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band processing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2초

도깨비파 제거를 통한 광대역 탄성파 탐사 기술 (Broadband Seismic Exploration Technologies via Ghost Removal)

  • 최우창;편석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3호
    • /
    • pp.183-197
    • /
    • 2018
  • 탄성파 탐사를 이용한 지질구조 규명에 있어 정확한 속도모델 구축이나 영상화 기술 개발만큼 중요한 것이 자료의 분해능을 높이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료취득 과정에서 고주파 송신원을 사용하거나 자료처리 과정에서 곱풀기(deconvolution)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해양 탄성파 탐사에서 분해능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은 도깨비파에 의한 특정 주파수 성분의 손실이다. 따라서 도깨비파를 제거하면 주파수 손실을 방지하여 광대역 탄성파 자료를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높은 분해능의 지층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깨비파 제거는 자료처리 과정에서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탐사 장비의 발전과 탐사 설계의 혁신을 통해 효과적인 광대역 탄성파 탐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해외 탐사전문 기업들은 오버/언더 스트리머나 가변 심도 스트리머와 같이 새로운 수신기 배열을 개발하거나 이중 센서 스트리머를 이용한 도깨비파 제거 기술을 확보하여 고분해능 영상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광대역 탄성파 탐사 장비나 기술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광대역 탄성파 탐사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 기본 이론과 기술 현황을 소개하였다.

광대역 이동 채널에서 적응형 OFDM 시스템을 위한 변조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ulation Technique for Adaptive OFDM System in Broadband Mobile Channel)

  • 안종구;추형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0-106
    • /
    • 2005
  • OFDM은 심볼간 간섭에 대한 강인성으로 인하여 4세대 광대역 이동통신에 적합한 변조방식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OFDM 전송 기술은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서 각 부반송파의 변조기법을 적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이동 채널에서 OFDM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변조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목표 BER의 SNR 임계값을 이용하여 각 부반송파에 초기 비트를 할당하고, Chow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체 비트수를 목표 비트수와 같게 제어한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은 부반송파들을 블록으로 구성함으로써 부반송파의 비트할당을 위한 시그날링 오버헤드를 줄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광대역 이동채널에서 블록내의 부반송파의 수, 목표 BER, 그리고 도플러 주파수에 대한 적응형 OFDM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광대역 에너지 탐지를 위한 수신신호 강도 크기기반 가중치인가 기법 (Receiving Signal Level Measurement Based Weighting Method for Broadband Energy Detection)

  • 강태수;김영신;김용국;문상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2-54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수동 소나의 광대역 에너지 탐지를 위하여 수신신호 강도 변화에 따른 가중치를 인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광대역 에너지 탐지에 널리 사용되는 부대역 에너지 탐지 (Subband Energy Detection) 기법은 CED(Conventional Energy Detection) 기법에 비하여 다중신호 및 클러터 간섭에 강인하나, 수신신호에서 검출된 극값의 강도 변화에 따라 효율적인 가중치를 인가할 수 없어 탐지 성능을 저하 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출된 극값의 강도 변화에 따라 효율적으로 가중치를 인가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황해 실 음향 데이터를 이용한 성능 비교, 칼만 필터를 이용한 추적시험 수행을 통하여 제안 기법의 탐지성능이 기존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관찰하였다.

광대역 잡음제거를 위한 신경망 적응잡음제거기 설계 (Design of a neural network based adaptive noise canceler for broadband noise rejection)

  • 곽우혁;최한고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0-3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선형적응필터를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적응잡음제거 기 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신경망 적응필터를 이용한 비선형 적응잡음제거기를 다루고 있다. 제안된 적응잡음제거기는 광대역 시변 잡음신호를 사용하여 잡음제거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상대평가를 위해 TDL (tapped-delay -line) 선형필터의 적응잡음제거기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적응잡음 제거기의 주입력에 포함된 잡음과 기준입력 사이에 비선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신경망 적응잡음제거기는 평균자승오차값을 기준으로 선형잡음제거기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리커런트 신경망 적응필터가 순방향 신경망 필터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적응잡음제거기에서 광대역 시변잡음을 제거하는데 신경망 적응필터가 선형 적응필터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Plans and Strategies for UBcN Networks and Services

  • Lee, Eun-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3호
    • /
    • pp.323-334
    • /
    • 2010
  • The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ervices in the future will be converged and be serviced on mobile devices. However, the current ICT infrastructure does not fully meet the future demand for those converged, realistic, intelligent, and personalized services. The Korean government is going to establish a high speed next generation network called UBcN (Ultra-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y 2013.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a multi-year plan to establish an UBcN network and to discover and stimulate new converged services for an UBcN in January, 2009.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taken part in formulating development plans since the early stages of planning. In this paper, Korea's development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network and their development strategies are analyzed and discussed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expected impacts of the plan for the future ICT industry, and the implications of government-driven development plans.

잡음환경에서 구름 볼 베어링의 결함검출을 위한 ALE의 적용 (Application of ALE for detection of rolling ball bearing defects in noisy environment)

  • 김영태;최만용;김기복;박해원;박정학;김종억;류준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6-91
    • /
    • 2004
  •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the bearing defects in rotating machinery since the critical failure of bearing cause a machinery shutdow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vibration signal resulting from the initial defects of bearing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broadband noise. A signal processing technique, called the adaptive line enhancer(ALE) as one of adaptive filter, is studied in this work. This technique is to eliminate broadband noise without a prior knowledge of the noise and signal characteristics. Also we propose the optimal methods for selecting the three main ALE parameters such as correlation length, filter order and adaptation constant used in the adaptative process. Vibration signals for three abnormal bearings, including inner and outer raceways and ball defects, were acquired from Anderon(angular derivative of radius on)me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can reliably detect the bearing defective signals masked by broadband noise.

  • PDF

광대역통합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쥴링 기법 (Scheduling Algorithms for QoS Provision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장희선;조기성;신현철;이장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9-4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통합 네트워크(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스케쥴링 기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트래픽의 등급별 분류, 입력큐에서의 처리, 등급별 가중치 부여 등과 같은 주요 서비스품질 관리 기법들을 분석하고 최근 멀티미디어 인터넷 통신을 위해 우선 고려되고 있는 주요 스케쥴링 기법(Round Robin, Priority, Weighted Round Robin)들의 동작원리를 분석한다. NS-2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스케쥴링 기법들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단순히 하나의 서비스 등급에 대하여 Priority 스케쥴링 기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등급별로 적절한 가중치를 두어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 PDF

A split spectrum processing of noise-contaminated wave signals for damage identification

  • Miao, X.T.;Ye, Lin;Li, F.C.;Sun, X.W.;Peng, H.K.;Lu, Ye;Meng, Guang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0권3호
    • /
    • pp.253-269
    • /
    • 2012
  • A split spectrum processing (SSP) method is propos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time-of-flight (ToF) of damage-scattered waves by comparing the instantaneous amplitude variation degree (IAVD) of a wave signal captured from a damage case with that from the benchmark. The fundamental symmetrical ($S_0$) mode in aluminum plates without and with a notch is assesse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SP method and Hilbert transform in determining the ToF of damage-scattered $S_0$ mode is evaluated for damage identification when the wave signals are severely contaminated by noise. Broadband noise can overwhelm damage-scattered wave signals in the time domain, and the Hilbert transform is only competent for determining the ToF of damage-scattered $S_0$ mode in a noise-free condition. However, the calibrated IAVD of the captured wave signal is minimally affected by noise, and the proposed SSP method is capable of determining the ToF of damage-scattered $S_0$ mode accurately even though the captured wave signal is severely contaminated by broadband noise, leading to the successful identification of damage (within an error on the order of the damage size) using a triangulation algorithm.

천해환경에서 전구음원을 이용한 지음향인자의 역추정 (Inverse Estimation of Geoacoustic Parameters in Shallow Water Using tight Bulb Sound Source)

  • 한주영;이성욱;나정열;김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6
    • /
    • 2004
  • 천해환경에서 저주파 광대역신호와 수직선배열을 이용하여, 퇴적층의 지음향인자(층두께, 종파속도, 종파감쇠계수, 밀도)를 역추정하였다. 역산방법은 모델 기반의 역산으로 유전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일관적 광대역 정합장처리(Coherent Broadband Matched Field Processing)기법을 사용하였다. 저주파 광대역음원으로 사용된 상업용 전구의 내폭신 호는 짧은 시간동안 많은 변화를 포함하는 천이신호이기 때문에, 분석시 시간과 주파수에 따른 창함수의 조절이 요구되는데, 주기신호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퓨리에 기반의 분석방법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도파관에서 근거리 음파전달 시 계측된 시계열신호로부터 다중경로성분을 구분하고 추출하기 위하여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창함수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신호 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된 실측음장과 계산된 복제음장의 연속웨이블릿 계수를 상호상관 시킴으로써 비용함수를 정의하였다. 비용함수의 전역최고점을 찾는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각 퇴적층의 지음향인자들을 역추정하였다. 특히 역산인자의 민감도에 따른 퇴적층별, 인자별, 분리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최적화과정에서 참값으로의 수렴효율을 높였다. 역산의 결과 실험해역 퇴적물 상층부에는 두께 44.43m, 음속 1549 m/s의 모래-실트-점토질(sand-silt-clay)층이 존재하고, 그 하부에는 12.28m 음속 1993 m/s의 거친모래질(Coarse sand)층의 존재를 추정해 내었다. 또한 역산 결과를 시추자료 및 탄성파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역산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고성능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웜 확산 모델링 (Modeling the Spread of Internet Worms on High-speed Networks)

  • 신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839-846
    • /
    • 2005
  •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로 통신, 방송, 인터넷 등의 모든 서비스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되는 광대역 통합망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역기능으로 다양한 위협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 인터넷 웜과 같은 악성 코드는 국가 기간망을 뒤흔드는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고성능 네트워크 환경에서 웜 확산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쉽게 적용 가능한 확산 모델을 살펴보고, 여러 인터넷 웜을 적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동작 방식을 분석한다. 제안 모델은 웜 확산 단계와 대응 단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인터넷 웜의 확산 규모와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는 광대역 통합 네트워크와 같은 고성능 네트워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