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PBD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PVK:Bu-PBD:C6 단일층 녹색발광소자의 양자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roved Quantum Efficiency of the PVK:Bu-PBD:C6 Single Layer Green Light Emitting Devices)

  • 조재영;노병규;오환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22-927
    • /
    • 2001
  • Single-layer green ELs was fabricated with using molecularly-dispersed Bu-PBD into poly-N-vinylcarbazole(PVK) which has low operating voltage and high quantum efficiency. A EL cell structure of glass substrate/indium-tin-oxide/PVK:Bu-PBD:C6(∼ 100nm)/Ca(20nm)/Al(20nm) was employed with variable doping concentration. The keys to obtain high quantum efficiency was excellent film forming capability of molecularly dispersed into PVK and appropriate combination of cathode for avoiding exciplex. We obtained the turn-on voltage of 4.2V and quantum efficiency of 0.52% at 0.lmol% of C6 concentration which has been improved about a factor of 50 in comparison with the undoped cell. The PL peak wavelengths wouldn\`t be turned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6 dopant. Green EL emission peak and FWHM were 520nm and 70nm respectively. PL emission peak was obtained at 495nm.

  • PDF

DC 스퍼터링 증착에 의한 AI 전극을 갖는 전계발광소자 제작 (Fabrication of the Electroluminescence Devices with Al electrode deposited by DC sputtering)

  • 윤석범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76-382
    • /
    • 2000
  • We successfully fabricat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with Al cathodes electrode deposited by the DC magnetron sputtering. The effects of a controlled Al cathode layer of an Indium Tin Oxide (ITO)/blended single polymer layer (PVK Bu:PBD:dye)/Al light emitting diodes are described. The PVK (Poly(N-vinylcarbazole)) and Bu-PBD (2-(4-biphenyl-phenyl)-1,3,4-oxadiazole) are used hole transport polymer and electron transport molecule respectively. We found that both current injection and electroluminescence outpu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 variable DC sputtering power. The difference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fluence near the blended polymer layer/cathode interface that results from the DC power and H$\sub$2//O in a chamber. And DC sputtering deposition is an effective way to fabricate Al electrodes with pronounced orientational characteristics without damage occurring to metal-organic interface during the sputtering deposition.

  • PDF

단층 poly(N-vinylcarbazole) 유기물 전기발광 소자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rom single layer poly(N-vinylcarbazole))

  • 윤석범;오환술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5D권11호
    • /
    • pp.55-61
    • /
    • 1998
  • 정공 전달 중합체인 Poly(N-vinylcarbazole) (PVK)와 전자전달 유기물 재료인 2-(4-biphenyl)-5-(t-butyl-phenyl)-1,3,4-oxadiazole (Bu-PBD)에 발광 유기물 색소 Coumurine 6, TPB, Rhodamine B를 각각 도핑한 단층박막 유기물 전기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스핀 코팅 방법에 의한 단층 구조와 가용성 재료의 사용으로부터 소자제작이 간단하였다. 활성영역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과 알루미늄 전극 사이에 놓인 단층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자와 정공의 전하가 각 전극에서 PVK : Bu-PBD 활성층으로 주입된다. 전압을 인가한 후 발광된 빛의 색은 각각 TPB, C6, Rhodamine B의 유기물 색소에 의해 481nm, 500nm, 585nm 파장을 갖는 푸른색, 초록색 및 오렌지색을 나타내었다. PVK유기물은 다른 발광색을 갖는 유기물 색소를 분자 적으로 도핑 함으로서 주요한 중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발광색은 전체 가시광선 파장 내로 조절될 수 있다.

  • PDF

단일층 백색유기발광소자의 제작 및 특성분석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Single-Layer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 김중연;강성종;로병규;강명구;오환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2호
    • /
    • pp.11-16
    • /
    • 2002
  • 본 논문은 백색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 빛의 3원색인 적, 녹, 청색의 형광색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단일층 백색광을 얻었다. 개별적인 적색, 녹색, 청색 유기고분자 발광소자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특성을 조사한 후 최적화된 값으로 백색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PVK와 Bu-PBD를 각각 70wt%, 30wt%로 혼합한 용액에 Nile Red(0.015mol%), Coumarin6(0.04mol%), TPB(3mol%)를 각각 첨가하여 백색발광소자를 제작하였을 때 구동전압이 20V에서 휘도 785cd/$m^2$, 색좌표가 (0.32, 0.34)인 백색광을 얻었다

리빙 음이온 중합에 의한 Dipyridine 말단 관능화 폴리스티렌 및 폴리부타디엔의 합성 (Anionic Synthesis of Dipyridine Chain End-Functionalized Polystyrene and Polybutadiene)

  • 지상철;이종섭;김두환;강철한;박종혁;이범재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리빙 음이온 중합에 의해 sec-BuLi으로 개시된 polystyryllithium (PSLi)과 polybutadienyllithium (PBDLi)의 연쇄 말단에 di(2-pyridyl)ketone(DPK)을 반응시켜 dipyridine이 말단 관능화된 폴리스티렌과 폴리부타디엔을 각각 합성하였다. 분자량이 1000~2000 g/mol인 PSLi과 PBDLi을 사용하여 TMEDA 존재하에서 말단 DPK-관능화 반응 후 GPC에 의한 분자량 특성분석과 $^1H$-NMR, $^{13}C$-NMR 분석에 의한 고분자 말단 구조 분석을 통하여 말단 관능화 수율과 함께 유기리튬의 피리딘 링 친핵성 부가 반응으로 인한 커플링 현상을 확인하였다. PBDLi에 DPK를 부가하는 일반적인 말단 관능화 방법에 비하여 역으로 부가하는 방법에서 최대 9% 정도의 커플링 정도와 86% 이상의 관능화 수율을 보였다. 이 반응에서 LiCl 첨가효과는 없었으며, 반응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관능화 수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