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ing effec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9초

유도 결합 플라즈마를 이용한 {Y-2}{O_3}$ 박막의 식각 특성 연구 (A study on Etch Characteristics of {Y-2}{O_3}$ Thin Films in Inductively Coupled Plasma)

  • 김영찬;김창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9호
    • /
    • pp.611-615
    • /
    • 2001
  • Y₂O₃ 박막은 MFISFET형 FRAM의 절연층으로써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CP에서 Cl₂/Ar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Y₂O₃ 박막을 식각하였다. Y₂O₃박막의 식각율과 YMnO₃ 에 대한 Y₂O₃ 박막의 선택비를 Cl₂/(Cl₂+Ar) 가스혼합비에 따라 조사하였다. Cl₂/(Cl₂+Ar) 가스 혼합비가 0.2일 때 Y₂O₃ 박막의 식각 속도는 302Å/min 으로 최대였으며, 그때 YMnO₃ 에 대한 Y₂O₃ 박막의 선택비는 2.4 이었다. Cl₂가스의 첨가량에 따라 Y₂O₃박막의 식각 속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OES를 이용하였고, 식각 후 표면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XPS 분석을 수행하였다. XPS 분석 결과 Y과 Cl과의 화학 반응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러한 분석결과는 SIMS 분석으로 확인되었다.

  • PDF

생활오폐수에 대한 정화력이 높은 수생식물 선발 (Selection of Aquatic Plants Having High Uptake Ability of Pollutants in Raw Sewage Treatment)

  • 김춘송;고지연;이재생;박성태;구연충;강항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5
    • /
    • 2007
  • 인공습지나 수변녹지 및 완충 저류지와 같은 수질정화시설을 조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수생식물을 선발하고자 낙동강 하류에 자생하는 수생식물과 외래 수생식물, 습생작물을 대상으로 부영양화 성분(T-N, T-P) 및 EC 관련 무기성분에 대한 정화능력을 검정하였다. 수생식물의 생육기간 동안 $225{\sim}444\;L\;m^{-2}$ 범위의 생활오폐수를 사용하였으며, 건물생산량이 많았던 벼와 부들, 줄, 비자루국화, 율무, 털물참새피 등이 350 L $m^{-2}$ 이상으로 가장 많은 생활하수를 소모하였다. 질소와 인의 체내흡수량과 실제 정화능력(정화효율 및 정화량) 및 수확 후 토양을 분석한 결과, 초장이 크면서 건물량도 많았던 벼, 비자루국화, 부들, 율무, 털물참새피, 줄 등이 부영양화성분에 대한 우수 정화식물로 선발되었다. 무기성분 중 K에 대한 정화력은 부영양화성분의 우수 정화식물로 선발된 수생식물과 더불어 물상추와 부레옥잠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EC와 관련이 높은 Ca와 Na, Cl에 대한 정화효과가 우수한 수생식물로는 물상추와 부레옥잠, 털물참새피가 선발되었으며, 특히 털물참새피는 $SO_4$에 대한 정화효과도 뛰어났다.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Inclusion on Corn Silage Fermentation

  • Chiou, Peter Wen-Shyg;Ku, Hsiao-Che;Chen, Chao-Ren;Yu, B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68-1579
    • /
    • 2001
  •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AFE) on corn silag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rial included two groups of treatments, with or without AFE inclusion in corn ensilage. Sixty corn silage containers, including two treatments with thirty replicates each, were processed in a laboratory scale mini-silo of 21 cm radius by 45 cm height. Three replicate containers were opened and sampled for analysis at 0, 0.5, 1, 2, 3, 4, 6, 10, 18 and 34 days after being ensiled. One silage container from each treatment was installed with a remote controlled electronic thermometer to record the temperature changes. Analysis included silage temperature, pH, fermentation acids, the water-soluble carbohydrates and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silage protein fractions. Results showed that on the first day, the temperature of the ensiled corn was slightly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but returned to room temperature on the second day. The pH and concentrations of WSC, ADF, lignin and acetic acid in the AFE treated silag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p<0.05). The lactic acid and crude protein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FE treated silage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at the end of the ensilage period. The D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whereas the butyric acid content of the AFE treated silag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control at the end of the 34 day ensilage period. Titratable acid and buffering capacity in the corn sil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Ammonia N concentration in the AFE treated silage showed a trend of decrease (p>0.05). NPN and the protein fraction A in both groups increased during the conservation period, but fraction A in the AFE treated corn sil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ilage (p<0.05). During the conservation period, the AFE treated corn silage showed a trend toward a decrease in fractions $B_1$, $B_3$ and C (p<0.05). The protein fraction B2 showed a trend toward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and an inconsistent trend in the AFE treated silage during the ensiling period. The AFE treated silage showed a better Flieg score over the control silage (97 vs. 75) as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다단 에어셀 충진 밸브성형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ing Technology of Multi-stage Aircell Filling Valves)

  • 김미숙;박동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7-64
    • /
    • 2017
  • 오늘날 EU환경규제로 포장용 완충재로 사용되는 EPS(스티로폼) 대체용 공기 충진 완충재는 출시 이후 점진적으로 시장이 확대되는 포장업계 블루칩이다. 공기충진형 완충재는 뛰어난 완충능력과 친환경성으로 EPS를 대체하여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기존 공기 충진 완충재에 대비하여 원료절감과 공정향상, 직관적 미관 향상을 모두 충족하는 새로운 선택 충진형 공기 충진재 제조기술이다. 본 연구는 다단 에어셀 충진 밸브성형기술은 선택충전 기술을 바탕으로, 밸브형성 구조기술을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충진이 가능한 기술이다. 다단 에어셀 충진 밸브성형기술의 구조도는 밸브단이 구분된 제1주입필름, 밸브필름, 제2주입필름 등 3겹의 필름을 적층하여 복수의 주입구를 형성한 기술이다. 기존의 기술은 연결된 다수의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공기주입로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나, 본 연구는 공기 주머니의 내부에 외부 공기주입로가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외부 공기주입로가 외견상 없어짐으로써 그에 따른 원재료 및 공정이 감소하고, 공기가 주입되어 원형 튜브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단면의 길이가 63~66%로 축소되는 공기주머니와 다르게 공기주입 후 내부 공기가 배출되고 단면이 원래의 길이를 유지하여 불필요하게 접힌 채 붙어 있는 외부 공기주입로를 내부에 일체화 하여 완충재의 미관이 향상되는 기술적 특징과 다수의 연속된 공기주머니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충전할 수 있는 선택충전에 관한 것으로 기존 기술대비 뛰어난 차별성을 갖는 스마트한 공기충전형 완충재 제조 기술이다.

햄스터 상구의 deeper layers에서 calretinin이 함유 신경세포 (Calretinin-Containing Neurons in the Deeper Layers of the Hamster Superior Colliculus)

  • 김예은;최재식;김혜현;여지연;전창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50-758
    • /
    • 2006
  • 칼슘 결합 단백질 calretinin은 칼슘의 완충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우리는 햄스터 상구의 superficial layer에서 calretinin과 면역반응(immunoreactive)을 일으키는 신경세포의 형태, 분포와 안구적출 후 calretinin 면역반응의 영향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구의 deeper layer에서 면역세포화학 방법을 이용하여 면역표지 된 세포의 분포와 유형 그리고 안구적출 후 변화의 양상을 기술한다. 또한 중추 신경계에서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를 사용하여 calretinin 면역표지 된 세포와 비교하였다. Superficial layer와 비교하여, deeper layer는 calretinin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많은 신경세포들이 분포한다. 이 신경세포들은 두 층을 형성하며, 그 중 첫 번째 층은 intermediate gray layer에서 뚜렷한 층 구조를 나타내었다. 두 번째 층은 deep gray layer에서 발견되었다. 면역표지 된 신경세포는 형태학적으로 매우 다양하며, 수직 방추모양, 성상, 둥근/타원형 그리고 수평 신경세포를 포함한다. Superficial layer와 비교하여, 안구적출은 deeper layer에서 calretinin 면역반응의 분포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두 가지 색을 이용한 면역 형광법은 calretinin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이 하나도 GABA항체와 함께 표지 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햄스터 상구에서 calretinin 함유 신경세포는 특이한 sublaminar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또한 햄스터 상구에서 calretinin 면역 반응 신경세포들은 GABAergic interneuron이 하나도 없는 것을 증명한다. 많은 calretinin 면역 반응 세포들은 대부분 뇌의 다른 부분에서는 GABAergic interneuron 인데 비해, 햄스터 상구에서의 본 연구 현상은 예외적이다.

천연제빵 발효 Starter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Bread-making Starter)

  • 이종열;이시경;조남지;박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45-1252
    • /
    • 2003
  • Starter활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밀가루 단백질 함량, 수분첨가비율 및 다양한 영양원을 첨가하면서 starter에 내재된 미생물의 생육과 pH및 적정산도의 변화정도를 관찰하면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는 starter배합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완성된 starter를 빵 제조에 효모 대신 첨가하면서 식빵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여 천연 제빵 발효종으로서 starter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밀가루에는 효모보다 젖산균의 수가 100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pH 및 적정산도의 변화가 적어 미생물의 생장에 더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냈으며 단백질 함량은 강력분 수준(12.0%이상)이 starter 제조에 적합하였다. 수분 첨가함량이 60% 정도인 경우는 110% 이상인 경우보다 균수가 10배 이상 적었으며 수분함량이 200%인 경우는 pH및 적정산도의 변화가 커서 오히려 starter의 활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정 수분함량은 강력분인 경우 110%가 적정하였다. 식염 및 설탕의 첨가는 효모 및 젖산균의 수를 크게 증가시켰으나 올리고당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설탕의 농도가 10%이상 그리고 식염의 농도가 2%이상으로 증가되면 삼투압의 영향으로 균의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tarter의 시험구 중 강력분을 사용하고 수분함량 110%에 설탕 5% 및 식염 1%을 사용한 starter의 발효 팽창력 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Starter를 첨가하여 만든 빵은 효모를 첨가하여 만든 빵에 비하여 체적을 제외한 모든 품질 특성에서 우수하였으며 특히 관능 특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강력분, 수분 110%, 설탕 5% 및 식염 1%를 배합하여 3일 동안 3$0^{\circ}C$에서 refresh시킨 starter는 실제 제빵시 효모의 효과적인 대체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머 기판 위에 전사된 실리콘 박막의 기계적 유연성 연구 (Flexibility Study of Silicon Thin Film Transferred on Flexible Substrate)

  • 이미경;이은경;양민;천민우;이혁;임재성;좌성훈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29
    • /
    • 2013
  • 현재까지 유연한 전자소자 개발은 주로 인쇄전자 기술을 이용한 유기재료 기반 위주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유기 기반의 소자는 성능 및 신뢰성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기재료 기반의 실리콘 고성능 유연 전자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노 및 마이크로 두께의 단결정 실리콘 박막을 transfer printing 기술을 이용하여 유연기판에 전사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유연소자는 굽힘 시험과 인장 시험을 통하여 유연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PI 기판에 부착된 두께 200 nm의 박막은 굽힘 시험 결과, 곡률 반경 4.8 mm 까지 굽힐 수 있었으며, 따라서 굽힘 유연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인장 시험 결과 인장 변형률 1.8%에서 박막이 파괴되었으며, 기존 실리콘 박막에 비하여 연신율이 최대 1%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FPCB 기판에 부착된 마이크로 두께의 실리콘 박막의 경우 칩이 얇아질수록 굽힘 유연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20{\mu}m$ 두께의 박막의 경우 곡률 반경 2.5 mm 까지 굽힐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연성의 증가는 실리콘 박막과 유연 기판 사이의 접착제의 완충작용 때문이다. 따라서 유연 전자소자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박막 제작 시 공정 중의 결함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한다면 유연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리와 옥수수 잎의 색소, 단백질 함량 및 관계II 활성에 미치는 ${SO}^2$의 영향 (Effects of Sulfur Dioxide on Pigments, Frotein Content and Photosystem II Activity of Barley and Corn Leaves)

  • 정화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5권3호
    • /
    • pp.135-151
    • /
    • 1982
  •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anges of pigments and soluble protein, and photosystem II activity in the leaves of barley (${SO}_2$-sensitive) and corn (${SO}_2$-resistant) seedlings induced by the ${SO}_2$ fumigation (10, 50ppm). The pH changes of the leaf extract, the content of sulfite and sulfate, the activities of catalase, peroxidase, and polyphenoloxidase were compared in the leaves of barley and corn seedlings induced by ${SO}_2$ fumig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n appreciable effect of pH change of leaf extract by ${SO}_2$ fumigation was observed in barley leaves (pH 6.10 to 5.18), but only a small change occurred in corn leaves (pH 5.66 to 5.50). The same pattern of pH changes was recorded when the solution of 0.2N HCl was added to leaf extract, providing lower buffering capacity of the barley leaves than corn leaves. After 2 hours of exposure to 10 ppm ${SO}_2$, the contents of ${SO}^{2-}_3$ and ${SO}^{2-}_4$ were increased in barley leaves, while only ${SO}^{2-}_4$ increased in corn leaves. After fumigation with 10ppm ${SO}_2$ for 2 hours, barley leave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activities of catalase, to 17% peroxidase, to 58%, and polyphenoloxidase, to 88%. Corn leaves showed increases in activities of peroxidase, to 136%, and polyphenoloxidase, to 128%. Absorption spectra of pigments obtained from ${SO}_2$-fumigated leave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fumigation time increases, but the decrease was more significant in barley leaves. Fumigation with 50ppm ${SO}_2$ for 2 hours induced the greatest decomposition in carotenoid, followed by chlorophyll a and then chlorophyll b in barley leaves. The ratio of chlorophyll a/b was decreased from 4.1 to 3.6 in barley leaves, but in corn leaves it was maintained almost a constant level(4.9-4.8). The rate of decomposition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 in corn leaves was very slow than those in the barley leaves. Fumigation with 50 ppm ${SO}_2$ for 2 hous, decreased the protein content of barley leaves to 59%, and that of corn leaves to 89%, and the extent of decrease in protein content was greater than that of pigments in barley and corn leaves. The rate of DCIP9dichlorophenol indophenol) photoreduction in ${SO}_2$-fumigated leaves was decreased to 18 and 67% in barley and corn leaves, respectively. However, DCIP photoreduction was considerably recovered about 32 and 92% with the addition of DPC(diphenylcarbazide) as an exogenous electron donor in barley and corn leaves, respectively.

  • PDF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s' Socio-emotional Problems on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 최수찬;박해웅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177-196
    • /
    • 2005
  • 현대 산업사회의 기업 근로자는 극심한 경쟁과 과다한 업무에 노출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지원의 부재로 말미암아 다양한 사회정서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자의 당면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개인의 정신건강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근로자의 삶의 질을 훼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가 당면하는 사회정서적 문제가 직장 및 개인생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조직, 퇴직고충, 직장폭력 등의 직장생활 분야와 가족관계, 자녀교육, 위기문제 등의 가정생활 분야, 그리고 문화생활 및 건강관련 분야에서 폭넓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개인의 동기유발이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 지지의 역할은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근로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사회적 자원이나 지지 체계가 우울감을 낮추거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직차원의 대응과 노력이 절실히 요청된다.

  • PDF

오렌지쥬스의 치아 법랑질 침식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AMEL EROSION CAUSED BY ORANGE JUICES)

  • 이창윤;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17-623
    • /
    • 2004
  • 최근 들어 산성 음료의 소비급증과 함께, 치아 경조직의 손상을 초래하는 양대 질환의 하나인 치아침식증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음료의 주 소비층이 소아청소년이라는 점에서 치아경조직 손실의 우려는 더 커진다. 본 연구는 오렌지 쥬스에 의한 법랑질의 침식 효과를 분석할 목적으로 현재 시판되는 오렌지 쥬스 제품 중 선호도가 높은 4종을 선택하여 산도, 완충효과 및 일부 무기성분 농도를 분석하고 이에 의한 법랑질 침식 정도를 표면미세경도 변화로 간접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종의 오렌지 쥬스 시료의 평균 산도는 pH 4.0 으로서 치아 침식증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으며, 실제로 모든 시료에 의해 법랑질 침식이 유발되었다(p<0.05). 2. 법랑질의 침식은 비교적 단시간(10분)안에 유의한 수준으로 일어났다. 오렌지 쥬스에 10분간 담근 후의 법랑질 미세경도는 담그기 전에 비해, 델몬트 92.8%, 썬키스트 92.7%, 아침에 쥬스 90.1%, 썬업 88.8% 이었다. 3. 각 오렌지 쥬스 제품 간의 침식유발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