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 Intensit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44초

청량음료용 고강도 감미료의 혼용 비율에 따른 관능적 특성 및 저장기간 산정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Shelf-life by $Q_10$ Values with Mixtures of High-Intensity Sweeteners for Beverage during Storage)

  • 최선영;장은경;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2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설탕과 유사한 단맛 특성을 보이는 고강도 감미료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 되는 설탕 용액과 동일 단맛 강도를 주는 아스파탐의 농도를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과 스테비오사이드의 비율을 각각 5:5, 7:3, 9:1, 10:0으로 달리하여, 증류수와 pH 3.2인 구연산 완충액에 용해시킨 여러 감미료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 고강도 감미료의 단맛 및 기타 여러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강도 감미료를 혼용 사용함으로써 단맛과 삼킨 후 단맛은 유의적으로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깨끗한 맛, 떫은맛, 쓴맛, 금속맛, 뒷맛(단맛이외의 맛)은 기준용액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아스파탐에 아세설팜칼륨을 5:5로 혼용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동안 온도에 따른 구연산 완충액상에서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에 따른 저장 기간 및 단맛 강도의 변화를 조사해보았다. 구연산 완충액(pH 3.5)에 감미료의 혼용 비율을 달리하여, $40^{\circ}C$$50^{\circ}C$에 저장하면서, HPLC로 감미료의 $20\%$ 가 분해된 시점에 이른 시간을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Q_10$ 값을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20, $30^{\circ}C$에서의 저장기간을 예측하였다. $Q_10$ 값은 2.01-2.25 이었으며, 이 값들을 토대로 저장기간을 계산하면,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이 높아질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져서, $50\%$로 혼용하였을 때 가장 긴 저장기간이 산정되어 $20^{\circ}C$에서는 178일, $30^{\circ}C$에서는 88일이 예측되었다.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비율을 5:5, 7:3, 9:1로 달리하여 구연산 완충액 상에 녹인 후, 20, 40, $60^{\circ}C$에서 저장하였다 크기 추정법을 이용하여 단맛을 측정한 결과 20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20^{\circ}C$$40^{\circ}C$에서는 단맛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cetate 및 Na-Malate와 K-Sorbate가 김치발효중 pH, 산도 및 산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Acetate, Na-Malate and K-Sorbate on the pH, Acidity and Sournes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박경자;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4
    • /
    • 1988
  • 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유기산염인 Na-acetate와 Na-malate의 산미완충작용을 점검하였고, 이를 김치에 첨가하여 K-sorbate와 K-sorbate+acetic acid의 보존효과와 교하였다. 산미와 유기산염의 완충능력은 동일산도에서 산염이나 완충용액의 완충효과에 따라 pH가 달라지며 산미의 강도도 다르게 느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산과 산염의 비율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연후에 완충작용을 나타내고 있었다. 김치시료중 첨가구들은 모델김치(Control)에 비해 모두 가식기간을 뚜렸하게 연장 시켰다. 0.3% Na-acetate와 0.3% Na-malate는 김치발효중 유기산이 생성되면서 산미완충 작용을 나타내어 산도에 비하여 pH는 높고 산미는 적게 느끼게하며 K-sorbate보다는 가식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sorbate와 K-sorbate+acetic acid는 미생물 생육을 지연시키며 후자가 전자보다 우수한 숙성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HG-ICP-AES를 이용한 Germanium 분석에 있어서 보조산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Acids on the Germanium Analysis by HG-ICP-AES)

  • 임현의;이연희;김선태;김영상;김강진
    • 분석과학
    • /
    • 제14권1호
    • /
    • pp.34-43
    • /
    • 2001
  • 수소화물생성법-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방출분광법으로 게르마늄을 분석할 때 보조산으로 phosphoric acid의 사용은 nitric acid,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perchloric acid, bo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acetic acid, tannic acid, citric acid의 사용보다 높은 수소화물 생성효율을 보였고, 같은 pH영역이라도 phosphate ion이 존재하는 buffer의 사용이 더 높은 생성효율을 보였다. 또한, 2.5M phosphoric acid를 이용한 결과, 시료용액 내에 잔류하는 산이나 공존원소의 영향이 감소하였다. 환원제와 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소화물 생성효율은 증가되었으며, 최대방출세기를 나타내는 산의 세기는 높은 쪽으로 이동했고 농도영역은 넓어졌다. 인산 존재 하에서의 게르마늄의 검출한계는 $0.03{\mu}g/L$이었다.

  • PDF

백화옥수수 잎절편을 이용한 안토시아닌 생합성 조절제 탐색용 신규 검정법 확립 (A Novel Bioassay System for Screening of Compounds Affecting Anthocyanin Biosynthesis Pathway in White Corn Leaf Segment)

  • 김진석;이병회;이정애;오광훈;조광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207-214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novel bioassay system for screening of compounds affecting aromatic amino acid or anthocyanin biosynthesis through investigating a degree of sucrose-induced anthocyanin formation such as size of plant material, buffer conditions, light intensity and irradiated duration, incubation temp., etc were determined and standard procedure (suitable experimental condition) was set up as follows. The second leaf blade of white corn seeding induced by fluridone treatment were segmented into a size of 5${\times}$5 min. The segments were floated on the solution of 1% sucrose in 1.0mM MES buffer (pH6.0∼6.5) and incubated at 26$^{\circ}C$ for 2days under the continuous light condition(70∼100$\mu$mol m$^{-2}$ s$^{-1}$ ). Anthocyanin in the purpled tissues was extracted with methanol containing 1% HCl and the optical density of the clear supematants was determined at 528mm. Influences of some chemicals were tested using this system. Glyphosate, 5-enolpyruvylshikimate 3-phosphate synthase inhibitor, showed most sensitive response with I$_{50}$ value at 3.3$\mu$M. Dicyclohexylcarbodiimide(DCCD) and parachloromercuribenzenesulfonic acid(PCMBS) had a relatively strong ingibition with I50 value at 7.1$\mu$M and 10.2$\mu$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sucrose-induced anthocyanin formation in white com leaf segment provide a very simple and rapid system for searching new compounds affecting aromatic amino acid or anteocyanin biosynthesis by screening at less than 10$\mu$M.

Effect of hydroxybutyric-acid on lipid bilayers with respect to layer phase

  • Lee, Gaeul;Park, Jin-Wo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20-726
    • /
    • 2022
  • 형광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세포막의 위상에 따른 하이드록시부티르산 혼입이 생체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형 인지질 이중층인 소포(vesicle)가 이중 에멀젼 기술을 통해 각 층 단위로 제조되었다. 소포 내부의 수성에는 아미노나프탈렌트리술폰산디소듐(ANTS)이 캡슐화되었으며, 소광제(quencher)로 자일렌비스피리디늄브로마이드(DPX)를 소포가 분산된 버퍼에 포함시켰다. 형광 등급은 100% 형광으로서 DPX가 포함된 완충액의 소포와 0% 형광으로서 ANTS와 DPX의 혼합물이 포함된 완충액의 소포를 고려하여 조정되었다. 소포 용액에 하이드록시부티르산 혼입은 막 구조의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하이드록시부티르산 대 지질의 비율에서 소포의 각 층의 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관찰된 결과는 머리 그룹과 꼬리 그룹 모두의 패킹 붕괴에 대한 삼투압 및 체적 효과로 인해 소포의 안정성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Addition of $B_2O_3$ precursors and their effect on texture and surface roughness of $La_2Zr_2O_7$ buffer layers

  • Kim, Young-Kuk;Yoo, Jai-Moo;Chung, Kook-Chae;Shin, Pyung-Woo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23
    • /
    • 2008
  • [ $La_2Zr_2O_7$] (LZO) buffer layers were deposited on biaxially textured Ni-W substrates by chemical solution deposition method (CS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_2O_3$ addition on texture and surface roughness of LZO films was investigated. The alkoxide-based precursor solution was employed to synthesize the precursor solution of LZO and the solution was coated on biaxially textured Ni-W substrates and subsequently annealed at $900^{\circ}C$ for crystallization. The pure LZO film without $B_2O_3$ addition showed a (222) reflection in the X-ray diffraction (XRD) profile. The intensity of (222) reflection was enhanced and more rough surface was obtained after further repetition of coating. Contrary to this, the LZO film prepared by $B_2O_3$ added precursor solution shows well-developed (400) reflection peak in the XRD profile and excellent biaxial texture (${\Delta}{\theta}=4.3^{\circ}$, ${\Delta}{\phi}=6.8^{\circ}$). The surface roughness of LZO films were also improved by addition of $B_2O_3$ even after multicoating ($R_{rms}{\sim}3.1nm$). It was shown that the LZO film with smooth surface and biaxial texture was grown on the biaxially textured Ni-W substrates with addition of $B_2O_3$ in the precursor solution.

식물색소 관여형 화합물의 생물검정법으로서 Greening Assay (A Bioassay for Chemicals Affecting Plant Pigment Biosynthesis: Greening Assay)

  • 김진석;김태준;홍경식;황인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4-220
    • /
    • 1990
  • 식물색소 생합성에 마치는 화합물의 스크리닝 및 생리 생화학적 실험을 위한 Greening assay를 확립하고자 greening 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치상 및 조사 방법에 관한 여러가지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이 및 보리 모두 $25^{\circ}C$ 암조건에 5~6 일 된 것이 greening 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2. 오이는 자엽의 표면이 용액에 닿도록 치상하는 것이, 보리엽신은 상단으로부터 0.5~2.0cm 부위을 절취하는 것이 greening 에 양호하였다. 3. Buffer 는 10mM potassium phosphate(pH 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4. 광조사시 온도가 $15\sim35^{\circ}C$ 범위일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greening 속도가 빨랐으며, 그 반응은 보리보다 오이가, carotenid 보다는 엽록소 생합성이 더욱 민감하였다. 5. 광도에 대한 영향은 엽록소의 경우 오이는 5,000 Lux. 보리는 1,000 Lux 내외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carotenoid의 경우는 이보다 높은 광도에서 최고치를 보이는 경향이었다. 6. 용매의 안전사용농도는 acetone 10% 미만, ethyl alcohol 0.1 % 이하, DMSO 2.5 %이 하였고, 색소 생합성에 관여되는 제초제 또는 몇가지 시약의 $pI_{50}$을 구하였다.

  • PDF

비료와 퇴구비를 처리한 토양과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토양의 EC에 따른 pH변화 (pH Dependence on EC in Soils Amended with Fertilizer and Organic Materials and in Soil of Plastic Film House)

  • 김유학;김명숙;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47-252
    • /
    • 2005
  • 토양 pH는 토양화학반응의 결과로 토양용액으로 해리하는 수소이온을 나타내는 intensity factor이고 토양의 알루미늄에 의하여 수소이온이 완충되고 있다. 토양 양이온에 의하여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기능이 저하되면 토양 pH 양상이 달라지므로 토양 EC에 따른 토양 pH 양상은 토양의 pH 완충력 등 토양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토양에 투입되는 양분에 의하여 토양 pH가 달라지는 현상을 구명하고 시설재배지 토양의 EC에 따른 토양 pH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양토에는 가축분과 퇴비 및 비료를 넣고 시설재배지 토양은 무처리 상태로 $30^{\circ}C$에서 5, 10, 20, 40일간 호기항온 후 토양과 토양용액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축분을 첨가한 사양토의 pH 양상은 토양에 첨가된 양이온 함량에 비례하여 pH가 올라갔으며 양분이 축적된 시설토양의 pH 양상은 양분함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아졌다. 따라서 토양 EC가 높아질 때 토양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력이 높은 상태에서는 토양의 pH는 양이온의 양에 비례하여 올라가지만 토양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토양의 음이온의 양에 비례하여 pH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nhanced Electrical Properties of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Based on PEDOT:PSS incorporated Ruthenium(II) Complex as a Light-emitting layer

  • 강용수;박성희;이혜현;조영란;황종원;최영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9-139
    • /
    • 2010
  • Ionic Transition Metal Complex based (iTMC)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LEECs) have been drawn attention for cheap and easy-to-fabricate light-emitting device. LEEC is one of the promising candidate for next generation display and solid-state lighting applications which can cover the defects of current commercial OLEDs like complicated fabrication process and strong work-function dependent sturucture. We hav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LEECs based on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poly (styrene sulfonate) (PEDOT:PSS)-incorporated transition metal complex, which is tris(2, 2'-bipyridyl)ruthenium(II) hexafluorophosphate in this study. There are advantages using conductive polymer-incorporated luminous layer to prevent light disturbance and absorbance while light-emitting process between light-emitting layer and transparent electrode like ITO. The devices were fabricated as sandwiched structure and light-emitting layer was deposited approximately 40nm thickness by spin coating and aluminum electrode was deposited using thermal evaporation process under the vacuum condition (10-3Pa). Current density and light intensity were measured using optical spectrometer, and surface morphology changes of the luminous layer were observed using XRD and AFM varying contents of PEDOT:PSS in the Ruthenium(II) complex solution. To observe enhanced ionic conductivity of PEDOT:PSS and luminous layer, space-charge-limited-currents model was introduced and it showed that the performances and stability of LEECs were improved. Main discus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relationship between film thickness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device was considered. Secondly, light-emitting behavior when PEDOT:PSS layer on the ITO, as a buffer, was introduced to iTMC LEECs. Finally, electrical properties including carrier mobility, current density-voltage, light intensity-voltage, response time and turn-on voltages were investigated.

  • PDF

Preparation of Intrinsic ZnO Films at Low Temperature Using Oxidation of ZnS Precursor and Characterizion of the Films

  • Park, Do Hyung;Cho, Yang Hwi;Shin, Dong Hyeop;Ahn, Byung Tae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15-121
    • /
    • 2013
  • ZnO film has been used for CIGS solar cells as a buffer layer as itself or by doping Mg and Sn; ZnO film also has been used as a transparent conducting layer by doping Al or B for solar cells. Since ZnO itself is a host material for many ap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film itself with various preparation conditions. We prepared ZnO films by converting ZnS precursor into ZnO film by thermal annealing. ZnO film was formed at low temperature as low as $500^{\circ}C$ by annealing a ZnS precursor layer in air. In the air anneal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decreased monotonically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the intensity of the green photoluminescence at 505 nm increased up to $750^{\circ}C$ anneal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further decreased and the intensity of green emission also increased in reducing atmospheres. The results suggest that deep-level defects originated by oxygen vacancy enhanced green emission, which reduce light transmittance and enhance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s in conduction band and holes in valence. More oxidizing environment is necessary to obtain defect-free ZnO film for higher transpa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