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layer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328초

정동진 의사글레이층의 입도와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nulometr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sudo-Gleized Soil in Jeongdongjin Area)

  • 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45
    • /
    • 2017
  • At the upper part of terrace deposits at Jeongdongjin area,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layers laying horizontall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existence of these structures within the deposits and sugges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formation process. However, the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article size, classification, etc.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layers is scarcely done. In this study, the physico - chemical properties of gray - white and reddish brown beds are investigated. The mean grain size of the particles was less than $4{\varphi}$ in both layers and the reddish brown layer was more coarse. The results shows that the sorting of the grayish white layer is bette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oth layers shows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iO_2$, $Al_2O_3$ and $K_2O$ of the grayish white layer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reddish brown layer. The concentration of $Fe_2O_3$ of reddish brown lyaer was 3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grayish white layer. The degree of chemical weathering (CIA) is 90 or so in both the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layers, indicating a significant level of chemical weathering. In conclusion, reddish brown layers had been formed by the processe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iron and the migration of water that induced aggregation after the formation of sediments (psudo-gleization). In this study area, a vertical layer of grayish white which cuts off horizontal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color was found. The vertical layer or wedge similar to a ice-wedge or columnar structure that in a cold environmen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shape and size. The vertical layer appears to have occurred three or more cycles. The vertical layers begin to form at a certain height within the outcrop and descend downwards, which of course is difficult to see as directing certain times.

과피층 제거에 따른 현미의 이화학특성 및 현미밥의 식감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ating Quality of Brown Rice by Pericarp Milling)

  • 김혜원;오세관;김대중;윤미라;이정희;최임수;김연규;차길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5-40
    • /
    • 2012
  • 본 연구는 현미의 새로운 가공법 개발을 위하여 현미의 과피층을 0%, 5%, 및 10%를 도정하여 이에 따른 현미의 단백질 및 총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쌀의 품질 특성 조사를 위하여 과피층 제거 정도 따른 알칼리붕괴도(ADV)를 조사하고 현미밥의 경도, 끈기, 인성 및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설갱벼를 제외하고 과피층이 감소할수록 현미의 단백질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DV는 삼광벼가 과피층 제거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과피층 제거에 의하여 호화가 용이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미밥의 기계적 식미치를 측정한 결과, 백진주벼 및 큰눈벼의 경도 및 인성은 감소하였고, 백진주벼, 큰눈벼, 설갱벼의 끈기 및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과피층 제거에 의하여 백진주벼<삼광벼<큰눈벼 순서로 부착성-경도 비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밥맛이 따라서 과피층의 부분적인 도정이 현미의 품질 및 식감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가금티푸스군의 인공감염에 대한 백색 및 갈색 산란계 계통간의 내병성 비교 (Comparison of diseases resistance between white and brown layer lines to experimental infection of Salmonella gallinarum)

  • 우용구;김봉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84-79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resistant chicken-line between Brown and White layer lines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infection. The Brown and White layer chickens allocated into different age groups were inoculated with S gallinarum (WJO-126) either orally($1{\times}10^7cfu$) or intramusculaly($5{\times}10^6cfu$) and clinical observations were made for 2 weeks. All dead birds were necropsied and culture was made to recover the inoculated organinsm from liver, spleen, brain, bone marrow and cecal contents. Serum was isolated from all live birds after 2 weeks experiment and these birds were also necropsied and cultured to reisolate S gallinarum. The brown layers showed very high mortality to S gallinarum infection regardless of their ages and routes of inoculation, while white layers did not shown any mortality by the direct effects of S gallinarum. The mortality rate of 2 week old brown layers, in particular, were 82.6% (19/23) in peroral group and 86.9% in intramuscularly inoculated group, while those of white layer groups were only 0.0% in both groups. S gallinarum could be reisolated from all dead birds, especially, from liver and spleen. This result was inferred that the organism is highly invasive on the chicken. The intramuscularly challenged birds showed more seropositive-reactors(86.9%) than orally inoculated groups(61.9%). The overall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white layers are much more resistant than brown layers against the experimental infection of S gallinarum and shown experimentally that resistance to S gallinarum is a characteristic of the White-line layers.

  • PDF

한라산 백록담 화구저의 유상구조토 (Earth Hummocks on the Crater Floor of Baegnokdam at Mt. Halla)

  • 김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46
    • /
    • 2001
  • 주빙하환경의 지표로서 유상구조토의 의의를 밝히기 위하여 백록담 화구저의 유강구조토를 대강으로 지형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려다. 유상구조토의 평면형은 타원형이 많으며. 장경 42~200cm. 높이 9~27cm의 크기로서 25$m^2$의 범리에 17개가 20~40cm의 간격으로 분포한다. 초본식물의 근계로 덮여 있는 유상구조토의 내부는 상부의 암 갈색 토층과 하부의 갈색 토층으로 구분되며, 토양단면에는 동결교란의 양상이 나타난다. 토양은 점토와 실트의 세립 질이 31.2~65.6%를 차지하는데, 특히 암갈색 토층은 동상이 발생하기 쉬운 입도조성 보인다. 또한 건조밀도는 0.761 ~1.009g/㎤, 공극비는 1.420~2.008, 함수비는 24.2~68.8%로서 하부의 갈색 토층으로 내려갈수록 토양은 치밀하 고 건조해진다. 동계에 유강구조토는 콘크리트 상태로 동결하며, 최대동결심은 구조토의 정상부조부터 45cm이다. 동 결기에 암갈색 토층의 상부에는 빙층이 출현하나 현저한 동강을 일으키는 아이스렌즈와 같은 분리빙의 발달은 미약 하다. 이 시기에 유강구조포의 함수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암갈색 토층에서는 73.7~118.0% 이른다. 유상구조토 토양의 컨스턴시는 함수비 72.8%가 액성한계에 해당하므로 해빙기에 암갈색 토층은 높은 유동성을 지니게 되며 동결고란작용을 입기 쉬워진다.

  • PDF

가금티푸스 저항성 계통 선발을 위한 산란종계의 경제능력 검정에 관한 연구 (Examination of Economic Performance of Egg Type Breeder Lines for the Selection of Fowl-Typhoid Resistant Breed)

  • 한성욱;이봉덕;전익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70-77
    • /
    • 2001
  • 가금티푸스에 저항성을 가진 합성종을 생산하기 위하여 갈색계통인 이사(ISA), 하이라인(Hyline), 로만(Lohman) 3 계통과, 백색계통인 이사(ISA) 및 로만(Lohman) 2 계통의 종계(PS)에 대한 생존율, 사료섭취량, 체중, 성성숙일령, 시산 난중, 및 난질을 조사하였다. 성계 암컷 생존율(34주~66주)은 갈색계통과 백색계통에서 각각 93.3%, 93.5%로 차이가 없었고, 수컷 생존율에도 차이가 없었다(P>0.05). 수당사료 섭취량(21~66주)은 암컷에서 갈색계통과 백색계통이 각각 113.9g과 114.3g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수컷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성계 체중은 암 수 공히 갈색 산란종계 3계통 및 백색 산란종계 2계통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갈색과 백색 산란종계의 체중을 비교해 보면, 갈색 산란종계가 암컷과 수컷 모두 백색 산란종계 에 비하여 무거웠으나, 반복간에 변이가 워낙 커서 유의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성성숙일령은 갈색계통과 백색계통이 각각 147.8일과 140.5일로 갈색계통이 7일정도 늦었다(P<0.05). 산란율은 23-66주에서 갈색과 백색계통이 각각 75.0% 및 81.4%로 백색계통이 약 6% 높았다(P<0.05). 39주령에 갈색란과 백색란의 난질 성적을 비교해보면 Haugh Unit, 난형계수, 난황색, 난중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난각두께는 갈색 산란계통의 계란이 더 두꺼웠고, 난각강도도 유의하게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란계 사료중 미역과 뱅코마이신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최도열;임진택;박인경;최준영;이혜정;이범규;이호연;박재우;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4-75
    • /
    • 2005
  • 미역사료는 산란계의 질소 균형을 뱅코마이신 사료보다 유의하게(p<0.01) 높였으나 뇨산태 질소 배설량은 두 사료사이에 유의차가 없었다. 체중당 또는 대사 체중($kg^{0.75}$)당 ME 이용성은 미역사료와 뱅코마이신 사료에서 기초사료보다 낮으나, 실험 사료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란계는 미역사료를 가장 많이 섭취(p<0.05)하였고, 산란일량은 미역사료에서 높았으며, 계란 생산성은 실험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1), 실험사료 사이에 유의차(p<0.001)가 있었다. 난각 두께는 미역사료가 기초사료보다 높았다. 하우 유니트는 미역사료에서 기초사료보다 높았고, 뱅코마이신 함유사료 급여 시 가장 낮았다. 미역 사료를 급여한 닭은, 기초사료에 비해서, 난백 CuZnSOD 활성, 적혈구의 MnSOD 활성과 혈장 과산화물 분해효소의 활성을 높였으나 혈장 과산화물 농도는 감소시켰고 PHA-P 자극에 의한 PBMC 증식도를 증가시켰다. 본 성적은 미역 2.0%사료는 산란계체내 단백질 합성 증가와 계란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며, 이것은 계란과 혈액내 항산화계 조절과 혈액내 면역 세포 활성의 조절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Morphogenesis of the Eye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 Park, In-Seok;Seol, Dong-Won;Cho, Sung-Hwoan;Song, Young-Chae;Choi, Hee-Jung;Noh, Choong-Hwan;Myoung, Jung-Goo;Kim, Jong-Ma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87-290
    • /
    • 2006
  • Eye growth and lens diameter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were positively allometric between hatching and 180 days post-hatch (d.p.h.). Eye growth in relation to head length and head height was nearly isometric. Eyes were formed completely at 14 d.p.h. At this age, the eye has a crystalline lens, an optic nerve fiber layer, a ganglion cell layer, an inner plexiform layer, an inner nuclear layer, an outer plexiform layer, an outer nuclear layer, an outer limiting membrane, and a pigment epithelium. The essential demands that must be met by the retina in this species pertain to light sensitivity and spatial resolution.

갈색 Type I 다이아몬드의 고압 열처리에 따른 표면 흑연화 생성 연구 (Surface Graphite Formation of the Brown Colored Type I Diamonds During High Pressure Annealing)

  • 송정호;송오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14-619
    • /
    • 2012
  • We investigated color and graphite layer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ype I tinted brown diamonds exposed for 5 minutes under a high-pressure high-temperature (HPHT) condition in a stable graphite regime. We executed the HPHT processes of Process I, varying the temperature from $1600^{\circ}C$ to $2300^{\circ}C$ under 5.2 GPa pressure for 5 minutes, and Process II, varying the pressure from 4.2 to 5.7 GPa at $2150^{\circ}C$ for 5 minutes. Optical microscopy and micro-Raman spectroscopy were used to check the microstructure and surface layer phase evolution. For Process I, we observed a color change to vivid yellow and greenish yellow and the growth of a graphite layer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or Process II, the graphite layer thickness increased as the pressure decreased. We also confirmed by 531 nm micro-Raman spectroscopy that all diamonds showed a $1440cm^{-1}$ characteristic peak, which remained even after HPHT annealing. The results implied that HPHT-treated colored diamonds can be distinguished from natural stones by checking for the existence of the $1440cm^{-1}$ peak with 531 nm micro-Raman spectroscopy.

Pseudolithoderma subextensum (Sphacelariales, Phaeophyceae): a new record of crustose brown alga from Korea

  • Antony Otinga Oteng'o;Tae Oh Cho;Boo Yeon Won
    • 환경생물
    • /
    • 제42권2호
    • /
    • pp.187-192
    • /
    • 2024
  • Pseudolithoderma subextensum is a crustose brown algal species in the family Lithodermataceae and order Sphacelariales. This species is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across the world including, Europe, Western Atlantic, Middle East and Asia (Hong Kong and Japan). Recent floristic surveys along the Korean coastal shores have revealed new records of encrusting brown algae. In this study, we report P. subextensum as a new record from Korea. Morpho-anatomical and molecular studies on Ralfsia-like specimens from Korea identified some of them as P. subextensum. Pseudolithoderma subextensum is characterized by dark chestnut brown crust with a hypothallial basal layer and erect perithallial filaments, tufts of hairs occasionally arising from the basal layer, several discoid shaped chloroplasts per cell, plurangia arising terminally on erect filaments and without sterile cells, and unangia arising terminally on erect filaments, elongated cylindrical and without paraphyses.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COI-5P (545bp) reveal that P. subextensum are nested within Lithodermataceae and forms the same clade with P. roscoffense. The genetic divergences for COI-5P between them is 24.5%.

휴무스분석을 이용한 함평천 유역의 홀로세 후기 충적평야의 지형발달과 기후환경변화 (Humus Analysis for the Geomorphic Development and Climatic Environment Change of Alluvial Plain in Hampyeongcheon Basin during the Late Holocene)

  • 정혜경;김정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0-328
    • /
    • 2012
  • 후기 홀로세 동안의 지형발달과 기후환경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함평천 유역의 충적평야에서 채취된 퇴적물 시료에 대한 탄소연대측정(AMS, Accelerated Mass Spectrometry), 토양유기탄소와 휴무스분석을 실시하였다. 최하부인 토탄층은 온난 습윤한 기후환경에 형성되었으며, 후빙기 중 Atlantic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황갈색 사질점토층은 자연제방성 퇴적물이며, 대체로 온난하고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형성시기는 1,879-1,532 BC 이며, 이 시기는 후빙기 중 Sub-boreal기에 해당된다. 담갈색 점토층은 자연제방에서 배후습지로 이행되는 환경에 퇴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기후 환경은 온난하고 습윤하였으며, 후빙기 중 Sub-boreal에서 Sub-Atlantic으로 이행되는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유추된다. 상부의 담황갈색 점토층과 담갈색 점토층은 배후습지의 퇴적물로 생각된다. 담황갈색 점토층이 퇴적된 환경은 냉량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시기는 후빙기 중 Sub-Atlantic에 대비될 가능성이 있다. 담갈색 점토층이 퇴적된 환경은 온난하고 건조한 기후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형성 시기는 211-427 AD이며, 이 시기는 Post Roman Warm Period에 해당되는 것으로 유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