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egmental Retaining Wall

조립식 블럭 옹벽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 이준대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8.01.11
  • Accepted : 2008.04.10
  • Published : 2008.06.01

Abstract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general retaining wall systems, such as gravity wall, cantilever wall and reinforced wall, have several problems. As a countermeasure, precast block type retaining wall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the various purposes of construction. The retaining wall systems can be applied not only for mechanical purpose but environmentally friendly aspects by changing the shapes of surface plates and planting on the surface plates. On the other hand, the bulging failure was dominant near the center of wall height. Therefore, an individual block has to be estimated for the stability problem related to turnover and the for design of gravity block type wall.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 optimum section of the wall has to be determined.

실용적인 관점에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중력식 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은 원활한 배수의 확보가 어렵고 뒷채움 토공량이 증가하고 현장타설에 의해 공기가 길어지는 등 현실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공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블럭식 옹벽은 공학적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전면판의 구성 및 녹화의 가능성 등의 이점을 갖고 있으므로 도심지나 주택지에서의 옹벽공사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블록식 옹벽은 모형 실험결과 옹벽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배부름 현상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따라서 안정성 분석이나 설계시에는 반드시 개별블럭의 전도에 대한 안정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단면을 산정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세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