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on Street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Fast and Accurate Visual Place Recognition Using Street-View Images

  • Lee, Keundong;Lee, Seungjae;Jung, Won Jo;Kim, Kee Tae
    • ETRI Journal
    • /
    • 제39권1호
    • /
    • pp.97-107
    • /
    • 2017
  • A fast and accurate building-level visual place recognition method built on an image-retrieval scheme using street-view images is proposed. Reference images generated from street-view images usually depict multiple buildings and confusing regions, such as roads, sky, and vehicles, which degrades retrieval accuracy and causes matching ambiguity. The proposed practical database refinement method uses informative reference image and keypoint selection. For database refinement, the method uses a spatial layout of the buildings in the reference image, specifically a building-identification mask image, which is obtained from a prebuilt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site. A global-positioning-system-aware retrieval structure is incorporated in it. To evaluate the method, we constructed a dataset over an area of $0.26km^2$. It was comprised of 38,700 reference images and corresponding building-identification mask images. The proposed method removed 25% of the database images using informative reference image selection. It achieved 85.6% recall of the top five candidates in 1.25 s of full processing. The method thus achieved high accuracy at a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가로공간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변건축물 형태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Element of Buildings Affecting in Street Spaces)

  • 최임주;조현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7
    • /
    • 2010
  • 가로는 도시를 구성하는 선적(線的) 요소로서 도시 발전의 축이다. 이러한 가로의 본질적 기능은 통행이 목적인 교통공간이지만 이와 함께 사람과 사람의 만남, 휴식, 오락 등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는 커뮤니티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로는 기본적으로 보도와 차도 그리고 가로를 에워싸고 있는 가로변 건축물로 구성되는 3차원의 공간이다. 이때 가로변건축물은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물리적 구성요소로 가로변건축물의 입면은 사람들이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로변 건축물의 입면을 구성하는 형태구성요소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 우세요소들을 추출하고 각각의 요소들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여 향후 도시가로 경관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의 가로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로- (A Study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With Case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in Busan City-)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37-151
    • /
    • 2021
  •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장소로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목형 도시상업가로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방법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의 대표적인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인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사례대상지 개요, 가로공간구성, 건축물 용도, 가로경관, 가로시설물에 대하여 가로공간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공간 및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에 입지한 주요용도와 새로 도입된 용도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적응적 재사용 등을 통한 가로의 정체성 유지가 필요하다. 넷째, 민간에 의한 자생적 형성과 공공에 의한 계획적 조성의 협력이 필요하다.

가로 건축물 색채 이미지 평가 연구 -업무·상업용도 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Image Evaluation of Buildings on Urban Street)

  • 정가영;이향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83-9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olor situation of buildings on Urban Street, through the color image evaluation to research primary factors have an effect on color image preferences. A scope of this study is district of Sang Mu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 method of study put out evaluation model after BIB test by photography, spot color. And performed Factorial Desig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color situation exceedingly used YR predominates, support, stress color, in the second place used predominate, support color is B, stress color is R. Luminosity showed middle luminosity 4.1~7.0, low freshness distribution. Color image was evaluated modern and cold image and appeared affirmative aspect clean, order, neat image and showed negative aspect stiff, flat image. And 'comfortableness', 'unification' had an effect on color image prefere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lor plan need to improve comfortableness, unification bring control into line color at building color image of urban street.

가로경관의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 번화한 가로를 만드는 심리적, 물리적 인자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Street Landscape -Focused on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which Creates a Busy Street)

  • 이재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5-146
    • /
    • 2004
  •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가로공간 안에서 시각으로 느끼는 심리적인 인자와 물리적으로는 가로의 구조에 의해서 인지되는 인자의 복합적인 체험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로경관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어떤 요소가 가로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많은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공간을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선, 가로공간을 지역의 특성(상업지역, 업무지역, 복합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기 위해서 지역의 특성이 명확한 가로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가로에서 느끼는 심리적 인자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분석 결과,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으며 가로의 이미지는 쾌적함과 번화함을 만드는 인자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자분석의 결과로 알게 되었다. 인자분석에 의해서 구분된 가로의 이미지 중에서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집단은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 면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어서 상반된 이미지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가로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이미지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에서 가로 폭, 보도 폭과 차도 폭의 비율, 건물의 높이와 가로 폭의 비율, 그리고 식재율 등의 차이가 가로의 이미지가 상반되게 느끼게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는 어떤 종류의 가로라도 가로의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번화한 이미지를 갖는 가로를 만들기 위한 물리적 인 요소의 구성방법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하기 위하여 가로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번화함이 있는 가로를 조성하기 위한 자료를 만드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로변 공동주택 경관의 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남악신도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cognition Characteristics about the Landscape in Apartments at the Street - Focused on Apartments in Namak Newtown -)

  • 이재민;김윤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9-2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landscape at the street from a view that apartments are the major element of a cityscape and many apartments form a street today. Th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sections consisting of streets in Namak New Tow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streetscape is necessary to have identity under the unity(context) of parts which orient to "one as a whole". However, the subject apartments were not united(contextual) in layouts, roofs, and walls, whereas their facades appeared too united(contextual). Accordingly, to make a united(contextual) streetscape, the wall located in a boundary(a buffer zone) with public space which consists of a streetscape, building layout, building height, and roof forms need a design guideline which can have unity as a whole to connect with architectural design. On the other hand, the facade which was found too uniform should have a more active design guideline to elicit identity at unity.

서울 중계동 백사마을 가로외관 특성 연구 (The Study on Street Facade Characteristics of Junggye-dong 104 village in Seoul)

  • 장용해;이영한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5-15
    • /
    • 2013
  • 104 village has kept the landscape of low-income settlements at hillside village as called 'Daldongnae' since 1960s. It has high urban and social values in modern housing history of Korea.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type, transformed type of street facade and also the meaning in the modern housing history. It analyzes basic elements(building elevation, gate, fence) and subsidiary elements(roof form, door, window), and the type of street facade by the composition of the element.

가로 활성화 요인으로서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을 위한 패턴 언어에 관한 연구 - 인사동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Language for Street Environmental Design Analysis as the Vitalization factor of Street - Case study based on Insadong Street)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147-8156
    • /
    • 2015
  • 본 논문은 가로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으로 인사동길의 패턴 언어를 분석한 것이다. 보행자 가로, 공원, 광장과 같은 도시 공공공간은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만족하는 공간은 많지 않다. 이는 사람과 공공공간의 공간적 질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형식적인 공급과 관리 방향에만 치중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 언어를 적용하여 인사동길의 분석을 통하여 활력이 넘치고 다양한 거리를 만들고, 지역의 특성을 부여하는 요소들을 찾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대별로 변화되어온 도시 가로환경의 가치인식 변화를 통하여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선별하고, 각각의 공간적 특성에 적합한 패턴 언어를 선별하여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을 위한 기준을 마련한다. 연구결과, 인사동길을 중심으로 패턴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거리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 언어는 보행자 거리(100), 건물의 정면(122), 활동의 결절점(30) 등 16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패턴 언어를 통하여 인사동길의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가로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과 평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Utilization of SketchUp for Efficient 3D Modeling of Buildings

  • Park, Joon Kyu;Lee, Keun Wa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31-438
    • /
    • 2017
  •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urban planning, urban management and related decision making is increasing an importance in recent years. Especially, the information about 3D buildings in urban area is necessary for urban management related precise location based service.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effort, and costs to produce 3D modeling data of buildings. These problems have been found in many studies, but the research to solve these problems is still necessary. In this study, we have tested an efficient 3D modeling method of building to solve these problems. SketchUp was used to test 3D modeling methods with OSM(OpenStreetMap) data. The other 3D modeling method using a digital map was tested. The 3D modeling of building data was efficient using PlaceMaker, which can use OSM data. In addition, modeling was possible through simple editing of the digital map and automatic building generation. The efficiency of the research results is presented by comparing with the traditional method based on the regulation and the stadard man power issued by Korean government. These two 3D modeling methods of building tested through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and work.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building model and determine how to obtain height data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