liquid Rocket Combustion Chamber Nozzle)

  • 류철성;최환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1-278
    • /
    • 2008
  • 액체로켓 연소기 재생냉각 챔버 제작에 필수적인 노즐의 벌징 공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벌징 공정에 사용되는 재료의 기계적인 특성은 재료시험을 통하여 획득하였다. 벌징노즐의 벌징 후 형상 변화는 변형해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벌징 공정 및 변형해석의 검증은 벌징노즐 시편을 제작하고, 벌징 시험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노즐 벌징 수행 결과 총 7개의 시제 중 1개의 시제에서 소재에 네킹이 발생하여 파손되었다. 벌징 공정 중에 발생된 네킹의 원인 분석은 재료의 조직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조직분석 결과 재료의 그레인 사이즈가 네킹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중간기초개념으로서 짧은 쇄석다짐말뚝의 지지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aring Capacity of Rammed Aggregate Pier as the Intermediate Foundations)

  • 천병식;김경민;김준호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247-252
    • /
    • 2004
  • To secure stability and availability of Rammed Aggregate Pier method as the foundation of a structure, the bearing capacity and failure behavior characteristics was studied through soil laboratory tests in a model ground. In this study, soil laboratory tests use carried out to find the applicability of RAP method as the foundation of a structure. And bearing capacity and the failure mechanism of RAP method was studied according to relative density($60\%,\;70\%,\;90\%$), diameter(45mm, 60mm, 70mm) of each pier ana depth(5cm, l0cm, 15cm, 20cm, 25cm, 30cm). Earth pressure cell is set up approach RAP and 1.0D space at RAP center. Bearing acpacity and the failure mechanism of RAP is investigated by load test As a result, bulging failure was happened in $5\~10cm\;(1.0D\~2.00)$ depth which the maximum lateral earth pressure is acting. Especially, diameter changing of RAP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lative density and the lateral stress is very much influenced by the lateral earth pressure in every layer and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depth.

  • PDF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지지력 예측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of Bearing Capacity for Single Stone Column)

  • 천병식;김원철;조양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55-6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쇄석다짐말뚝의 합리적인 국내 적용을 위하여 쇄석다짐말뚝의 지지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 파라미터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주요 파괴 메커니즘인 Bulging과 General Shear Failure시에 대해 주요 파라미터가 지지력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쇄석다짐말뚝의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및 시험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국내 현장에서 시행한 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지력 예측 이론들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Bulging 및 General Shear Failure시의 기존의 지지력 이론식으로 구한 극한지지력이 정재하시험의 실측치보다 과소평가하였으며, 원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 쇄석다짐말뚝의 내부마찰각, 횡방향응력, 원지반이 받는 상재하중 등이 극한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eneral Shear Failure시의 민감도 분석결과, 원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쇄석다짐말뚝의 내부마찰각, 원지반이 받는 상재하중의 변화에 따른 지지력은 각 제안식 별로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 PDF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지지력 특성과 주요 설계 파라미터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and Major Design Parameters for Single Stone Column)

  • 천병식;김원철;조양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52-560
    • /
    • 2004
  • Stone column is a soil improvement method and can be applicable for loose sand or weak cohesive soil. Since the lack of sand in Korea, stone column seems one of the most adaptable approach for poor ground as a soil improvement method. However, this method was not studi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paper, the most effective design parameters for the being capacity of stone column were studied. The parametric study of major design factors for single stone column was carried out under the bulging and general shear failure condition, respectively. Especially, a test result of single stone column by static load was compared with the bearing capacity values of suggested formula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by the formula was much less than the measured value by the static load test.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parametric study under general shear failure condition showed that the bearing capacity has apparent difference between each suggested formulas with the variation of the major design parameter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suggestion which is applicable for the field test and the future research.

  • PDF

현장 시험치를 이용한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Bulging 및 General Shear Failure시의 극한지지력 제안식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Formulas for Single Stone column in Bulging and General shear failure using in-situ test results)

  • 천병식;김원철;서덕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65-76
    • /
    • 2003
  • 쇄석다짐말뚝(Stone Column Method)은 연약한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의 개량에 사용되는 연약지반처리공법이다. 여러 가지 현장 시험과 실내 시험 결과, 쇄석다짐말뚝은 기존의 모래말뚝공법에 비해 지지력증대, 지반보강, 사면보강, 액상화 방지억제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약하여 설계 실무에서는 경험적인 방법이나 공식에만 의존하여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천병식, 2001). 또한 기존의 제안식에 대하여 검증 없이 사용되고 있어 기존에 제안된 지지력 이론식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00 0호교 건설공사지역 A1교대 구간의 실제 정재하시험 데이터와 가덕, 광양, 울산 신항만건설현장에 대한 비배수전단강도($c_u$)를 이용하여 단일쇄석다짐말뚝에 대한 Bulging 및 General shear failure시의 기존의 이론식들을 각각 비교분석하고, 실제 재하시험에서 얻은 극한지지력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지력 이론식으로 구한 극한지지력이 정재하시험의 실측치 보다 매우 적은 결과를 보였으며, 원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c_u$)는 극한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실내 및 현장실험을 통해 보다 정확한 지반물성치와 현장 재하시험을 통해 국내적용시 실용적인 극한지지력을 산정하고 기존의 이론식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조립식 블럭 옹벽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egmental Retaining Wall)

  • 이준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5-21
    • /
    • 2008
  • 실용적인 관점에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중력식 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은 원활한 배수의 확보가 어렵고 뒷채움 토공량이 증가하고 현장타설에 의해 공기가 길어지는 등 현실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공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블럭식 옹벽은 공학적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전면판의 구성 및 녹화의 가능성 등의 이점을 갖고 있으므로 도심지나 주택지에서의 옹벽공사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블록식 옹벽은 모형 실험결과 옹벽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배부름 현상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따라서 안정성 분석이나 설계시에는 반드시 개별블럭의 전도에 대한 안정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단면을 산정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