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ulb segment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Vegetative Propagation of Amaryllis (Hippeastrum × johnsonii ) by Different Cutting Methods

  • Kharrazi, Mahdiyeh;Tehranifar, Ali;Nemati, Hossein;Bagheri, Abdol-Reza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3호
    • /
    • pp.373-380
    • /
    • 2017
  • Amaryllis ($Hippeastrum{\times}johnsonii$) is commonly propagated by three methods: seeds, offset bulblets, and twin scaling. Since the number and size of bulblets produced by these methods are low,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evaluate different bulb cutting methods for propagation. For this purpose, bulbs (circumference of 30 - 35 cm) were sectioned or notched into 8, 12, or 16 segments or twin-scaled into 48, 72, or 96 segments for bulblet forma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largest number of bulblets was produced by the twin scaling method, but they take longer to grow to a final, commercial size. Sectioning and notching resulted in larger, but fewer bulblets than twin-scaling. Compared to notching, sectioning provided more space for the bulblets to grow, and is therefore the recommended method.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sections cut from a single bulb resulted in a larger number of bulblets, the diameter of the bulblets decreased. Therefore, sectioning the bulb into 8 segments was the best method for producing an acceptable number of vigorous bulblets.

패모의 초기배양과 모구의 저온처리가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Establishment of in Vitro Culture and Effect of Chilling Treatment of Mother Bulb On Bulblet Formation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 유광진;백기엽;성낙술;최인식;조진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11-218
    • /
    • 1994
  • 조직배양에 의한 패모(Fritillaria thuubergii Miq)의 대량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써 인편배양시 오염을 감소에 미치는 모구의 표면살균방법, 항생제처리 효과, 모구의 조온처리 기간이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재배한 패모를 수확한 후 인편 배양하였을 경우 외측인편이 내측인편보다 오염율이 현저히 높아 배양재료로는 부적합하였고, 내측인편은 70% 에탄을에 30분간 침지후 $4{\sim}5%\;sodium\;hypochlorite$ 용액에 $10{\sim}15$분간 표면살균함으로써 오염율을 줄일 수 있었다. 2. 배지내 항생제, 살균제 및 $lncyte^{tm}$첨가가 세균성 오염을 줄이는 데는 효과가 있었으나 곰팡이에 의한 오염은 방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오염정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는 있었다. 3. 건조 저장시에는 $10^{\circ}C$에서 $2{\sim}4$주, 습윤저장시에는 $4{\sim}6$에서 자구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kinetin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자구형성수를 크게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건조저장시 4주 이후에는 구가 마르면서 고사하는 현상을 나타내어 건조 저장이 패모의 저온처리 방법으로 적당하지 못하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습윤 저장 6주후 kinetin $3{\sim}5mg/L$첨가구에서는 배양절편체당 10개 이상의 자구가 형성되었다.

  • PDF

Effective in Vitro Propagation by Bulb Scale Segments Culture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 Ko Jeong-Ae;Choi Jeong-Ran;Xudong He;Kim Hyun-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2-435
    • /
    • 2006
  • A rapid and mass propagation method for multiple 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using bulb scales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were developed. In vitro different parts of bulb scale as explants were cultured on 11 kinds of MS (1962)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to induce shoot and callus. A combination of 2.0 mg/L 6-BA and 2.0 mg/L IBA on MS medium was the most favorable and induced the highest production (80%) of shoot formation after 30 days. We also found that the middle part of bulb scale was the best for mass propag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of which production could reach 64.4%.

The embryogenic competency and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in Iris pseudacorus

  • Kim, T.D.;Ahn, C.H.;Bae, K.H.;Choi, Y.E.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251-257
    • /
    • 2009
  • Embryogenic callus was obtained from bulb segments of Iris pseudacorus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kinetin. When early globular somatic embryos were subcultured onto MS medium with $4.52{\mu}M$ 2,4-D, high frequ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was obtained. Deprivation of 2,4-D was required for maturation. Mature somatic embryos had an elongated scutellum with a notch on the base of scutellum. Separation of embryos from embryo clusters was necessary to enhance the frequency of germination. Germination was stimulated by separation of embryos from embryo clusters and transfer onto fresh half-strength MS medium with 3% sucrose. After acclimation in artificial soil in greenhouse for 2 months, 96.4% of plantlets survived.

패모의 줄기, 마디, 정단 및 자구인편 배양에 의한 기내 증식 (Micropropagation through Stem, Node-bud Shoot Tip and Bulblet Scale Culture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백기엽;유광진;성낙술;최인식;조진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4-161
    • /
    • 1994
  • 폐모(Fritillaria thunbergii)의 자구인편, 줄기, 및 마디조직 및 정단을 구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구형성수는 자구인편조직에 비해 마디나 줄기조직에서, BA처리구보다 kinetin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줄기조직은 생장이 3cm이하일 때 채취하여 kinetin이 $1.0{\sim}3.0mg\;/L$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 마디조직은 3cm이상 생장한 조직을 kinet이 5.0mg /L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자구형성수가 증가하였다. 기내에서 생장한 마디의 액아에서 자구가 직접 형성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는데 최고 15개의 자구가 마디에서 형성되었다. 2. 신초가 l0cm 이상 생장한 후 줄기조직을 채취하여 배양하였을 때는 어린 줄기조직보다 자구 형성능력이 감소하였으며 생장조절제의 첨가가 자구형성에 필수적이었고 적정농도는 kinetin 1.0 mg /L였다. 3. 지하에서 생장중인 패모에서는 줄기조직이나 정단이나 자구조직에 비해 구형성율이 높았으며 자구 형성에 적합한 당의 농도는 $5{\sim}7%$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패모의 기내 배양재료로는 자구 인편조직에 비해 3cm정도 생장한 줄기나 마디조직을 이용하는 것이 대량중식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줄기나 마디조직은 구형성수가 최고 20배 이상 달하여 중식율이 상당히 높았다. 생장조절제 요구도는 배양재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Kinetin $1.0{\sim}5.0mg\;/L$가 적합하였다.

  • PDF

아마릴리스의 미숙배와 인편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Immature Embryo and Bulb Scale Tissue of Hippeastrum hybridum)

  • 최은경;박학봉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1
    • /
    • 1998
  • 아마릴리스 'Picottee', 'White Christmas', 'Eldorado', 'Origin', Red Lion', 'Telstar', 'Crypsy'의 교잡배를 여러 농도의 2,4-D, NAA, BA, TDZ가 첨가된 MS배지에 배양한 결과, 0.5~3.0 ㎎/L 2,4-D에 비하여 0.5~3.0 ㎎/L NAA 처리구에서 줄기와 자구 분화가 양호하였다. 0.5㎎/L NAA 처리는 배양체로부터 높은 자구 형성율을 나타냈고, 줄기 분화율은 NAA 1.0㎎/L과 TDZ 2.0㎎/L 혼용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았다. 배지에 1.0~2.0㎎/L TDZ 첨가는 치상체당 더 많은 줄기를 분화시켰으나 1.0~2.0㎎/L BA 처리보다 뿌리의 발달은 억제되었다. 'Star Van Holland'의 인편을 배양했을 때 자구 형성은 0.5㎎/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솔나리 기내배양 및 재분화 식물체의 토양순화 (In vitro Culture and Acclimatization of Regenerated Plants of Liliem cernum $K_{OMAROV}$)

  • 김희규;임정대;현태경;이현용;이진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0-317
    • /
    • 2001
  • 1. Bulb 유래 식물체 재분화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1/4MS 액체 배지에서 잎과 뿌리분화 및 생장, bulb 분화가 양호하였다. 2. 캘러스 현탁배양의 경우 2,4-D 1mg/ l 를 처리한 액체배지는 배발생 캘러스를 증가하였다. 식물생장조절제가 처리되지 않은 액체배지는 캘러스가 활성을 잃었고, 활성 감소는 salt strength가 감소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생장조절제가 처리되지 않는 액체배지에서 소수의 캘러스로부터 잎의 분화가 관찰되었다. 3. 솔나리 잎, 뿌리, 인편 중 재분화 식물체 유도는 인편이 가장 적합하며, 인편을 치상하였을 때, 잎의 분화는 MS 기본 배지에 NAA 1mg/ l 첨가와 1.5%의 sucrose 첨가한 곳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잎의 생장은 MS 기본 배지에 NAA 1mg / l를 첨가와 3.0%의 sucrose를 처리한 곳에서 관찰되었다. 뿌리의 분화 및 생장, 인편의 분화는 MS기본 배지에 NAA 1mg / l 를 첨가와 6%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함을 나타내었다. 4. 고체배지에서 잎의 분화는 spermidine에 비해 spermine첨가가 효과적이었고, 잎의 신장은 spermidine처리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뿌리의 분화 및 생장은 spermine처리에 의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인편의 분화는 spermidine첨가에서만이 나타났다. 액체배지에서 spermine과 spermidine 1mg/ l 를 처리하였을 때 잎, 뿌리 모두 분화하였다. Spermine 1mg/ l 를 첨가한 한 플라스크에서는 체세포 배 발생 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2, 4-D 1mg/ l 를 처리한 액체배지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솔나리 인편배양에서 polyamine의 처리는 액체배지보다 고체배지가 효과적이었다. 5. 솔나리 인편배양을 통해 분화된 식물체의 토양순화 실험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생존률은 vermiculite + perlite (1 : 1 by volume)에서 96.3%를 나타내어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순화된 식물체의 뿌리 생장은 peat moss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토끼 십이지장구의 운동성에 미치는 dopamine의 영향 (Role of Dopamine on Motility of Duodenal bulb in rabbits)

  • 이윤렬;신원임;박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0권2호
    • /
    • pp.192-198
    • /
    • 1986
  • dopamine이 십이지장구를 포함한 소장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cholecystokinin이 dopamine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작용의 신경성 기전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ether로 마취한 토끼 54마리에서 십이지장구,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을 적출하고 절편(길이 1cm)을 만들어 Krebs-Ringr 용액이 채워진 기록 용기에 넣고 자발적인 등장성 수축을 기록하였다. Krebs-Ringr 용액에는 5% $Co_2$를 함유하는 $O_2$를 계속 공급하였으며, 용액의 온도가 $37^{\circ}C$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자발적 수축이 시작하고 20분이 경과한 다음 dopamine($10^{-4}M$), CCK-8($10^{-8}M$), dopamine($10^{^6}M$)등을 투여하면서 수축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opamine은 소장의 모든 부위에서 자발적 수축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dopamine의 작용은 회장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tetrodotoxin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domperidone은 소장의 모든 부위에서 dopamine의 억제작용에 길항적으로 작용하였으며, tetrodotoxin을 전처치하면 회장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domperidone의 길항작용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3) CCK-8는 소장의 모든 부위에서 dopamine의 작용을 감소시켰으며, tetrodotoxin을 전처치하면 CCK-8의 작용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dopamine은 십이지장구를 포함한 모든 소장의 수축성을 억제하며, CCK-8는 dopamine의 억제 작용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작용들은 장관내 신경계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