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 Bell-Shaped Stup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韓國) 불교사원(佛敎寺院)의 계단(戒壇)과 계단도경(戒壇圖經)의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ison Study on Kyedan of Korea Buddhist Temple and Kyedandokyung)

  • 박언곤;이재인;최효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2호
    • /
    • pp.99-118
    • /
    • 2007
  • Kyedan(戒壇) is an altar to perform a rite of Buddhist Initiation which gives Precept to a Buddhist monk. Sometimes it is called the Place of Precept and Mandala by Sanskrit. In this study, the Sutra of the Tang(唐) Dosun(道宣) regarding First Kyedan of Jetavana-anathapindasyarama(祇園精舍), which was the first temple such as, Kyedandokyung(戒壇圖經), Kiwonsadokyung(祇洹寺圖經), Sabunyul(四分律) were analyzed to find out original form and layout. Ultimately, the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patial formation-principle by comparing with Kyedan Te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Except for Kyedan in Bakryensa, the height of lower stone plate of Buddhist Bell-Shaped Stupa of Korean Kyedan is higher than three storied Kyedan that described in Kyedandokyung. Second. Buddhist Bell-Shaped Stupa above Kyedan was presumed that embodied image of Bell Pedestal and symbolism of overturned-bowl were combined together, when Kyedandokyung and Kiwonsadokyung were referred. It could be examined by the existence of stone lantern. Third. In Korea, the rite of Buddhist initiation that gives Precept in Kyedan has been considered impossible. However, when the rite was conducted, there was a possibility to establish wood stair. It is because that the Buddhist Stupa of Silleuuksa(神勒寺) and Woljeongsa(月精寺), which reflected the image of Kyedan had stone stair. Fourth, The method to build Kyedan of Dosun divided into Large Region and Small Region was applied to the method to construct Stone terrace behind Jeongmyeolbogung(寂滅寶宮) like Tongdosa(通度寺) and complete Kyedan on the stone terrace. In other words, Jeongmyeolbogung became Kyedanwon(戒壇院) and Kyedan, itself became Small Region. The area of Stone terrace became Large Region and naturally, they constituted an Institution. Fifth, Korean Kyedan which is consist of Jeongmyeonlbogung and Kyedan is a Korean original composition principles of Kyedangaram(戒壇伽藍) that can satiate all the functions of Kyedan as a religious subject and the place of the rite of Buddhist initiation, as it had complex of Outdoor Kyedan, which was suggested by the sutra of Dosun and Institution of Kyedan.

  • PDF

월정사 탑돌이의 전형과 공연문화 (Paragon of people circling the pagoda of Woljeongsa Temple and performance of its cultural inheritance)

  • 이창식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751-781
    • /
    • 2018
  • 월정사 탑돌이는 광복 이후 재현된 첫 번째 불교민속놀이로 불교문화로서의 대표성과 역사성을 지닌 주요 무형문화재이다. 월정사 탑돌이는 한국 고유의 전통성과 강원도의 정체성이 내재된 불교민속유산이라는 점에서 지정 가치가 크다. 전국 사찰에서 탑돌이가 시연되고 있지만 무형문화재 지정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월정사 탑돌이가 유일하다. 월정사 탑돌이의 문화재 내재적 가치에 주목해야 할 이유이다. 탑돌이는 부처님, 탑에 대한 예경방식의 총체적 표현물이다. 월정사 탑돌이의 원형은 추정하기 어려우나, 월정사의 역사성으로 보아 고구려 계통의 놀이와 신라 복회(福會)에 닿아 있다. 고구려벽화의 달, 오대산 화엄사상경 배경과 팔각구층탑의 본질의 측면에서 우요삼잡의 예법에 부합한다. 탑돌이 때 처음에는 범종, 고(鼓), 운판, 목어의 사법악기(四法樂器)만 쓰이다가 후에 삼현육각(三弦六角)이 합쳐지고, "보렴"과 "백팔정진가"을 부른 것을 보면 처음에는 순수한 불교의식이던 것이 차츰 민속화해서 민중 속에 전파된 것을 알 수 있다. 월정사 탑돌이의 전형은 회향의례의 환희심을 체험하는 우요삼잡의 풀이와 관련된다. 절에서 대재(大齎)가 있으면 신도들은 공양을 올린다. 이때에 염불, 범음(梵音), 범패(梵唄)가 따르며, 재가 끝나면 신도는 승려와 함께 불탑을 돌면서 부처님의 공덕을 빌고, 또 저마다의 기원을 빈다. 일신의 왕생극락은 물론 국태민안을 빌어 태평성대를 누리고자 하였다. 큰 재일수록 많은 신도들이 모이며 따라서 탑돌이도 성황을 이루었다. 법음(法音)에 맞춰 제각기 소원을 외면서 탑을 도는 모습은 엄숙하였다. 월정사 탑돌이의 변형과 융합에 대한 발상은 전형 곧 문화재 지정의 취지 유지와 정체성 차원을 살리되 전승의 공연화를 위한 계승적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탑돌이는 4월 초팔일과 중추절인 한가위 날에는 탑돌이가 있었다. 탑돌이의 공연성은 스님이 염주를 들고 탑을 돌면서 부처의 큰 뜻과 공덕을 노래하면 사찰 신도들이 그 뒤를 따라 등을 밝혀 들고 탑을 돌면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회향형(回向型) 불교민속놀이에 있다. 공연성 활성화는 신행 보유자 전승교육, 전문가 자문의 다차원 접근, 원형 재현의 담론 등을 단계적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고려시대 풍탁(風鐸)의 전개와 독창성 (The Development and Originality of Wind Chimes of the Goryeo Dynasty)

  • 이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292-307
    • /
    • 2019
  • 불교에서는 부처의 위엄, 부처의 세계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방편으로 불상과 그 주변을 아름답게 꾸몄다. 여기에 이용된 각종 불구를 장엄구라고 한다. 장엄구는 불상을 꾸미는 장신구, 광배, 보개, 번 등 다양하며, 건물 밖에 걸었던 풍탁 또한 불교 장엄구의 일종이다. 풍탁은 지금까지도 사원에서 널리 쓰이는 불교 장엄구이다. 중국에서는 낙양 영녕사 목탑, 둔황석굴 등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6세기 무렵에는 이미 풍탁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불교사원은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한 것과 동시에 지어졌으므로 사원 건물에 매다는 풍탁도 사원 조성과 그 시작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풍탁은 백제 미륵사지 <금동풍탁>이다. 우리나라 풍탁은 입면에 따라 종형과 제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옆 변의 형태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종형과 제형 풍탁은 시대가 흐르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이러한 모습이 고려시대 풍탁에 가장 잘 드러나고 있다. 고려시대 풍탁은 이전의 형식, 구조, 의장 등을 계승하면서도 기술적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자유로우면서도 과하지 않은 의장을 표현하였다. 특히 고려 소종의 입상연판문대(立狀蓮瓣文帶),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는 불문(?文), 고려 향로 속 삼환문(三環文)과 범자문(梵字文), 석조물의 창호문(窓戶文) 등 동 시기의 불교 미술품과의 교류를 짐작하게 하는 의장은 고려시대 풍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이처럼 고려 풍탁은 특정한 규격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그 역할에 충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확인된 우리나라 풍탁을 조사한 결과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이 가장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풍탁 연구는 다른 불교 장엄구에 비해 미진한 실정이기에 가장 많은 고려시대 풍탁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풍탁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풍탁의 형식을 알아보겠다. 이를 토대로 고려시대 풍탁의 시기별 전개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