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od pouch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북한강 참다슬기, Semisulcospira coreana (v. Martens)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Freshwater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coreana (v. Martens) in Bukhan River)

  • 김대희;방인철;이완옥;백재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5
    • /
    • 2012
  •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참다슬기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성비, 군성숙도, 보육낭유생의 월별변화 등 번식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기초 자료를 조사하였다. 각고에 대한 각경, 전중, 육중의 상관계수 ($R^2$) 는 0.7761-0.8719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다슬기의 암컷 생식소는 청록색, 수컷 생식소는 옅은 황색을 띠고, 암컷은 유생을 기르는 보육낭 (brood pouch) 을 가지고 있었다. 암수성비는 0.17-0.58의 범위로 계절적 불균형이 심하였으며, 여름철 암컷 비율이 높고 겨울철 암컷비율이 낮았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조사 및 비만지수, 생식소지수 조사 결과 봄, 가을에 두 번의 정점을 나타낸 후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생식소 발달은 봄, 가을 연 2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암컷 보육낭속의 유생수 월별변화도 연중 두 번의 피크를 나타냈었고, 보육낭속의 유생수는 월 평균 286-975범위로, 11월에 연중 가장 적었고 3월과 9월에 각각 975개, 863개로 연중 가장 많은 유생을 보유하였다. 50%가 성숙하는 군성숙체장은 각고 13.95 mm였으며, 각고 15mm 이상은 모든 개체가 성숙하고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상대성장과 보육낭 유생단계의 월별 조성 (Relative Growth of the Melanin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and Monthly Composition of Larval Stages in its Brood Pouch)

  • 장영진;장해진;김재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1-136
    • /
    • 2001
  • 양산시 내원사 계곡에 서식하는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를 대상으로 상대성장과 보육낭내 유생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다슬기의 총 개체수는 1,200마리였으며, 각고(SH), 각경 (SD), 전중 (TW), 육중 (MW) 및 각중 (SW) (평균$\pm$표준편차)은 각각 $15.96\pm3.41\;mm$, $7.82\pm1.38mm$, $0.55\pm0.31\;g$, $0.24\pm0.15g$, $0.39\pm0.23g$이었다. 각각의 상대성장식은 SD=0.3583 SH+2.1648 $(R^2=0.8391),\;TW=0.0005SH^{2.4853}\;(R^2=0.8391)$, $MW: 0.0005SH^{2.849}\;(R^2= 0.8391)\;SW=0,0004SH^{2.3798}\;(R^2=0.7057)$였다. 다슬기는 연중 보육낭내 발생중인 유생을 갖고 있었으며, 유생수는 봄$\cdot$여름에 감소하고 가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슬기 암컷 1개체당 보육낭내의 평균 유생수는 11월에 396$\pm86$마리로 가장 많았으나, 7월에는 $91\pm86$33마리로 가장 적은 수를 나타냈다. 보육낭내 유생의 발달단계별 조성에 있어서 trochophore는 5월에 $66.7\%$, pre-veliger는 11월에 $70.7\%$, veliger는 2월에 $60.9\%$, juvenile은 1월에 $13.9\%$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출산 전 단계인 juvenile의 빈도는 $3\~5$월, $8\~11$월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조사결과에 따라, 다슬기의 출산성기는 $3\~5$월, $8\~10$월의 연 2회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실험실 사육에 의한 한국산 실고기과(Syngnathidae) 2종, 풀해마(Urocampus nanus)와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의 초기생활사 비교 (Comparative Early Life History of Two Pipefish, Urocampus nanus and Syngnathus schlegeli (Syngnathidae) in Laboratory Culture from Korea)

  • 이재환;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3-89
    • /
    • 2020
  •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larvae obtained from Urocampus nanus and Syngnathus schlegeli male brood fish over 20 days of culture in the laboratory. In both species, mating takes place when several males each spread their brood pouch like a wing to attract a female's attention. When the female begins to swim upward, the males follow her and receive her eggs in their brood pouches. Newborn larvae of U. nanus and S. schlegeli had already completed formation of dorsal and caudal fin rays, but not of pectoral fin rays. Pectoral fin rays were completely formed 15 days after release in S. schlegeli and 20 days after release in U. nanus. The ratio of caudal fin length to standard length increased until 8 days and decreased thereafter in S. schlegeli, while in U. nanus this ratio declined continuously after hatching. The larvae of the two species were very similar in external morphology, but well distinguished by the number of dorsal fin rays (15-16 in U. nanus vs. 39-43 in S. schlegeli), the presence of a membrane under the tail (absent in U. nanus vs. present in S. schlegeli), and the presence of melanophores in the dorsal fin (present in U. nanus vs. absent in S. schlegeli). Based on this study, U. nanus appears to be evolutionally more similar to pipefish than to seahorse.

한국산 실고기목 어류의 분자계통 (Molecular Phylogeny of Syngnathiformes Fishes)

  • 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sup1호
    • /
    • pp.75-75
    • /
    • 2009
  • The previous morphology-based taxonomic frameworks within the family Sygnathidae ha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male brood pouch and reproductive biology in defining the group. However, several different hypotheses had been proposed by different investigators. This study have been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19 species belonging to the order Syngnathiformes with three Gasterosteiformes species as outgroup taxa by using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and Rag2 nuclear DNA sequences.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neighbor-joining distance, maximum parsimony, minimum evolution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 strongly supported that the family Syngnathidae, the suborder Syngnathoidei and the order Syngnathiformes were all monophyletic group. Much of previous morphological analyses were supported by our molecular data, but some deep relationships were not clearly resolved with regard to members of the suborder Aulostomoidei.

의암호산(衣岩湖産) 재첩 (Corbicula fluminea)의 산란(産卵)과 발생(發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Egg Deposition of Corbicula fluminea (Palaeoheterodonta: Corbiculidae))

  • 권오길;이준상;박갑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6-29
    • /
    • 1986
  • Corbicula fluminea, one of the 2 species in the family Corbiculidae living in the Lake Uiam, was used as an experimental material and the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of glochidia of this species were investigated. This freshwater mussels was oviparous, but some ovoviviparous: incubated their youngs in the inner-demibranchs or outer-demibranchs, however, chiefly used the inner-demibranchs as brood-pouch. The average time required from a fertilized egg to two-cell stage, veliger stage, and glochidium was 76 minutes, 3 hours, and 17 hours, respectively, The mean size of glochidium was $168{\mu}m$ in shell height, $195{\mu}m$ in shell lengh, $114{\mu}m$ in hinge legth and the form of glochidium was D-type and had no hooks or hooklets for attaching to fish like Unioidae.

  • PDF

한국산 큰가시고기목, Solenostomidae과 어류 1 미기록종, Solenostomus cyanopterus (First Record of Ghost Pipefish, Solenostomus cyanopterus (Solenostomidae: Gasterosteiformes) from Korea)

  • 임후순;박정호;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0-364
    • /
    • 2007
  • 큰가시고기목, Solenostomidae (국명신칭: 유령실고기과)에 속하는 Solenostomus cyanopterus 암컷 1개체(표준체장 73.6 mm)가 경북 영덕연안의 수중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다른 실고기류와는 달리, 유령실고기류는 암컷의 배지느러미가 융합되어 변형된 육아낭을 가지고 등지느러미에 극조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본종은 주둥이의 폭이 넓고 꼬리자루가 짧고 폭이 넓으며, 피질돌기와 줄무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수중에서 관찰한 바로는, 암수 짝을 지어 머리를 아래로 하여 마치 떠다니는 해조류나 낙엽같이 느리게 유영하였다. 본종의 신한국명을 "유령실고기"라고 명명하였다.

실고기목 어류 (Syngnathiformes)의 분자계통학적 분류 (Molecular Phylogeny of Syngnathiformes Fish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Cytochrome b DNA Sequences)

  • 고범석;송춘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05-413
    • /
    • 2004
  • The previous morphology-based taxonomic frameworks within the family Syngnathidae ha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male brood pouch and reproductive biology in defining the group. However, several different hypotheses had been proposed by different investigator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19 species belonging to the order Syngnathiformes with three Gasterosteiformes species as outgroup taxa by using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DNA sequences.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neighbor-joining distance, maximum parsimony, minimum evolution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 strongly supported that the family Syngnathidae, the suborder Syngnathoidei and the order Syngnathiformes were all monophyletic group. Although much of previous morphological analyses were supported by our molecular data,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work. Such an interesting result was that the weedy seadragon (Phyllopteryx taeniolatus) strongly grouped together with the New Zealand pot-belly seahorse (Hippocampus abdominalis). Considering the markedly different brooding structure between them, this unexpected result might be explained whether by multiple independent origins of brooding structure or by hybridization between the female Hippocampus and other syngnathid species having individual membranous egg compartment. In addition, the suborder Aulostomoidei was paraphyletic group because the shrimpfish (Aeliscus strigatus), belonging to the family Centriscidae, always grouped together with the family Syngnathidae as a sister taxon.

북한강 엷은재첩, Corbicula papyracea (Heude)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Freshwater Marsh Clam, Corbicula papyracea (Heude) in Bukhan River)

  • 김대희;이완옥;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7-116
    • /
    • 2014
  •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엷은재첩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 난경의 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 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R^2$) 는 0.921-0.98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엷은재첩은 기수재첩 보다는 소형종이었으며, 동시자웅동체로서 체내에서 수정되어 아가미 보육낭에서 부화되어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월별 비만도는 0.14-0.21 범위로 동계인 12월-2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2월부터 서서히 높아지기 시작하여 5월에 0.21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5.9-38.7%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와 육중량비의 정점이 생식세포의 최성숙기와 1-2개월 차이가 있었다. 생식소의 조직상, 비만도 및 생식세포의 월별 변화를 종합하면 북한강산 엷은재첩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12-2월), 성장기(2-5월), 성숙기(6-8월), 완숙 및 발생기(8-11월), 회복기(11-12월) 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군성숙 각장은 12.6 mm 였으며, 16 mm 이상의 개체는 모두 성숙하여 아가미에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소안도에 서식하는 해마(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의 서식지 특성 및 산란생태 (Habitat Characteristics and Spawning Ecology of 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 Inhabiting the Soando (Island))

  • 조현근;안중관;김형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5-626
    • /
    • 2022
  •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도 일대에서 해마의 서식지 특성 및 산란생태를 밝히기 위해 조사하였다. 해마가 서식하는 조사지점은 주로 거머리말 개체군의 초지가 형성되었다. 거머리말 생육밀도와 생물량(Mean±SE)은 각각 춘계(5월)에 136±14.4shoots/m2, 489.8g DW/m2로 가장 높았고, 생육밀도는 추계(10월)에 93±7.0shoots/m2, 생물량은 동계(2월)에 122.3g DW/m2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기간 동안 다이빙과 족대 조사를 통해 293개체의 해마가 확인되었고 해마의 전장은 10.1~87.0mm의 범위였다. 수정란 또는 자어를 보육중인 수컷 개체는 2015년, 2016년 모두 5월부터 출현하여 10월까지 채집되었고, 미성어의 출현은 2015년에는 7월, 2016년에는 6월부터 확인되었다. 산란기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마의 산란시기는 4~10월까지로 추정되었다. 수컷의 보육낭에서 확인된 수정난수 또는 자어수는 38.3±14.8(20~76)개였고 암컷에서 확인된 포란수는 47.2±8.6(31~59)개였다. 해마의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1:1.7로서 수컷의 출현비율이 우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