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sugar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2초

파보일미(parboiled rice)의 이화학적 특성 1. 추청벼 파보일미의 도정 및 영양특성 (The Effect of Milling on the Nutrients of Raw and Parboiled Rices)

  • 양미옥;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57
    • /
    • 1995
  • The effect of milling on the nutrients of raw and parboiled rice grain samples was investigated. Parboiling treatments of choo chung paddy decreased head rice yields and pressure parboiling proved to be more beneficial in reducing white belly rice. Except PP sample mean length/width ratio of parboiled milled rice kernels(8% milling degree) were more larger than raw milled rice and the extent depended on severity of parboil heat treatment. Parboiling had no effect on the protein content of browm rice(0% milling degree) but increased in 4%, 8% milling degree and in PL40 sample. Parboiled rice had a lower fat and the extent depended on degree of milling. Ash content of parboiled brown rice decreasd compared to raw brown rice and generally decreased according to milling degrees were high. Nevertheless, PP, PT40 and PL40 parboiled milled rice samples(0% milling degree) contained more ash than raw milled rice. Parboiling increased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and increased according to milling degrees were high. Parboiled rice had a high reducing sugar content than raw rice except for PT sample, and more contained as higher milling degre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parboiled brown rice increased compared to raw brown rice except for PL40 sample. Parboiled rice of 4% milling degree had a lower total amino acid content and then 8% milling degree had a higher than raw rice. Ca content of parboiled rice was lower than raw rice and tended to have lower as milling degree were high. Parboiled rice of 0 and 4% milling degree had a lower Fe content degree but higher in 8% milling degree. PP and PT40 samples contained more Fe than any other parboiled rice. Parboiled milled rice contained more thiamin than raw milled rice. Rice of milling degree 6% and PL sample contained most thiamin.

  • PDF

현미의 첨가량에 따른 약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pyun by Adding Brown Rice)

  • 이승민;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54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pyun with added brown rice. The Yakpyun was prepared with polished rice, brown rice, Jujube paste, Makkolli, sugar and salt. The Yakpyun was made with various levels (0, 20, 40, 60 or 80%) of added brown rice. After making the Yakpyun, it was examined for the effect of adding brown rice on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 mechanical test, and a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contents of Yakpyun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brown ri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s the content of brown rice increased, the lightness (L) decreased and redness (a) and yellowness (b) increased. In a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brown rice content from the moment of production to 3 days of storage. When more brown rice was added, rough surfaces were found more often under SEM, and large holes were evident between granule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for Yakpyun containing 40% added brown rice.

식혜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한 발아미의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ikhe Production)

  • 김석신;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1-106
    • /
    • 1997
  • 식혜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해 현미와 벼를 $15^{\circ}C$에서 2일간 침지한 후 $15,\;20,\;25,\;30^{\circ}C$에서 최대 10일간 발아시키면서 잎눈의 성장, ${\alpha}-amylase$의 활력, 추출물의 함량, 당도 및 점도를 관찰하였다. 발아온도가 오를수록 현미와 벼의 발아속도, ${\alpha}-amylase$의 활성 증가 속도,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 증가 속도 모두 빨라졌으며, 추출물의 점도는 발아일수 경과에 따라 먼저 감소하다가 그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 현미와 벼의 ${\alpha}-amylase$의 활력은 발아 보리보다 작았으나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식혜제조시 발아 현미나 벼를 보리 엿기름 대신 사용할 가능성은 없으나 발아 현미를 백미 대신 식혜 원료로 사용할 경우 현미 자체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당화속도도 빠르고 당화 후 현미의 물성도 백미처럼 부드러울 수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 PDF

시판 현미식초의 주정첨가 유무의 발효방식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 김귀란;윤성란;이지현;여수환;김태영;정용진;윤경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93-899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정첨가 유무에 따라 발효된 시판 현미식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소비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3종)과 주정첨가 현미식초(3종)에 대하여 pH, 총 산도, 당도, 환원당, 갈색도, 탁도,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의 pH와 총 산도는 주정첨가 유무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당도,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은 주정 첨가 발효 현미식초가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갈색도, 탁도 및 색도는 주정 무첨가 발효된 현미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유기산에 대한 acetic acid의 비율(A/T)은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에서 0.94~0.96, 주정첨가 발효 현미식초에서 0.97~1.00으로 주정 첨가 발효 현미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는 93.07~509.48 ppm, 주정첨가 발효 현미식초는 25.14~264.52 ppm으로 나타났다. 현미의 생리활성물질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는 주정 무첨가 발효된 현미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미식초의 발효방식에 따라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차이가 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당종류와 최종가열온도가 다른 결착제로 제조한 찰현미 쌀엿강정의 물리화학적, 관능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Brown Waxy Rice Yetgangjeong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of Binders and End Heating Temperature)

  • 노준희;김현진;최은옥;이경애;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63-471
    • /
    • 2014
  • Yetgangjeong is a traditional Korean rice cookie which used rice syrup (Chocheong) to bind fried rice grains. Brown waxy rice and binders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and end heating temperatures were assessed to improve the textur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and to promote global consumption. Binder was made by mixing different ratios of starch syrup, rice syrup, honey, sugar, and trehalose, and the binder mixture was heated up to a temperature of $100^{\circ}C$ or $105^{\circ}C$. Specific electrical conductivity of binder containing ST (starch syrup and trehalose) showed the lowest values (9.51 and 9.77), and binders containing the rice syrup showed increased values for specific electrical conductivity. The fructose content was higher in the binder mixture containing C (starch syrup and sugar) than in the binder mixture containing ST, but it did not affect the end temperature. Viscosity of the binder was 123.90-175.20 cP and the binder showed higher viscosity at the end heating temperature (EHT) of $100^{\circ}C$ compared at EHT of $105^{\circ}C$. The fracturability of brown rice yetgangjeong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was higher at EHT of $100^{\circ}C$ than at that of $105^{\circ}C$ and it was reduced with an increase in the rice syrup content. However, the hardness of yetgangjeong was lower at $100^{\circ}C$, unlike fracturability. With respect to sensory evaluation, its moistness and stickiness decreased, but the crunchiness increased with addition of trehalose instead of sucrose. The overall eating quality score of yetgangjeong was higher at EHT of $105^{\circ}C$ than at that of $100^{\circ}C$ in every experiment and the highest score was found for SHT (starch syrup, honey and trehalose) with 20% rice syrup at EHT of $105^{\circ}C$ (20%RSHT105 (starch syrup, honey, and trehalose containing 20% rice syrup)).

홍삼 Ext 수용액의 살균과 저장 중 성분의 변화와 생성된 침전물의 이화학적 특성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Red Ginseng Extract Solu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ecipitates Formed During Pterilization and Storage)

  • 김나미;이종태;양재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54-59
    • /
    • 1996
  • Red Ginseng extracts sol'n was sterilized at 85f for 20 mins and/or stored at 4$0^{\circ}C$ for 6 months and centrifuged for 20 mins at 8,500x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upernatants and the properties of precipitates. Contents of crude saponin and ginsenoside-$Rb_1$, -$Rg_1$, -Re were partially decreased during heating and storage. Starch contents were decreased from 26.81% in red ginseng extracts to 17.50-8.81% in supernatants, whereas free sugar contents were increased from 15.50% to 20.29~21.35% by heating and storage. The contents of protein and minerals in supernatants were decreased, but acidic polysaccharides and polyphenol compounds were not changed. pH values of supernatants and precipitates were decreased. The absorbances of brown color precursor and brown pigment in precipitates, detected at 285 nm and 440 nm were remarkably increased. The Overa11 data suggest that precipitates in red ginseng extracts sol'n formed during steilization and storage are provably the brown pigments resulting from Maillard reaction of amino compounds with reducing sugar which could be released from starch and protein matrix and $Cu^+$, $Ca^{2+}$ and $Fe^{3+}$ ions are implicated with the reaction incorporated.

  • PDF

재료 배합을 달리한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 이광일;이경희;이영순;신민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98-703
    • /
    • 2002
  • 소뼈의 일부를 돼지뼈와 닭뼈로 대체하고 와인을 첨가한 것과 와인을 첨가하지 않은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pH, 효소활성, 환원당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소스의 색, 점도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4종류의 브라운소스의 pH는 5.0~5.6이었다.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돼지뼈로 대체한 소스가 5.51~5.56으로 가장 높았고 와인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의 pH가 5.0~5.0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시일 경과에 따른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alpha$-amylase의 활성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가장 높았고 그밖의 소스는 효소 환성이 유사한 정도로 낮았다. 저장 기간 중 효소 활성은 2~6일 사이에 높아졌다가 그 이후에 떨어졌다. 3. 환원당 함량은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가 35.5%로 가장 높았고 와인이 첨가되며 돼지뼈를 대체한 소스는 18.2%이었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첨가된 소스보다 환원당 함량이 낮았다. 저장 10일 후의 환원당 함량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4. 소스의 색은 와인 첨가된 것이 첨가되지 않은 것보다, 동일 조건에서 닭뼈를 대체한 것이 돼지뼈를 대체한 것보다 L, a, b값이 낮았다. 따라서,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한 소스는 L, a, b값이 가장 낮았고 색이 가장 진했다. 또한 냉장 저장한 후의 브라운소스의 색은 L, a, b값이 모두 낮아져서 색이 진해지는 변화를 보였다. 5. 브라운소스의 점도는 와인이 첨가되지 않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높고 와인이 첨가되고 닭뼈로 대체된 소스의 점도가 가장 낮았으며, 와인이 첨가되지 않은 소스는 와인이 첨가된 소스보다 점도가 높았다. 저장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모든 소스는 효소 활성이 증가하기 전인 2~6일까지 점도가 높아졌으나 그 후에는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으로 4종류의 소스 중 와인을 첨가하고 닭뼈를 대체한 소스는 $\alpha$-amylase 활성이 높아 환원당 생성이 가장 많았고 환원당에 의한 갈변반응이 잘 일어나 색이 진했으며 저장 중의 점도 변화도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GABA 함량이 높은 갈색 유색미를 이용한 차 개발 (Development of Brown Colored Rice Tea with High GABA Content)

  • 곽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01-1206
    • /
    • 2010
  • 갈색 유색미의 생산증대와 소비증진을 위한 방편으로 GABA 함량이 높은 갈색 유색미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행하였다. 이를 위해 볶음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갈색 유색미를 볶은 후 색도와 GABA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들의 분쇄물을 열수로 침출한 후 갈색도, 탁도, 환원당, 가용성 고형분, 총 polyphenol, pH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170^{\circ}C$에서 10, 20, 3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의 차의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 유색미의 L값, a값, b값의 색도는 모두 감소하였고, GABA 함량도 낮아졌다. $170^{\circ}C$에서 10분간 볶은 경우의 GABA 함량이 6.83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220^{\circ}C$에서 11분간 볶은 경우가 가장 함량이 낮았다. 갈색유색미 차의 갈색도, 탁도, 환원당, 가용성 고형분, 총 polyphenol 함량은 갈색 유색미의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H는 이와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30분간 볶아 만든 갈색 유색미 차의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다른 차보다 색, 향, 맛이 가장 강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에 GABA 함량도 높고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하는 차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GABA 함량이 높은 1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와 3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를 적절히 혼합하여 제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현미를 이용한 영지버섯쌀 생산 (A Mushroom-Rice(Ganoderma lucidum) development which uses the brown rice)

  • 정인창;곽희진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58
    • /
    • 2003
  • 현미를 이용하여 영지버섯의 균사성장에 적합한 고체배양 조건실험을 실시하였다. 냉침에 의하여 현미는 최종 수분함량이 31%로 10시간만에 hydration time에 도달하였으며, 온침의 경우 40분만에 65%의 수분함량이 되어, 균사배양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였다. 수분함량에 따른 균사성장속도 및 균사체량(glucosamine 함량) 측정에서는 수분함량이 65%일 때 균사성장속도 및 균사체량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현미에 영지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결과 현미 자체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trehalose가 검출되었으며, arabinose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일반미에 영지쌀을 첨가할 경우는 20% 첨가가 가장 기호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 PDF

Enzymatic Activity of Liquid Nuruk according to Types of Nuruk Molds and Degree of Rice-polishing

  • Cho, Jae-Chul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5-102
    • /
    • 2017
  • This study was activity of ${\alpha}-amylase$, glucoamylase of liquid Nuruk prepared using liquid Nuruk (NK) and Aspergillus kawachii (AK), Aspergillus niger (AN), Aspergillus oryzae (AO), Monascus kaoliang (MK).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zymatic activity and the total sugar content of liquid Nuruk depending on the types of Nuruk molds and the degree of rice-polishing.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depending on the types of Nuruk molds was shown to be 8.82, 8.72 units/mL in AN and AK treatments in brown rice liquid Nuruk at 24 hours after incubation, as the degree of rice-polishing increased,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When brown rice was incubated in AN, it showed 8.83 units/mL at 48 hours after incubation, which was the highest activ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p<0.05), as the degree of rice- polishing was higher,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lower. The activity of glucoamylase depending on the degree of rice-polishing showed 3,013 units/mL in AO treatment in brown rice liquid Nuruk at 24 hours after incubation, and the enzymat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As the degree of rice-polishing increased, the activity of glucoamylase decreased, so liquid brown rice Nuruk showed the highest enzymatic activity, liquid white rice Nuruk was the lowest enzymatic activity. The highest enzymatic activity appeared in liquid Nuruk with brown rice at 48 hours after incubation.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glucoamylase showed higher enzymatic productivity as the degree of rice-polishing was lower, and there was an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total sugar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