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band Internet Acces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5초

실측을 통한 CQI와 BLER가 LTE 시스템의 전송 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measurement-based analysis of the effect of CQI and BLER on the transmission rate of a LTE system)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65-1372
    • /
    • 2014
  • 최근 LTE(Long-Term Evolution) 이동통신시스템이 보급되어 본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LTE 시스템은 3G 시스템 등 과거 이동통신시스템 대비 월등한 전송 속도를 보장함으로써 높은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도 이동단말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향후 IPTV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LTE 시스템을 통해서 제공되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 환경에서 LTE 시스템이 보여주는 전송 속도의 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QI와 BLER과 같은 무선 품질 지표가 LTE 시스템의 전송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체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실측 결과를 통해서 이를 검증한다.

High-Order Stable Notch Filter 기법을 적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ppling High-Order Stable Notch filter Scheme)

  • 김경석;남윤호;김주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C호
    • /
    • pp.28-36
    • /
    • 2011
  • 최근 인터넷이 주정보원으로 작용하고 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되는 정보화시대에 인터넷망이 닿지 않는 지역의 Last Mile Solution에 적합한 대안으로서 전력선 통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200Mbps PLC 장비가 상용화 되는 등 전력선 통신기술의 발달로 통신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나라에서는 접근만 뿐만 아니라 백본망까지 구축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전력선 통신은 전력을 전송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높은 고주파 신호를 보내게 되면 부근의 무선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High-Order Stable Notch Filter를 제안하였다. High-Order Stable Notch Filter는 기존의 필터들이 2차로 구현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4차, 6차, 8차, 10차 등 고차로 구현하였다. 또한, 제안한 High-Order Stable Notch Filter를 적용하여 Notch Filter Emulator를 구현하였다.

IPTV 환경에서 가입자의 인증 상태정보를 이용한 인증보안 모델 설계 (A Security Model Analysis Adopt to Authentication State Information in IPTV Environment)

  • 정윤수;정윤성;김용태;박길철;이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B호
    • /
    • pp.421-430
    • /
    • 2010
  • 최근 통신망이 광대역화 됨에 따라 다양한 양방향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IPTV의 셋톱박스와 스마트 카드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가 셋톱박스 내에서 대부분 전달되기 때문에 맥코맥 핵 공격을 이용하여 불법적으로 콘텐츠 내용에 접근하여 합법적인 권한을 획득하는 불법 사용자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카드로부터 셋톱박스까지 연결된 데이터 라인을 불법 사용자가 동일 기종의 다른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불법적으로 IPTV 서비스의 접근 허가를 받으려는 맥코맥 핵공격(McComac Hack Attack)을 예방하기 위한 셋톱박스 접근 보안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사전에 셋톱박스에 사용가능한 스마트 카드의 상태정보를 등록하여 불법적으로 접근허가를 승인받으려는 사용자를 인증서버에서 점검하여 점검 결과를 셋톱박스에 통보하여 불법 사용자를 사전에 예방한다. 특히, 제안 모델은 Pseudo 랜덤 함수를 통해 생성된 임의의 난수와 비밀값을 통해 이웃 링크 설립과 상호 인증 과정에 사용되는 공개키에 적용하여 셋탑박스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공간정보기반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 결합유형별 해지의 지역별 특성연구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roadband Internet Termination by Coupling Type us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Clustering)

  • 박장혁;박상언;김우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3호
    • /
    • pp.45-67
    • /
    • 2017
  • "2016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접속방법에 있어서는 컴퓨터보다 스마트폰을 통한 접속이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기기의 증가에 따라 초고속인터넷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하지만, 스마트기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가인터넷을 통한 속도 향상과 IoT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초고속인터넷 시장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의 포화로 인해 통신사업자들이 신규고객 확보를 위해 과도한 경쟁을 하고 있지만, 고객이탈의 원인을 알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을 통해 과도한 마케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사업자 A사가 보유하고 있는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3개 도시의 결합유형별 해지 데이터와, 통계청으로부터 구한 지역별 데이터를 결합하여, 지역별 해지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접지역에 따라 결합유형별 해지율의 분포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해지유형이 유사한 지역을 도출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간검색통계도구인 SatScan은 기존의 클러스터링 방법에 공간정보를 추가하여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군집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tScan을 이용해 지역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유사지역을 군집화하고, 군집별 해지율과 지역별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먼저 공간정보와 해지데이터를 결합하여 도출된 군집들의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다음으로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각 동의 초고속 인터넷 해지율과 지역별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 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의 구매 후 고객선택모형 (Post-purchase Customer Choice Model for Subscription-bas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 이동주;류호철;안재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59-179
    • /
    • 2006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IT 아웃소싱의 확대로 인터넷접속 서비스, 응용프로그램 서비스, 컨텐츠 서비스, 저장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의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시장의 성숙과 산업 간 융합에 따른 경쟁의 심화로 인하여, 이들 서비스 제공기업들에게 있어서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경쟁사 고객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고객 관리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 기업들의 효과적인 고객 관리를 위하여, 서비스 구매 후의 고객 선택(기존 서비스의 계속적 이용 또는 다른 서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영향의 주체와 영향의 성격에 따라 Holding 요인, Defect 요인, Inducement 요인, Hurdle 요인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의 구매 후 고객선택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형의 활용 방안을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고객선택모형의 활용은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다양한 대체 서비스의 출현으로 빠른 수명 주기를 보이는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 시장에서 효과적인 고객 관리를 통한 경쟁 우위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브로 망에서 IPv6 이동 단말의 교차 계층 핸드오버 기법 (A Cross-layering Handover Scheme for IPv6 Mobile Station over WiBro Networks)

  • 장희진;한연희;황승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1호
    • /
    • pp.48-61
    • /
    • 2007
  • 국내의 와이브로 기술은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의 서브넷 내부에서 이동 할 때에도 지속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차세대 인터넷 지원 기술인 IPv6 및 Mobile IPv6 (MIPv6)은 이동 단말에 주소를 할당하고, 이러한 단말들이 서로 다른 서브넷을 이동 할 때에도 기존의 인터넷 세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최신 기술이다. 하지만, VoIP (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준의 이동성을 지원하려면, 와이브로 망 및 단말에 최적화된 고속 IPv6 핸드오버 기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Pv6 단말이 와이브로 망에서 서브넷 간 이동을 시도할 때,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적화된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고속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IETF 대표 프로토콜인 Fast Mobile IPv6 (FMIPv6)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계층 와 이브로 MAC (Medium Access Control)과 3계층 FMIPv6 과의 밀접한 상호 작용 및 관련 핸드오버 절차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성능 분석을 통하여 와이브로 망에서 운영되는 FMIPv6의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다중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간섭의 영향과 비용의 효과를 고려한 셀 커버리지 확장 방법에 관한 연구 (Interference Aware Cost Effective Coverage Extension in Multihop Relay Networks)

  • 김용철;임원택;조성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2호
    • /
    • pp.1138-1147
    • /
    • 2012
  • 케이블과 DSL의 대안으로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광역 접근을 무선으로 가능하게 해주며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 기술로 알려진 WiMAX에 셀 용량의 증대와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하여 Mobile Multihop Relay 기술이 추가적으로 제안 되면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RS)를 운용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사용자 노드(SS)들에 대한 형평성을 고려한 자원할당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중홉 릴레이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주파수 재사용 기법을 적용할 때에 릴레이 노드들 간의 간섭 현상이 셀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비용 효과를 고려한 셀 커버리지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A "GAP-Model" based Framework for Online VVoIP QoE Measurement

  • Calyam, Prasad;Ekici, Eylem;Lee, Chang-Gun;Haffner, Mark;Howes, Natha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9권4호
    • /
    • pp.446-456
    • /
    • 2007
  • Increased access to broadband networks has led to a fast-growing demand for voice and video over IP(VVoIP) applications such as Internet telephony(VoIP), videoconferencing, and IP television(IPTV). For pro-active troubleshooting of VVoIP performance bottlenecks that manifest to end-users as performance impairments such as video frame freezing and voice dropouts, network operators cannot rely on actual end-users to report their subjective quality of experience(QoE). Hence, automated and objective techniques that provide real-time or online VVoIP QoE estimates are vital. Objective techniques developed to-date estimate VVoIP QoE by performing frame-to-frame peak-signal-to-noise ratio(PSNR) comparisons of the original video sequence and the reconstructed video sequence obtained from the sender-side and receiver-side, respectively. Since processing such video sequences is time consuming and computationally intensive, existing objective techniques cannot provide online VVoIP QoE.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framework that can provide online estimates of VVoIP QoE on network paths without end-user involvement and without requiring any video sequences. The framework features the "GAP-model", which is an offline model of QoE expressed as a function of measurable network factors such as bandwidth, delay, jitter, and loss. Using the GAP-model, our online framework can produce VVoIP QoE estimates in terms of "Good", "Acceptable", or "Poor"(GAP) grades of perceptual quality solely from the online measured network conditions.

이더넷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 지연 제약을 고려한 Dual-GPS 스케줄러 (Dual GPS Scheduler for Delay-Constraint Applications in E-PON)

  • 안응석;장린;윤찬현;여환근;양선희;김영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4B호
    • /
    • pp.270-281
    • /
    • 2003
  • E-PON 은 광대역 액세스 망에서 급증하는 인터넷 데이터 트래픽을 지원하고 대역폭의 동적 할당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E-PON에서 QoS를 고려한 트래픽과 최선형(Best-Effort) 트래픽의 두 가지 형식을 가진 트래픽이 유입될 때 QoS 서비스에 제약된 지연 시간과 지연 변이를 보장하고 최선형 서비스에는 대역폭을 최대학 보장해 주는 Dual-GPS 스케쥴러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Ethernet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시 새로운 슬롯할당 기법을 통하여 QoS 가 요구되는 전송 플로우에 대해 제약된 지연시간과 지연 변이를 제어하는 특성을 보인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대역할당 기법보다 지연 및 지연 변이 제어능력이 우수하다.

휴대무선인터넷 RF 하향 변환기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 Down Converter Design and Production)

  • 이창희;원영진;이종용;이상훈;이원석;나극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5권1호
    • /
    • pp.31-3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2.3GHz 주파수대역의 휴대무선인터넷 하향 주파수 변환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최소화 목적으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부가하게 되었다. 또한, 2.3GHz 대역이 75MHz로 하향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변환 효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가진 소자를 사용하였다. 휴대무선인터넷 중계기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RF 스위치가 사용되었다. 제작 사양인, 입력전압 +8V 에서 1.2A의 전류를 소비, 60dB의 이득과 2.5dB 이하의 잡음지수, 입출력 전압정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1.5이하, 혼변조 왜곡(Inter Modulation Distortion) 60dB 이상을 만족하였다. 환경 조건($-20^{\circ}C{\sim}70^{\circ}C$)에서 장시간의 신뢰성 시험을 통과하여, 제작된 휴대무선인터넷 RF 하향 변환기는 휴대무선인터넷 중계기에 적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