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ussonetia Kazinoki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46초

닥나무 열매(楮實子)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from the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 윤숙자;오평수;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3-806
    • /
    • 1993
  • 우리나라 전역의 산간지방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는 닥나무의 열매는 옛날 가정에서 질긴 쇠고기를 조리할 때 사용하였다고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열매를 육류조리에 이용하였을 때의 연화효과를 보고자하여 1차적으로 닥나무열매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효소를 조제하였을 때 시료추출물 100ml중의 회수된 조효소 분말량은 1.01g으로 회수율 6.2%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1.6 unit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닥나무 열매추출물의 단백질함량은 건물량으로 9.6%였다. 또한 효소의 기질에 대한 특이성은 casein 100에 egg white 50, hemoglobin 79, collagen 53, gelatin 42의 비율로 가수분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육류에 함유된 단백질인 hemoglobin과 collagen에 대한 효소의 가수분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따. 효소의 최적온도는 $60^{\circ}C$로 관찰되었으며 열에 비교적 안정하였다. 효소의 최적 pH는 70이었으며, 전반적으로 넓은 pH영역에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rotective and Inhibitory Effect of Antioxidants Found in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 Jang, Tae-Won;Choi, Ji-Soo;Kim, Hoi-Ki;Lee, Eun-Ja;Lee, Ki-Beom;Kwon, Tae-Hyung;Kim, Do-Wan;Ahn, Jeong-Jwa;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4-722
    • /
    • 2019
  • Oxidative DNA damage negatively affects humans and the research is currently ongoing to find ways to reduce oxidative stress. Oxidative stress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triggering various diseases. Thus, its alleviation is important for human health. Broussonetia kazinoki (B. kazinoki)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dermatological therapy to treat burns, pruritus, and acne. B. kazinoki is generally segregated into peeled root (PR), root bark (RB), peeled stem (PS), and stem bark (SB). To assess these components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on against DNA damage, their ethyl acetate fractions were examined by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factors involved in attenuating DNA damage, the protective effect of SB on oxidative stres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p53 and γ-H2AX. Additionally, the levels of p53 and H2AX mRNA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B component of B. kazinoki had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 compared to the other parts of the plant.

닥나무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기반 InDel 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Chloroplast Genome-based Insertion/Deletion Markers in the Genus Broussonetia)

  • 이은지;김윤아;이미선;김주혁;최용규;김정성;신창섭;이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0-2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속 식물에 대한 InDel 마커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닥나무 속 식물 22개체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닥나무 속 식물 중 6개체를 차세대염기서열 분석(NGS)을 실시하였다. NGS를 통하여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기존에 발표되었던 닥나무 엽록체 서열과 비교하여 InDel 마커 후보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마커 후보를 수집된 닥나무 속 식물에 적용하여 마커의 특성 검정을 통해 총5개의 엽록체 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InDel 마커를 22개의 유전자원에 적용한 후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커들은 닥나무 속의 육종이나 종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닥나무 목질부로 제조된 파티클보드의 원적외선, 폼알데하이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및 탈취율 (Emission Characteristics of Far-infrared Ray,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Deodorization Rate of Particleboard Prepared from Xylem Par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3-230
    • /
    • 2014
  • 본 연구는 한지 제조과정에서 특별한 용도가 없어서 버려지는 닥나무 목질부로 밀도 및 수지첨가량별로 파티클보드를 제조하고, 이를 건축마감재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탈취효과, 원적외선 방사 및 실내 공기오염물질 방사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측정 결과 보드의 밀도 및 수지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탈취율은 증가하였다. 탈취율은 80~90%, 원적외선 방사율은 0.892~0.899로 비교적 높았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수지첨가율 13%, 밀도 $0.6g/cm^3$인 보드가 $0.074mg/m^2{\cdot}h$로 가장 적게 방출되었고, 폼알데하이드는 보드 제조 조건별로 $0.004{\sim}0.006mg/m^2{\cdot}h$로 미세한 방출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보드 제조 조건을 다양하게 하여 용도에 맞는 보드제조가 가능하다면, 닥나무 목질부로 제조된 보드는 건축마감재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지함침율이 닥나무 우드세라믹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n Impregnation Ratio on the Properties of Woodceramics Made from Broussonetia Kazinoki Sieb)

  • 변희섭;김재민;황교길;박성철;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178-184
    • /
    • 2010
  • 인피섬유로 한지를 제조하고 남은 닥나무 목질부를 고부가가치화 하기 위하여 닥나무 목질부로 파티클 보드를 제조하고 페놀수지 함침율 변화에 따른 닥나무재료 우드세라믹을 제조하여 물성을 검토하였다. 밀도, 휨강도성능, Brinell 경도, 압축강도 등은 수지함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밀도와 휨강도성능, 경도, 압축강도간 및 휨탄성계수와 강도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닥나무 뿌리껍질의 항산화 성분 (Antioxidant Components from Broussonetia kazinoki)

  • 이화진;박재현;장동일;류재하
    • 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9-443
    • /
    • 1997
  • From the root bark of Broussonetia kazinoki (Moraceae) two antioxidant components were identified.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kazinol A (1) and kazinol E (2) (is oprenylated flavan and isoprenylated 1,3-diphenyl propan derivatives) by comparing NMR data with those of the reported compounds from relative plan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 and 2 were monitored by the method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ose $SC_{50}$ values were $41.4{\mu}M\;and\;33.4{\mu}M$,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also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yrosinase, which is the sole key enzyme for the melanin biosynthesis and play a role in conversion of tyrosine to dopa, and dopa to dopaquinone. The antioxidant effect and the sup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 are useful for anti-aging, increasing vitality in the incidence of major degenerative diseases, and cosmetic products in relation to hyperpig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