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iler chicks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35초

효소가수분해 도계부산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nzyme-Hydrolyzed Poultry By-Product Meal on Productivity and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Broilers)

  • 곽민근;박혜성;김봉기;박희복;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33-142
    • /
    • 2021
  • 본 연구는 단백질원으로서 가수분해 도계부산물(Enzyme-hydrolyzed poultry by-product meal)이 도계부산물(Poultry by-product meal) 및 대두박(Soybean meal)과 비교하여 육계의 생산성 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가수분해 도계부산물은 SDS-PAGE와 MALDI-TOF 분석을 통해 가수분해가 잘 이루어져 저분자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육계 300수를 이용해 1일령~35일령까지 3처리 5반복, 반복당 20수씩 배치하여 급여 실험을 한 결과, 가수분해 도계부산물(EHPBM) 처리구는 종료 시 평균체중 1,853±125.60 g으로 도계부산물(PBM) 처리구 1,723±76.81 g, 대두박(SBM) 처리구 1,545±62.31 g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전 기간 사료요구율은 가수분해 도계부산물(EHPBM) 처리구에서 1.74±0.064로 도계부산물(PBM) 처리구 1.67±0.060, 대두박(SBM) 처리구 1.65±0.053보다는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도계부산물(PBM) 및 가수분해 도계부산물(EHPBM) 처리구에서 대두박(SBM)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사료섭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각종 장기 무게에서는 대부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고, F낭 무게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났으나 차이는 크지 않아 단백질 공급원이 각 처리구의 면역력에 명확한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혈청 생화학 특성에서는 AST와 ALP가 가수분해 도계부산물(EHPBM) 처리구와 도계부산물(PBM)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들 처리구의 증가한 사료섭취량과 급격한 체중 증가가 간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결론적으로 가수분해 도계부산물은 육계의 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관행적인 단백질 원료들의 대체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사육밀도에서 대형 육계 수컷의 생산성과 도체수율 (Performance and Carcass Ratio of Large-type Female Broiler at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 나재천;황보종;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5-310
    • /
    • 2012
  • 본 시험은 세 가지 다른 사육밀도가 대형 육계 수컷의 생산성과 도체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사육밀도에 따라 T1(9.1수/$m^2$), T2(10.3수/$m^2$) 및 T3(11.5수/$m^2$)로 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Arbor Acre종 육계 수컷 408수를 선별하여 처리구당 4반복씩, 반복당 각각 30, 34 및 38수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육계초기(0~1주), 전기(1~3주) 및 후기(3~6주)로 나누어 총 6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생존율,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생산지수 및 도체수율을 조사하였다. 6주 동안의 육성률은 세 처리구 모두 8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1주령의 체중은 T2에서 가장 높았으며, T3에서 가장 낮았다(P<0.05). 0~1주령의 증체량은 T2에서 가장 높았으며, T3에서 가장 낮았다(P<0.05). 그러나 1~2주령의 증체량은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T1에서 가장 낮았다(P<0.05). 0~6주령까지의 전체 증체량은 T2처리구가 3,031 g으로 가장 높았다(P<0.05). 사료 섭취량은 3~4주령에 T1, T2 및 T3에서 각각 1,417 g, 1,265 g 및 1,355 g으로 T1에서 가장 높았다(P<0.05). 2주령부터 6주령까지의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1~2주령, 3~4주령 및 0~6주령에 T1에서 가장 높았다(P<0.05). T1, T2 및 T3의 생산지수는 각각 363.5, 388.3, 358.3으로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4주령 육계의 도체수율과 대부분의 부분육(다리, 가슴, 등, 목) 비율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날개 부위의 비율은 T1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P<0.05). 5주령 육계의 도체수율과 부분육(날개, 다리, 가슴, 등, 목) 비율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6주령 육계의 도체수율은 목 부분의 비율이 T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T1과 T3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은 대형 육계를 위한 다양한 사육밀도를 기초 자료로 제공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n evaluation of heat on protein oxidation of soy protein isolate or soy protein isolate mixed with soybean oil in vitro and its consequences on redox status of broilers at early age

  • Zhang, Xianglun;Lu, Peng;Xue, Wenyue;Wu, Dawei;Wen, Chao;Zhou, Yanm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35-1142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oybean oil inclusion on protein oxidation of soy protein isolate (SPI) and of oxidized protein on redox status of broilers at an early age. Methods: SPI mixed with soybean oil (SPIO) heated at $100^{\circ}C$ for 8 h was used to evaluate protein oxidation of SPI. A total of two hundred and sixteen 1-day-old Arbor Acres chick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6 replicates of 12 birds, receiving basal diet (CON), heat-oxidized SPI diet (HSPI) or mixture of SPI and 2% soybean oil diet (HSPIO) for 21 d, respectively. Results: Increased protein carbonyl, decreased protein sulfhydryl of SPI were observed as heating time increased in all treatments (p<0.05). Addition of 2% soybean oil increased protein carbonyl of SPI at 8 h heating (p<0.05). Dietary HSPI and HSPIO decreased the average daily gain of broilers as compared with the CON (p<0.05). Broilers fed HSPI and HSPIO exhibited decreased glutathione (GSH) in serum, catalase activity and total sulfhydryl in liver and increased malondialdehyde (MDA) and protein carbonyl in serum, advanced oxidation protein products (AOPPs) in liver and protein carbonyl in jejunal mucosa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 (p<0.05). Additionally, broilers receiving HSPIO showed decrease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GSH-Px) in serum, GS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liver, GSH-Px activity in duodenal mucosa, GSH-Px activity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jejunal mucosa and increased AOPPs in serum, MDA and protein carbonyl in liver, MDA and AOPPs in jejunal mucosa (p<0.05). Conclusion: Protein oxidation of SPI can be induced by heat and soybean oil and oxidized protein resulted in redox imbalance in broilers at an early age.

삼계용 신품종 토종닭의 육질특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eat Quality Traits of New Strains of Native Chickens for Samgyetang)

  • 이성윤;박지영;현정민;정사무엘;조철훈;남기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75-182
    • /
    • 2018
  • 기존의 삼계용 토종닭 품종과 GSP 육종을 통해 개발 중인 신품종 토종닭 후보라인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 조건에서 사육한 5주령의 한협3호(H), 백세미(W), 토종닭 후보라인 3계통(A, C, D)으로 구성된 250수를 도축하여 도체형질을 측정하고, 가슴육을 이용하여 육질성분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체중은 W가 875.10 g으로 가장 높았고, 후보라인A 가 537.54 g으로 가장 낮았다(P<0.05). W는 브로일러의 특성인 가슴살의 비율이 높고, 가슴살의 지방함량도 높았다. 후보라인 3계통은 H와W 보다 linoleic acid(C18:2)의 함량이 높았다. 특히 후보라인 중 A와 D는 토종닭에서 특징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arachidonic acid(C20:4) 함량이 C에 비해 높았다. 전반적인 지방산 조성에서 후보라인 A와 D는 대조구 H 와 유사하였으며, 후보라인 C는 W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흥미로웠다. 백세미(W)보다는 시중 토종닭(H)과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보인 후보라인 A와 D의 관능평가 점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삼계용 토종닭과 백세미를 대체하는 새로운 품질특성을 지닌 삼계용 토종닭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Effects of $1{\alpha}$-Hydroxycholecalciferol and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Tibia Parameter and Meat Quality of 1- to 21-d-old Broilers

  • Han, J.C.;Yang, X.D.;Zhang, L.M.;Li, W.L.;Zhang, T.;Zhang, Z.Y.;Yao,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6호
    • /
    • pp.857-864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1{\alpha}$-hydroxycholecalciferol ($1{\alpha}$-OH $D_3$) and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parameters of tibia and plasma, and meat quality of 1- to 21-d-old broilers. Two hundred and forty male, 1-d-old Arbor Acres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20 cages, with 12 chicks per cage. Five treatments were designed, with four cages each. A 2${\times}$2 factorial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0 and 5 ${\mu}g/kg$ of $1{\alpha}$-OH $D_3$ in combination with 0 and 500 U/kg of phytase. A basal diet was formulated to contain 2.9 g/kg of non-phytate phosphorus (NPP), and the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contain a normal level of NPP (4.5 g/kg). Results showed that $1{\alpha}$-OH $D_3$ alone increased tibia ash, contents of calcium and phosphate, breaking strength, concentrations of plasma calcium and phosphate,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breast and thigh meat, while it decreased growth of broilers. Phytase alone improved performance and tibia quality. Although growth of broil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when the diet was supplemented with $1{\alpha}$-OH $D_3$ and phytase, tibia qua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addition of $1{\alpha}$-OH $D_3$ and phytase. These data suggest that interaction between $1{\alpha}$-OH $D_3$ and phytase at 2.9 g/kg of dietary NPP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bone quality of 1- to 21-d-old broilers, while not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Effects of replacing soybean meal with perilla seed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 Oh, Han Jin;Song, Min Ho;Yun, Won;Lee, Ji Hwan;An, Ji Seon;Kim, Yong Ju;Kim, Gok Mi;Kim, Hyeun Bum;Cho, J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495-50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replacing soybean meal with perilla seed meal (PSM) on growth performance, proximate composition of meat, meat quality,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meat in broilers. A total of 60 one-day-old chicks of ROSS 308 (initial body weight of 44.8 ± 0.4 g)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 groups (15 replicate cages with 1 broilers per cage) in a period of 5 week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trol (CON) basal diet (corn-soybean meal-based diets) and test diets in which PSM was included at 0.5% (T1), 1% (T2), or 2% (T3) to gradually replace soybean meal. At the end of experiment, all broilers were slaughtered for collecting breast and thigh meat. At 5 weeks, T2 and T3 treatment groups had higher (p < 0.05) body weights than CON and T1 treatment groups. Weight gain was increased (p < 0.05) in T2 and T3 treatment groups. Feed intake was decreased (p < 0.05) in T3 treatment group. Broilers in T2 treatment group had lower (p < 0.05) feed conversion ratio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 groups. In proximate composition of breast meat, there was no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in moisture and ash. Fat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T2 and T3 treatment groups. Regarding meat quality, broilers fed T3 diet had higher (p < 0.05) water holding capacity than those fed other diets. Regarding fatty acids composition of thigh meat, broilers fed T3 diet had higher (p < 0.05) linolenic acid than those fed other diets. In conclusion, soybean meal replaced by 2% perilla seed meal in broiler diet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thigh meat in broilers. Perilla seed meal can be a lot of potential alternatives feedstuff for soybean meal in this study.

사료이용율 증가에 따른 비반추가축의 분뇨에 의한 공해발생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ing Pollutants in Non-Ruminant Manure by Increasing Feed Utilization)

  • Nahm, K.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5-257
    • /
    • 2001
  • 가축사육이 집단화되면서 가축배설물의 축적은 집중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고 또 계속적인 분뇨 분비물의 유출은 환경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공공의 걱정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가축분뇨 중에서 질소와 인이 환경공해요인이 되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가축이나 축산시설물에서 발생되는 냄새 역시 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다. 급여되는 사료의 영양소효율을 높이는 길이 환경공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가장 많은 실험은 닭과 돼지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사료첨가제의 이용, 사양방법의 수정 등으로 사료중의 영양소 이용성을 높임으로서 질소와 인의 배출감소는 물론 냄새와 분의 건물함량을 줄일 수 있었다. 1) 합성아미노산 제제를 사료 중에 첨가하고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을 때 육계의 경우 10∼27%의 질소배출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산란계의 경우 18∼35%, 돼지의 경우 62%, 돼지에서 생성되는 냄새를 9∼43%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었다. 2) 사료 중에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육계 분의 건물함량을 12∼15% 감소시킬 수 있었다. 3) phytase를 첨가할 경우 분으로 배설되는 인의 함량은 양계의 경우 25∼35%,돼지의 경우 9∼43%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4) 성장촉진제를 이용할 경우 돼지에서 질소의 배설 양을 5∼30%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냄새는 53∼55%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5) 사료배합을 요구량에 가깝게 하여 급여하였을 때 양계나 양돈의 경우 질소와 인은 각각 10∼15% 감소를 기대 할 수 있었으며 돼지의 냄새는 28∼79%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6) 기별 사양을 철저히 실시함으로서 양계와 양돈의 경우 질소는 10∼33%, 인산은 10∼13%, 그리고 성장 비육돈의 경우 49∼79% 감소를 기대 할 수 있다. 7) 닭이나 돼지의 사료를 배합시 소화율이 높은 곡류를 이용하면 질소와 인의 배설을 5%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육계 사료 내 엄나무 잎 분말 첨가 급여가 육계의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Leaf Powder on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량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도체 특성 및 혈액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였고(T3),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도체 특성 중도체중, 도체율, 간의 무게 및 비장 무게는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복강지방은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T3에서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육계의 혈액 성상 중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이러한 경향은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부터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1% 이상 급여하면(T2)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이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늘 부산물을 사료에 첨가 급여한 계육의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및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arlic by-products on Total 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0-866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마늘 부산물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TBARS, WHC, 전단력,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육색, 관능검사 및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마늘 부산물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마늘 부산물 1% 급여구는 T1, 마늘 부산물 2% 급여구는 T2 그리고 마늘 부산물 5% 급여구는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계육의 TBARS, pH는 마늘 부산물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낮아지는 결과를 보임으로 마늘 부산물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보수성은 대조구보다 T2와 T3에서 높았다(p<0.05).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마늘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 마늘 부산물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육색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CIE $a^*$값은 대조구보다 마늘 급여구에서 높았고, 마늘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 없이 마늘 부산물 1% 급여구부터 적색도를 높이는 결과이었고(p<0.05), CIE $L^*$값과 CIE $b^*$값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마늘 부산물 급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palmitic acid는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마늘 부산물의 급여는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Standardized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Commonly Used Feed Ingredients in Growing Broilers

  • Ullah, Zafar;Ahmed, Gulraiz;Nisa, Mehr un;Sarwar, Muhamma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322-1330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ndardized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SIAAD) of commonly used feed ingredients in poultry diets in Pakistan. These feed ingredients included corn, rice broken (RB), rice polishings (RP), wheat bran (WB), sunflower meal (SFM), cottonseed meal (CSM), guar meal (GM), soybean meal (SBM) from India and Argentine and fish meal (FM). The SIAAD of each ingredient was determined in triplicate using 21-days-old broilers. Day-old male broiler chicks (Hubbard${\times}$ Hubbard) were reared on corn-SBM based diet from 1 to 13 days and thereafter bird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rom day 14 to 21. Each diet was fed to 36 birds kept in six replicate cages, each cage had six birds. In cereals, the SIAAD of corn's amino acid (AA) (90.1%) was similar (p>0.05) to RB (89.0%). Isoleucine (97.8%) and lysine (96.9%) were highly digestible AA in corn and RB, respectively. Among cereal-by products, WB's SIAAD (76.9%) was same (p>0.05) as RP (71.9%). Arginine from WB (82.5%) and RP (83.2%) was highly digestible. However, threonine in WB (72.7%) and leucine in RP (69.6%) were the lowest digestible AAs. In plant protein meals, AAs from Argentine-SBM (85.1%) and Indian-SBM (83.4%) had higher (p<0.5) SIAAD than other protein meals. However, SIAAD of SFM (77.1%) and CSM (71.7%) was intermediate while GM (60.3%) exhibited the lowest (p<0.05) SIAAD among all ingredients. Arginine from GM (76.9%), CSM (85.8%), SBM-India (89.5%) and SBM-Argentine (91.5%) was highly digestible from indispensable AAs. In SFM, methionine (91.4%) SIAAD was the greatest. The average SIAAD of FM was 77.6%. Alanine from FM had the highest (84.0%) but cysteine (62.8%) had the lowest SIAAD. In conclusion, cereals i.e. corn and RB had higher (p<0.05) SIAAD of the cereals by-products. The SIAAD of RP and WB was same (p>0.05). The SBM from plant protein meals had higher (p<0.05) SIAAD than other studied feed ingredients. However, the GM had the lowest (p<0.05) SIAAD among protein me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