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uilding Structure Standard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초

화열(火熱)이 에폭시수지로 보수·보강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ire Heat on the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Repaired and Reinforced with Epoxy Resin)

  • 조태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38-145
    • /
    • 2023
  • 연구목적: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른 보수, 보강 건축물의 증가에 따라 기 보강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시 화재 후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여 보수, 보강대책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의한 공시체를 제작하여 28일 양생 후 압축기를 통해 압축강도 측정 및 파괴를 유도후 에폭시로 보수, 보강하여 3일 양생 후 일부공시체를 재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여 강도 복원 정도를 파악하고 보수, 보강한 나머지와 보수, 보강하지 않은 공시체를 실험용 전기로에 넣고 시간, 온도별로 가열한 후 압축강도를 실험하여 화재의 영향성을 추정함. 연구결과: 항복된 공시체를 에폭시로 보강한 후 실험용전기로에 넣어 가열을 시간별로 온도의 차이를 주어 실험한 결과 높은 온도에서 열 영향을 받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강도의 저하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보수, 보강되지 않은 공시체보다 더 강도 저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토대로 볼 때 에폭시 수지로 보수, 보강된 건축물이 화해를 입을 때는 일반 보수되지 않은 건축물보다 더 위험함을 알 수 있었으므로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하였을 때 보수보강 표면에 내화피복재 등을 도포하는 등 화재 취약에 대비하여야하겠다.

변압기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부싱 방화구조체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ushings Fire Prevent Structure to Prevent Fire Spread of Transformer)

  • 김도현;조남욱;윤충호;박필용;박근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53-62
    • /
    • 2017
  • 경제 및 산업의 원천 에너지원인 전력은 생산과 소비의 지역적 상이함으로 장거리 수송을 필수로 하며, 다중환상망(Multi-loop) 형식의 송배전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실질적 사용에 앞서, 변전소내 변압기를 통해 변전과정을 거쳐 각 사용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변압기는 본체, 권선, 절연유, 부싱등의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변압기화재는 가구와 상업시설등에 전기공급을 중단시키고 각종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1차 손실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경제 손실을 야기한다. 화재의 원인은 부싱 하부파손에 따른 절연유 유출과 약 1초 이내 발화점에 도달하는 절연유에 의한 화재의 연쇄반응으로 파악된다. 화재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연기감지기, 자동소화설비 등이 구축되어있으나 감지기의 동작 및 소화가스 방출지연 등으로 화재진화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의 부재가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화재진화에 따른 골든타임 확보의 중요성에 따라 화재확산을 방지하고 절연유 누출을 차단하는 능동적 메커니즘의 필요에 따라 수행되었다. 따라서 화염에 의해 팽창하는 고온형상 유지물질과 기계적 화염차단장치를 적용한 부싱방화구조체를 개발하였다. 실제 부싱 및 프렌지규격을 적용하여 제작된 변압기모형에 부싱방화구조체를 설치하여 실규모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기화염으로부터 3초내에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부싱방화구조체가 작동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실제 변압기화재 시 화염 확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축구조용 고성능강(HSA800) 용접 H형단면 기둥의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Built-up H Shaped Columns Fabricated with HSA800 High Performance Steels)

  • 김태수;이명재;오영석;이강민;김도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27-636
    • /
    • 2012
  • 최근 구조물의 고층화, 대형화 및 장스팬 활용 등의 요구로 고강도 고성능 재료의 건축물과 교량에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고성능강의 건축구조용 재료 특성과 고성능강재를 사용한 부재의 설계 기준을 위한 기본적인 연구의 일부이다; HSA800의 재료적 특성은 한국산업표준의 요건과 비교하였다. 용접 H-형 단주의 국부좌굴 거동과 현행 판폭두께비 설계 제한치를 검토 위하여 다양한 판폭두께비 변수를 계획하고, 단축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한요소결과로 얻어낸 단주의 좌굴거동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해석결과가 고성능강 H형 단면 단주의 좌굴거동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 (A Study on the Evaluating Indicators of the Level of Deterioration in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 조성희;이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31-142
    • /
    • 2009
  •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built and supplied on a large scale in the 1st period of the New Town project in metropolitan areas since the late 1980s. Now It has become necessary to improve those apartment complexes, which have serious deterioration problems for aging more than about 20 years accompanying simultaneity and a large sca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valuating indicators to measure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apartments inclusively and practically in order to regenerate apartments as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parts; (a) establishing the conceptual model of evaluation of apartment deterioration, (b) selecting evaluation items, (c) constituting evaluation measurement, and(d)weighting evaluation indicators. First, deterioration of apartments was conceptualized by physical.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oposed the conceptual model of hierarchy structure of evaluation of apartment deterioration by literature reviews. Second, evaluating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f existing indicators and preceding studies about apartment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evaluating indicators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77 evaluating items which we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and 9 attributes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model. They cover comprehensive scope of the apartment such as unit, building, complex, and site. Third, as the measurement, the 5 point ordinal scale measure was suggested. The evaluating measurement including measure standards, measure methods, and measure contents were developed by each evaluating items. Lastly, the weighting of evaluating indicators was analyzed by AHP method conducted by survey on the expert group. Items were identified as high contributors or low contributors. The weighting of these items could suggest several evaluat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evaluation of the level of deterioration can be done by both total evaluation and a specific field of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easy to grasp deteriorated attributes or dimensions by providing a radar and bar chart showing evaluation results. These evaluating indicators could be a useful tool to grasp actual methods for the regeneration of apartments.

Ad Hoc 기반 의료정보시스템의 네트워크 보안 효율성구조 Infrastructure 설계방법 (A Building Method of Infrastructure Efficiency under Ad Hoc-based 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Medical Information System)

  • 노시춘;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1-98
    • /
    • 2011
  • 의료정보시스템 상에서 ad hoc 기반으로 디자인 된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정보시스템 네트워크와 보안 요구사항이 다르다. 의료정보 네트워크 구조상에서는 트래픽 소통경로를 따라 악성코드 침투와 보안기능이 수행된다.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이란 침투와 방어기능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구조상에서의 트래픽처리 영역과 그룹을 차별화 하여 구분시키는 개념이다.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별 영역과 기능을 기준으로 도메인별로 차별화된 침투발생이 가능하고 따라서 도메인별로 차별화된 보안 메커니즘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Ad Hoc 기반 의료정보시스템은 어떤 기준으로 효율성 구조 Infrastructure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가 방법론 도출을 위해 본 연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 네트워크 형상(Topology) 결정 요소, 보안도메인 설정기준, 구조도 선택기준, 차단위치 결정 구성기준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 영역기준에 따라 차별화된 설계가 필요하며 보안효율을 증대시킬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Physico-chemical and mineralogical study of ancient mortars used in Harran area (Turkey)

  • Binici, Hanifi;Akcan, Mehmet;Aksogan, Orhan;Resatoglu, Rifat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5권6호
    • /
    • pp.639-658
    • /
    • 2017
  • Very limited studies have been accomplished concerning the historical structures around Harran area. Collected mortar samples from the historic structures in the area were tested to explore their mechanical,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Mortar samples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each historical structure were taken and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ed standard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mechanical,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By means of SEM-EDX the presence of organic fibres and calcite, quartz, plagioclase and muscovite minerals has been examined. Additionally, by means of XRF analysis, oxide ($SiO_2$, $Al_2O_3$, and $Fe_2O_3$) percentages of mortar ingredients have been specified, also.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ob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tars had densities ranging between $1.51-2.10g/cm^3$, porosity values ranging between 8.89-35.38% and compressive strengths ranging between 5.02-5.90 MPa. Specimen HU, which has the highest durability and lowest water absorption and porosity, was the mortar taken from the most intact building in the mosque complex. This result is most likely due to the very little fine aggregate content of HU. In contrast, HUC mortars with a small amount of fine particles and brick contents yielded slightly lower compressive strengths. The interes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mineralogical analysis results and especially the presence of ettringite in these historic mortars linked to the use of pozzolanic materials. Survival of these historic structures in Harran Area through centuries of use and, also, having been subjected to many earthquakes can probably be explained by these properties of the mortars.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내 도로비점오염의 특성 및 저감시설의 적용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Roadside Non-point Pollution and Applicability of Reduction Facilities in Paldang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 조혜진;송미영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4호
    • /
    • pp.294-2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내 적정 도로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계획을 위해 대상 도로구간의 현장조사를 통해서 보호구역내 도로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용가능한 도로를 선정하고 시설을 시범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은 도로주변 토양의 배수등급이 높아 침투시설을 지양하고 도로사면을 통한 자연적인 오염원 저감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정하다. 앞으로 도로비점저감시설의 계획 및 설계에서 대상도로의 특성에 대한 분석 후 저감계획을 세우는 것이 적정하며 이는 관련 규정 및 설계 기준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파쇄영역에 따른 발파진동 전파특성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blast-induced vibration to fractured zone)

  • 안재광;박두희;박기천;윤지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959-972
    • /
    • 2017
  • 발파진동 안정성 평가는 일반적으로 발파 진동추정식을 통해 최대진동속도(PPV)를 산정하고 추정된 속도 값과 법규 혹은 기준에 제시된 허용 기준 값을 비교하여 안정성 여부를 판단한다. 현장 고유의 발파 진동추정식은 시험 발파의 횟수, 대상지반의 지질학적 구조와 발파 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식을 통해 정확한 응답 값을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최대진동속도는 지반에 예상되는 응답 값으로 구조물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는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한계점으로 인해 발파 진동에 대한 구조물의 정밀한 안정성을 평가할 경우 엔지니어들은 상용화된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하지만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발파공 주변 암반의 복합적인 상태변화(파쇄, 분쇄, 균열, 소성변형)를 기존 수치해석 프로그램으로 정확히 모델링 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모사할 경우 절점 수의 제한으로 인해 모델링이 가능한 범위가 한정적이고 긴 연산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발로 발생하는 암반의 복합적 상태변화 과정을 모사하지 않고 파쇄영역 이후 탄성에너지 전파만을 모사하는 해석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때 파쇄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따른 속도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폭원 주변에서는 설정되는 파쇄영역에 따라 계산된 속도의 크기 및 감쇠에 차이를 보였다. 전파되는 진동은 폭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형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를 위한 조경객체 및 속성정보 분류체계 (Landscape Object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System for Standardizing Landscape BIM Library)

  • 김복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3-119
    • /
    • 2023
  • BIM(건설정보모델링)을 건설사업 전반에 적용하려는 정부정책 이후 업계는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 활용하려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 BIM 도입은 모델 객체들을 표준에 맞춰 라이브러리로 구축하여 반복 사용함으로써 업무량을 줄이고 데이터의 정합성과 호환성, 일관된 품질을 확보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이에 국내 건축과 토목분야, 해외 조경분야에서는 이미 상당수의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지침을 마련하였다. 현재 국내 조경분야에서도 BIM에 관한 기초연구 및 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산업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아 확산이 지연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BIM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논의의 시발점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경실무에서 라이브러리를 제작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객체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경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는 객체분류와 속성정보 도출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모색되었다. 먼저 국내 건설정보분류체계, 물품분류체계, 조경설계기준, 조경공사표준시방서, 그리고 노르웨이 조경가협회의 BIM 객체분류체계를 참고로 객체분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경객체는 조경식재, 조경시설물, 조경구조물, 조경포장재, 관수 및 배수시설의 5개 대분류하에 교목, 관목, 지피초화류, 옥외시설물, 옥외조명시설, 계단 및 경사로, 옥외벽체, 옥외구조물, 포장재, 경계석, 관수시설, 그리고 급배수시설을 포함하는 12개의 중분류로 나뉘었다. 다음으로 조경객체에 탑재될 속성정보를 도출하고 구조화하였다. 이를 위해 KBIMS(한국 BIM 표준)의 공통 속성정보를 항목에 포함하였고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객체 속성정보를 영국 조경협회의 PDT(제품정보 템플릿)를 참고하여 추가하였다. 이로써 공통 속성정보에 식별, 보급, 분류체계, 공급정보가 포함되었고, 객체 속성정보에 명명, 규격, 설치 또는 시공, 성능, 지속가능성, 유지관리에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조경객체의 라이브러리 표준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모델링의 업무 효율성 및 분야 간 BIM 모델의 데이터 정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경 BIM 도입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국내 라돈 취약가구에 대한 주거공간의 실내 라돈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 among Vulnerable Households in Korea)

  • 주덕현;박기호;정희원;임형준;복동석;윤동원;민경환;문경덕;김정운;이지민;최원용;김성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1-7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adon exposur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mong vulnerable households. Methods: Nationwide, 1,129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personal questionnaires for adequately understanding the living environment, installation of E-PERM radon gas detectors, and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Results: The mean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for all subjects was $130.2Bq/m^3$ (GM=101.7), and a total of 438 subjects (38.8%) exceeded the recommended standards ($148Bq/m^3$) for public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By location, the highest concentrations ($164.3Bq/m^3$, GM=124.1) were seen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In the case of the Seoul/Gyeonggi Province metropolitan area, they showed $125.6Bq/m^3$ (GM=105.1) and $118.9Bq/m^3$ (GM=96.5), respectively. By type of hous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single-family housing were higher than in row/multi-family housing (p<0.01). Although indoor radon concentrations raised in accordance with year of construction (p<0.05), the difference betwee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underground residences was not obser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633). Conclusion: More stud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regarding the difference i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that may occur due to different of types of indoor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s, and the amount of build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