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Production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6초

A Case Study on the Diversity of International Co-produced Drama

  • Kim, Youn-Sung;Kim, Tae-Y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64-73
    • /
    • 2020
  •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at enables content production, diversification of overseas markets, and diversification has been highlighted as demand for content has soared due to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media outlets, while contents provision has become easier due to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such a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spread of mobile Internet. In particular, the boom in Korean dramas, called the Korean Wave in China, opened up a new market after "My Love from the Star" in 2014, and in 2016, Netflix's entry into Korea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local broadcasters and producers to seek international co-production. In addition, "Good Doctor" which was aired on American Broadcasting Co. (ABC) in 2017, has topped the same time slot for the first time in 29 years, and is set to air season 4 this fall. Accordingly, overseas broadcasters and production companies wanted to collaborate with domestic broadcasters and producers, and since 2011, they have conducted a total of 12 co-produced dramas until 2019.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international co-production dramas in the domestic industry and academia. In this paper, we present to help Korea, which used to be a powerhouse in complete export-type content, move toward becoming a powerhouse in international co-produced drama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drama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much, and the diversity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dramas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rm and structure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수입이 중국 방송 산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국 후난 방송국과 저장 방송국 제작진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Imports of Korean Entertainment Program Formats on the Chinese Broadcasting Industry: Focu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oduction Staff of HUNAN TV and ZHEJIANG TV Stations in China)

  • 고몽로;서상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7-32
    • /
    • 2020
  • 연구는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수입이 중국 방송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방송사 제작진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을 수입하면서부터 중국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과 제작방식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운영개선과 발전방안 정책연구 (A Study on Management and Promotion Policy of Broadcasting Contents Production Support)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21-30
    • /
    • 2011
  • 최근 스마트 TV 의 출현으로 인해 방송프로그램 콘텐츠 사장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방송콘텐츠 산업의 전망과 정부의 정책방향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방송콘텐츠 제작 산업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방향의 정책제안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의 활성화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송프로그램제작에 있어 1인 제작시스템 변화 (On Production System by One-Person Production System in Broadcasting Program Production)

  • 이종탁;곽훈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17-124
    • /
    • 2007
  • 1인 제작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혼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섭외, 구성, 촬영, 편집까지 1인이 담당하는 제작 시스템을 말한다. 방송프로그램 제작 현실에 있어 6mm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1인 제작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송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인(多人) 제작시스템과 1인 제작시스템의 장 단점을 파악해보고 방송계에서 프로그램 제작방식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6mm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6mm 제작 프로그램의 장점으로는 제작의 기동성과 취재원과의 밀착성, 다양한 소재의 확대, 제작비 절감 등을 꼽을 수 있으나, 프로그램의 완성도 저하 및 영상의 불안정성 등을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현재에 이르러 방송프로그램의 외주제작 비율의 확대로 인해 독립제작사의 수가 급증하였으며, 제작비 절감과 프로그램의 다양성 측면에서 1인 제작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편성이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방송시스템 트리분석을 통한 국산 방송장비 활용실태 조사와 동향 연구 (A reach of the domestic production broadcasting equipment actual condition of usage investigation and trend through the broadcasting system tree analysis)

  • 서인호;최성진;박성규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87-94
    • /
    • 2017
  • 방송 서비스 환경과 콘텐츠 제작 환경은 첨단 기술의 적용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점차 서버와 네트워크 기반의 복잡한 장비 구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방송 환경의 발전에 의해 방송장비 시장도 빠르게 팽창하고 있다. 그러나 국산 방송장비 산업은 단품 위주의 개발과 판매로 인해 수요처의 요구 충족과 시장 경쟁력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송시스템을 방송기술인, 학계, 산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방송서비스와 방송프로세스 및 제작기능별 시스템을 트리구조로 분류하고 국산장비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해 방송시스템 트리 구성에서 2개 이상의 국산장비가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가 나올 수 있는 국산 장비 연결형 융합시스템 모델을 발굴하고 국산화 추진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방송사 경영과 편성의 관계 분석 -춘천문화방송을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the Management and the Programming i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Focus on the Chuncheon MBC)

  • 이승현;이병남;한진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26-236
    • /
    • 2019
  • 본고는 춘천문화방송의 재무 및 편성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방송사 경영성과와 편성의 상관관계 및 경영상황의 변화에 따른 제작 형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방송사의 영업이익률과 자체제작비율은 정의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영상황 변화에 따른 제작 형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영여건이 악화된 시기에는 프로그램의 출연자 수가 줄고, 야외 촬영 형태가 늘었음이 확인되었다. 지역방송사들은 수익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출연자수를 줄이고, 내부 스튜디오 녹화 보다는 외부 녹화 형태를 취함으로써 인건비와 세트 제작비를 절감해온 것으로 분석된다.

TV선거개표방송의 방송그래픽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Broadcast Graphic for TV Election Returns Broadcasting)

  • 신유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0-137
    • /
    • 2009
  • TV선거개표방송은 각 방송사의 공공적 책임과 과학적 분석력, 제작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이런 이유로 각 방송사는 선거개표방송의 제작에 많은 비용과 인력, 시설 등을 사용한다. TV선거개표방송은 그 제작과 형식, 표현 등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해왔는데, 그 중에도 선거관련정보를 전달하는 방송그래픽, 인서트그래픽은 제작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방식의 표현, 시각적 효과로 인해 근래의 TV선거개표방송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V선거방송의 인서트그래픽의 영상구성요소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각 방송사는 인서트그래픽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그 시각적 이미지로, 정확하고 명료한 정보 전달을 최우선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작기술발전에 의한 다양한 영상의 제작은 물론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전달에 대한 방법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애니메이션 총량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Som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Maximum Requirements of Animation Broadcasting)

  • 고정민;김영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56-266
    • /
    • 2010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총량제 시행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방송업계종사자, 애니메이션업계 종사자, 애니메이션전공 교수, 관련 연구자, 관련 정부부처 등 관련전문가 10여명이 2009년 1월부터 3월까지 8차에 걸쳐 총량제에 대한 토론을 거치면서 문제점과 대안을 마련하는 전문가 인터뷰와 집단 회의를 통한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총량제가 도입된 지 4년이 지나면서 신규애니메이션 제작물량의 증가, 기업체수의 증가 등의 양적인 팽창을 보여 왔으나 시청률의 지속적인 하락, 시청률이 낮은 시간대로의 애니메이션 방송, 애니메이션의 질적 하향 평준화, 총량제의 지상파 한정, 최소물량 확보수단으로 변질 등의 한계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점에 대해 다음과 같은 3가지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케이블 및 위성으로의 총량제 확대, 둘째 프라임타임대 방송의 인센티브제공, 셋째 미디어 주도형 투자 지원 등이다. 특히 이 연구는 이러한 애니메이션 정책은 강제규정이 아니라 지원제도로 시행함으로써 업계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시장원리가 적용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Bit Rate and LTE for the TV DMNG Broadcasting

  • Jeong, Gyoung Yo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66-274
    • /
    • 2018
  • Securing field screens through LTE broadcasting is a very valuable technology in news production because of its locality and concurrency. TV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liver news faster than newspapers and make live coverage on the scene of events and events. To maximize this, not only middle-end broadcasters but also existing broadcasting stations are taking an active role in broadcasting using LTE. However LTE broadcasting has yet to secure any conflicting values of broadcasting stability and securing high-definition. The key to solving this difficulty is the transmission rate of Bit Rate. This paper compares the Bit Rate transmission method, which is variable and fixed, to provide more on-site screens through LTE, and presents the Bit Rate adjustment method as a method of screen stabilization through experiment. Consequently, the most stable broadcast screen can be obtained when transmitting and connecting it to broadcasting in a variable 5M method.

퍼블릭 액세스 제작에 있어 채널기반과 심의방법 (A Study on Channel Base and Review Method in the Public Access Production)

  • 최복희;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5-338
    • /
    • 2010
  • 2000년 통합방송법의 통과는 시민의 방송참여와 직접 관련이 있는 시청자 권리 보장 강화 조항과 액세스 방송도입 관련 조항이 포함되었다. 대표적 지상파 공영방송에 액세스 프로그램 시간대를 보장하였고 뉴미디어 방송이라 할 수 있는 케이블 TV와 위성 방송의 경우에는 시청자가 원할 경우 시청자 직접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퍼블릭 액세스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채널기반과 심의 방법을 통해 시청자 참여방송인 퍼블릭 액세스가 시청자를 위한 방송으로 거듭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