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Water

검색결과 823건 처리시간 0.039초

발아현미 첨가에 따른 국수의 제조 특성과 GABA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 공수현;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4-280
    • /
    • 2010
  • 발아 전과 후의 현미와 미강을 첨가한 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들어진 국수의 품질 특성과 GABA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아 전후의 현미와 미강을 각각 5, 10, 15%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국수는 조리 및 제면특성(cooking loss, swelling index, water holding capacity), 조리에 따른 GABA 함량과 항산화 성분(polyphenol) 및 활성(ABTS와 DPPH의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변화를 통해 기능성 국수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발아 후 rice bran의 첨가에 따른 cooking loss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반면에 swelling index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후 현미와 미강을 첨가한 조리 전후 국수에서 발아 전 현미와 미강을 첨가한 국수보다 높은 GABA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발아에 따른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서는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아현미가 첨가된 국수는 밀가루 국수의 영양학적 가치와 항산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로써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글루탐산 용액 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감마-아미노낙산 및 일부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and Some Amino Acids by Application of a Glutamic Acid Solution for the Germination of Brown Rices)

  • 오석흥;김수화;문연정;최원규
    • KSBB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49-53
    • /
    • 2002
  • GABA가 고함유된 발아현미를 생산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현미발아시 통상적인 물발아구 외에 젖산발아구, glutamic acid발아구로 나누어 발아 이전의 현미와 GABA 및 일부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5 mM glutamic acid 용액을 발아에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GABA 함량 증진을 보여 시료 g당 및 시료 추출물 중의 단백질 mg당 증가정도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해 각각 8배와 12배로 나타났다. 또한 glutamic acid 발아구는 물발아나 젖산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켰다. 모든 발아구에서 GABA 및 alanine 함량이 증진된 것과 는 반대로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 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glutamic acid는 GABA로 aspartic acid는 alanine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glutamic acid액을 사용하면 기능성 물질인 GABA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키며, serine의 감소를 막을 수 있어 기능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토산처리에 의한 ${\gamma}$-Aminobutyric acid 고함유 우량 발아현미 생산 (Production of the Quality Germinated Brown Rices Containing High ${\gamma}$-Aminobutyric Acid by Chitosan Application)

  • 오석흥;최원규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615-620
    • /
    • 2000
  • 본 연구에서 현미의 발아에 키토산을 활용함으로써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고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인 GABA의 생성을 증진시 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0 ppm 키토산액에서 72시간 발아 는 현미파우더 그램당 1,035 nmole의 GABA를 보유하게 되어, 발아되지 않은 현미의 136 nmole, 불침종 발아 현미의 771 nmole, 100 ppm 젖산침종 발아 현미의 728 nmole GABA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었다. 발아에 의한 GABA 생성증진과 더불어 알라년의 생성증진 및 글루탐산, 아스파틱산, 세련의 함량 감소가 뚜렸하였다. 키토산처리에 의한 GABA의 생성 증진은 GABA 생성에 관여하는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의 활성증진이 기여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키토산액에서의 침종 발아는 물침종 발아나 젖산침종 발아에 비하여 곰팡의 발생빈도를 현저하게 낮추었다. 이들결과를 종합할 때 발아현미 제조시 키토산액을 사용하면 기 능성 물질인 GABA 함량이 증진되고 곰팡이등의 잡균의 오염을 줄힐 수 있어 양질의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hysicochemcal Properties of Jeungpyu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ice Cake Prepared with Brown Rice and Barley Flour

  • Hye Young L. Kim;Mie Ja Par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77-383
    • /
    • 2003
  • The functional Jeungpyuns with dietary fiber containing cereals such as brown rice and barley flour were developed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binding capacity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of 28.4% in raw rice flour, followed by brown rice flour and barley flour. The lowest reducing sugar value was seen in unpolished rice substituted Jeungpyun with value of 5.420 (P<0.05).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decreased slightly after steaming, due to the increased degree of sugar dissociation. The L value of the ligh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substituted samples (P< 0.05). The barley substituted samples were darker than that of brown rice sample groups with less green and yellow color. Microstructures of starch particles after fermentation showed completely dispersed starch particles with air bubbles and sponge-like structure in all samples after steaming. Thus, functional Jeungpyun replaced with brown rice and barley flour can be successfully formulated and has been influenced b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Effect of Cool Drinking Water on Production and Shell Quality of Laying Hens in Summer

  • 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850-854
    • /
    • 2001
  • Feed intake, egg weight, rate of lay and shell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an Australian tinted egg laying strain from 31-42 weeks of age, housed at $30^{\circ}C$ and provided drinking water at 5, 10, 17 and $30^{\circ}C$. In a second experiment a European brown egg laying strain (59-66 weeks of age) housed at $30^{\circ}C$ were provided drinking water at 5, 10, 15 and $30^{\circ}C$. Brown egg layers given cool drinking water (5, 10 and $15^{\circ}C$) consumed more (p<0.05) feed and produced significantly (p<0.05) thicker and heavier shells than hens given drinking water at ambient temperature ($30^{\circ}C$). However the tinted egg layers given chilled drinking water only consumed more (p<0.05) feed and produced thicker (p<0.05) and heavier (p<0.05) shells when consuming drinking water at $5^{\circ}C$. As the tinted egg layers acclimatised to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re was a decline in the influence of cool drinking water on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For brown egg layers, however, cool drinking water resulted in an improvement (p<0.05) in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over the entire period birds were provided cool wat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potential for using cool drinking water to improve feed intake and shell quality of hens housed under hot conditions. The combination of high ambient temperature and high drinking water temperature, a common occurrence in Australian layer sheds, should be avoided.

현미 조절에 관한 연구(II) -함수율 조질 후 8시간 숙성에 따른 정백특성- (A Study on Conditioning of the Brown Rice (II) -Milling characteristic with eight hours′ripeness after conditioning moisture content-)

  • 한충수;강태환;조성찬;고학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1호
    • /
    • pp.51-58
    • /
    • 2002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an optimum conditions for the brown rice conditioning from data of milling characteristics after conditioning of the brown rice. The range o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 was 13%, 14%, and 15%, the range of the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was 0.4% and 0.8% with respect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a ripe time after conditioning was eight hou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ellows. 1 The crack ratio after conditioning the brown rice with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as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decreased and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crack ratio of the milled rice was increased than that of the non-conditioned brown rice and decreased with the conditioned brown rice with the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of 0.4% and 0.5%. 2. The broken rice ratio after conditioning the brown rice with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non-conditioned brawn rice. The broken ratio of the conditioned brown rice with the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of 0.4% was increased around 0.2∼0.4%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brown riced and the broken ratio of the brown rice was high with increased amount of water sprayed during conditioning process. 3.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illed rice after conditioning the brown rice with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ncreased around 0.3∼0.8%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milled rice. 4.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n milling process with the conditioned brown rice by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3.4∼39.1%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brown rice.

키토산과 글루탐산의 병용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수용성 단백질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Water Soluble protein and flee Amino Acids in Brown Rice Germinated in a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 오석흥;이인태;박기범;김병주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15-519
    • /
    • 2002
  • 발아현미를 생산하기 위하여 현미를 물에 침지, 키토산을 젖산에 용해하여 침지,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 하였으며, 발아시키지 않은 현미와 아미노산 및 총 단백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키토산을 50 ppm 되게 5 mM glutamic acid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alanine, ser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의 증진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total soluble protein의 함량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하여 발아한 현미가 모두 낮았다. 특히 CG구는 물발아나 CL 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겼다. 모든 발아구에서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aspartic acid가 alan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등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하면 유용한 아미노산인 alanine, serine 및 필수아미노산인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어 영양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토산처리에 의한 ${\gamma}-Aminobutyric\;acid$ 고함유 우량 발아현미 생산

  • 오석흥;최원규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65-68
    • /
    • 2000
  • 본 연구에서 현미의 발아에 키토산을 활용함으로써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고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인 GABA의 생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0 ppm 키토산액에서 72시간 발아는 현미파우더 그램당 1,035 nmole의 GABA를 보유하게 되어, 발아되지 않은 현미의 136 nmole, 물침종 발아 현미의 771 nmole, 100 ppm 젖산침종 발아 현미의 728 nmole GABA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었다. 발아에 의한 GABA 생성증진과 더불어 알라닌의 생성증진 및 글루탐산, 아스파틱산, 세린의 함량 감소가 뚜렸하였다. 키토산처리에 의한 GABA의 생성 증진은 GABA 생성에 관여하는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의 활성증진이 기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키토산액에서의 침종 발아는 물침종 발아나 젖산침종 발아에 비하여 곰팡의 발생빈도를 현저하게 낮추었다. 이들결과를 종합할 때 발아현미 제조시 키토산액을 사용하면 기능성 물질인 GABA 함량이 증진되고 곰팡이등의 잡균의 오염을 줄일 수 있어 양질의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감마선 조사가 현미의 수화속도 및 호화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Water Uptake Rate and Gelatinization of Brown Rice)

  • 이유석;서정식;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0-904
    • /
    • 2004
  • 현미의 수화속도를 개선하여 조리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0, 1, 3, 5kGy로 감마선을 조사한 후 수분흡수속도,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현미의 수분흡수량은 수침온도 ($20-50^{\circ}C$)와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침온도 $50^{\circ}C$ 이상에서는 0 kGy와 1 kGy의 수분 흡수량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5 kGy 조사구는 수침액 중에 가용성성분의 용출로 인해 오히려 수분흡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mylograph에 의해 측정된 peak viscosity, setback, breakdown 및 consistency는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rmogravimetric analyzer에 의한 열중량분석 결과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고온 ($300^{\circ}C$ 이상)에서의 수분증발이 촉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계와 통일계 현미의 겨층구조와 수분 흡수 속도 (Bran Structure and Water Uptake Rate of Japonica and Tongil-type Brown Rices)

  • 이수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94-99
    • /
    • 1994
  • 일반계(13품종)와 통일계(12품종) 현미의 겨층구조와 수분 흡수 속도를 조사하고 각 특성들간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일반계 현미의 길이는 통일계보다 유의적으로 짧았으나, 폭과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분층과 과피의 두께는 일반계와 통일계 모두 등부가 배부보다 두꺼웠으며, 호분층 수는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많았으나 배부 또는 등부의 호분층과 과피의 두께는 일반계와 통일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0^{\circ}C$ 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는 일반계가 폭이 컸으나 통일계와 유의성은 없었으며, 겨층의 구조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