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ze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25초

${\CO_2}$ 레이저에 의한 선택적 소결법 (Selective Laser Sintering by ${\CO_2}$ Laser)

  • 전병철;김재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18-25
    • /
    • 1998
  • A prototyping process based on the technique of selective ${\CO_2}$ laser sintering has been carried out using bronze powder. The integration of a ${\CO_2}$ laser and a working table to create the opto-mechanical system has been constructed for making the multi-layer sintering. Three dimensional rapid prototyping process which has used the 40W ${\CO_2}$ laser and bronze powder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optimal scanning method has been found to minimize the deflection and distortion by using the thermal strain method which the laser scans in the x and v directions repeatedly. The method of spreading powder has been improved by using the rubber knife of which the flexibility causes less wave of spreading powder.

  • PDF

고려 말 공민왕 재위기의 반야(般若) 복식 고증요소 고찰 - 불교법회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for Costume of Banya(般若) in King Gongmin's Period of Late Goryeo - Focused on the Buddhist Service Costume -)

  • 최정
    • 복식
    • /
    • 제65권6호
    • /
    • pp.112-132
    • /
    • 2015
  • Banya was a concubine slave of Shindon(辛旽) who was a powerful monk in late Goryeo Dynasty, as well as the mother of King Woo(禑王), a successor of King Gongmin(恭愍王).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ources of costume for Banya. The study focused on the features of Buddhist service costume, street wear, and daywear for common women's costume during the prime age of the Buddhist culture. The study looked into Buddhist paintings, old documents, advanced research, and relic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ly investigated Buddhist service costume for Banya: Dallyeongpo(團領袍), long Jeogori made with black Ra(羅), and Jeogori with a long scarf. Skirt, under Jeogori, under skirt, Cho, Ra(羅), Neung (綾), Dan(緞), patterned ramie(紋紵), and Tapja(塔子) were included in all Buddhist service costume. And, street wear consisted of Women's Dapho(婦人搭忽), long Jeogori, skirt, underwear and black Ra beil(蒙首). Daywear consisted of Banbi(半臂), long Jeogori, and skirt, underwear made with cheap fabric, Ju(綢), ramie, and imported cotton. Plumper hair, silver comb and Biyeo, lining of light pink-colored thin silk(小紅薄絹), bronze openworked ornament that fixed the outerwear's opening, bronze needle case, Sutra box and heated gemstone could be matched for the Buddhist service costume. Bronze and heated gemstone could be used for ornaments of street wear and daywear. The investigation of ornaments was carried on by referring to presentation of overseas collections.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the study on Goryeo costume due to the lack of research material, future studies including much more relics in oversea collections needs to be undertaken.

표면분석을 활용한 청동문화재 보존처리용 Paraloid B72의 용제별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Study of Various Solvents of Paraloid B72 for Bronze Artifacts Conservation by Surface Analysis)

  • 조현경;조남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2권
    • /
    • pp.61-76
    • /
    • 2008
  • 청동문화재 보존처리의 강화처리제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아크릴 수지인 Paraloid B72와 용제 4종(Acetone, MEK, Toluene, Xylene)을 선정하여 각 용제별 코팅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코팅 전 후의 표면을 현미경과 AFM을 통해 관찰하고 박막의 두께와 코팅 표면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에너지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Scratch Test를 통해 코팅 박막의 접착력을, 황변실험을 통해 코팅의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Xylene을 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육안으로 보았을 때 색 얼룩이 적고 적절한 소수성과 고른 표면을 가짐을 확인했다. 또한 코팅의 조건인 박막 두께가 얇으면서 접착력이 우수하며 황변에도 안정해야 한다는 점에서도 10% Paraloid B72 in xylene이 다른 용제에 비하여 우수한 코팅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araloid B72의 적정농도를 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실험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개량형 C95600 청동의 기계적 성질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퀜칭 열처리의 영향 (Effect of Quenching Heat-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Modified C95600 Bronze)

  • 이성열;문경만;오재환;신동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104
    • /
    • 2011
  • Modified C95600 bronze contains Fe component of 0.7 weight percentage besides Cu-7Al-2.5Si composition. The shape of centrifugal cast is a circular pipe with thick wall. Specimens machined from the centrifugal cast were quenched in oil after isothermal holding at a given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00{\sim}900^{\circ}C$.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morphology are depended on the quench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regardless of isothermal holding time. Tensile strength or Brinell hardness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e microstructure caused by quenching contains mixing phases of ${\alpha}+{\beta}'+FeSi+{\kappa}$ which martensite of ${\beta}'$ phase has been transformed from ${\beta}$ phase. Effect of isothermal holding temperature on mechanical properties in case of quenching heat treatment attributes to the change of volume fraction of ${\beta}'$ on the structural morphology.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pecimen, initially quenched from $850^{\circ}C$, and then tempered at $500^{\circ}C$, does not show an obvious softening indication, because disappearance of ${\beta}'$ during tempering process can be compensated by precipitation of brittle phase ${\gamma}$.

Cu-Sn 청동기의 미세조직 변화 양상이 색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nges on Color Characteristics by Micro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Cu-Sn Bronzes)

  • 이재성;박장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7-425
    • /
    • 2014
  • 구리에 다양한 비율의 주석을 혼합하여 청동합금을 제작하고 합금 비율에 따른 색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색도를 미세조직의 변화와 함께 분석한 결과, Cu-Sn 청동은 주석함량이 높아질수록 적 황색도를 나타내는 $a^*$$b^*$값은 감소하며 전체적인 백색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백색도와 밀접한 $L^*$값이 감소하는 특이한 현상을 보였다. Cu-Sn 청동의 미세조직 내에서 존재하는 ${\alpha}$상의 비율이 증가될수록 적 황색도가 높아졌고, ${\delta}$상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a^*$$b^*$값이 낮아졌다. 한편 동일한 성분 조성을 가진 Cu-22% Sn 청동을 다양한 열처리 조건으로 상변화를 일으킬 경우 주조 조직인 ${\alpha}+{\delta}$상과 담금질 조직인 ${\alpha}+{\gamma}$상, ${\alpha}+{\beta}$상에서 미세한 색도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동일한 조성의 합금도 다른 분율을 가진 미세조직을 생성시킴에 따라 색상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보여준다. Cu-Sn 청동을 담금질할 경우, 합금 내에서의 미세조직 변화에 따른 적 황색도는 ${\alpha}$상, ${\beta}$상, ${\gamma}$상, ${\delta}$상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의 변천 (The study changes of the settlement structure on Bronze Age in Yongdong area)

  • 박영구
    • 고문화
    • /
    • 69호
    • /
    • pp.5-40
    • /
    • 2007
  •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에 대한 연구는 한정된 지역과 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상태이고, 대부분의 전기취락에서는 주거지만이 조사되어 종합적인 검토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기취락은 이른 시기에는 취락의 규모가 작으며, 방내리 단계부터 구릉 내에 주거 점유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자연히 주거지 수가 증가하면서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는 양상이 보여진다. 중기취락은 현재 방동리 A 유적에서 최초로 확인되었으나, 취락구조를 검토하기에는 자료의 증가가 필요하다.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인 후기취락은 하천 주변에 위치한 구릉성 취락인 송현리 취락과 고지성 취락에 해당하는 방동리 취락에서는 주거지, 환호, 수혈유구, 소성유구, 분묘, 대형의 공공주거지 등의 대규모 원형 점토대토기 취락이 조사되어 청동기시대 후기의 문화양상과 성격 및 취락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