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ne soaking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김치용 배추 절임 염수의 재사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Brine Recycling on Salting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 신동화;홍재식;오진아;안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29
    • /
    • 2000
  • 김치 공장에서 배추 절임시 사용하는 염수의 재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지 후 배출되는 염수의 염농도를 재조정하여 6회까지 재 사용하면서 염수의 성분과 미생물 변화 및 매회 절임 배추로 담근 김치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배추 절임 후 염수의 염 농도는 1.35~2.49%감소하였고 재 사용횟수에 따라 절임 후 염수의 pH는 4회까지 유의적 변화를 보였고 절임 전 염수의 pH는 4회 까지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며 산도도 절임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수 중 미생물수는 1회 사용시 1.58$\times$10에서 4회 사용시 2.25$\times$$10^{7}$ 으로 최고에 달하여 10배정도 상승하였다. 염수 중 염을 제외한 순 가용성 고형분은 6회 사용시 0.93%로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비타민 C함량은 6회사용 후 0.55 mg%로 재사용 횟수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6회까지 염수를 재 사용하여 절임한 배추로 담근 김치의 pH와 산도, 그리고 관능적 품질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염수의 재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절임정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질감과 맛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xture and Taste of Kimchi in Various Saltings)

  • 우경자;고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41
    • /
    • 1989
  • The effects of salting degree of cabbage on the chemical, microbiological, textural changes and taste of Korean whole cabbage Kimchi fermented at $21^{\circ}C$ was studied. Low salted Kimchi (1.8% NaCl, soaking for 2 hr. in 20% brine) was showed higher total acdity than high salted Kimchi II(3.1% NaCl, Soaking For 8 hr in 20% brine) and III(2.9% NaCl, no soaking in 20% brine). The changes i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relevant to the salt content of whole cabbage Kimchi. Kimchi I was showed higher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lower death rate constant of Lactic acid bacteria than that of Kimchi II and III. In palatability test, salty taste of Kimchi II, III was more salty than that of Kimchi I ($p{\leqq}0.01$) and total evaluation of Kimchi I, II was more palatable than Kimchi III ($p{\leqq}0.05$) at 3rd's day (optimum taste). Cutting force by Rheometer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salt content of Kimchi.

  • PDF

장 담금법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of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ccording to soaking method in brine)

  • 최보영;길나영;박신영;조용식;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23-933
    • /
    • 2017
  • 염수 침지 여부를 고려한 장담금법에 따른 저염 된장의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염 농도를 달리하여 6개월 동안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 함량에서는 염수 침지한 12% 메주 된장에서 55% 수준으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된장 시료들은 대략 60% 수분 함량을 나타냈다. pH는 장 담금 초기부터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발효기간 내 8% 메주 된장의 경우 감소폭이 적었고 이는 산도 변화에서도 담금 직후부터 발효 6개월까지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환원당 함량은 1-2개월 내에 최대값을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발효기간 내 8% 메줏가루 된장이 가장 높아, 염도 및 장 담금법 간에 상관성은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는 담금 직후에는 염 농도가 낮을 수 록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메주 된장에서 메줏가루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발효초기에는 12% 메줏가루 된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메줏가루 된장이 메주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지만,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시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lpha}$-Amylase 효소 활성은 모든 시료가 발효 초기에는 0.91-0.94 Unit/g 수준이었다가 이후 일정하게 감소하여 0.01-0.06 Unit/g 값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8% 메주 된장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Protease 효소 활성은 발효 2주차에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이후 감소하여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발효초기부터 메주 된장에서 메줏가루 된장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발효 6개월째 메주 된장이 7.8-8.0 log CFU/g로 메줏가루 된장(7.2-7.5 log CFU/g)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맛 센서를 통한 맛 분석결과, 비록 12% 시판 된장에 비해 제조한 된장이 높은 짠맛과 쓴맛, 낮은 풍미를 나타내었지만, 8% 메주 된장이 시판 된장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맛 패턴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기간 동안 장가르기 여부에 따라 메줏가루 된장에서 증가폭은 컸으나 메주 된장의 함량이 높았으며, 염도 8% 된장에서 12%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염수 침지 여부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장담금 과정을 거친 저염 된장이 품질 특성뿐만 아니라 맛 분석결과에서 좋은 평가를 나타내었고, 아울러 메줏가루를 이용한 간편 저염 장류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염침지 공정이 사과의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rine Soak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Apples)

  • 강성원;허호진;양한술;;최성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47-1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조 전처리로서 염침지가 사과의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과를 2, 5% 농도의 염수에 10분간 침지한 후 $50^{\circ}C$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건조 간에 수분활성도, 수분함량, 조직감 및 색도를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염침지에 의해 증가하였고, 반대로 수분활성도는 염침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분활성도와 수분함량의 관계를 지수함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염침지에 따라 수분활성도에 해당하는 수분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아져 수분보유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조직감의 경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5%에서 가장 균일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염침지에 따라 전단력이 다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처리구의 색도는 건조 후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한 반면, 대조구는 L값이 증가하고 a값은 감소하여 상당한 수준의 갈변이 관찰되었다. 외관에서도 염침지한 시료는 갈변이 거의 나타지 않았다. 밀도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관능평가결과는 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두치이즈 액침숙성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oybean Cheese during Ripening in Ethanol-Brine Solution)

  • 김길환;이양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3-157
    • /
    • 1981
  • 생대두치이즈에 Pen. candidum과 Act. elegans을 각각 접종, 생육시킨 뒤 ethanol-brine용액(10% ethyl alcohol에 식염 5%를 용해시킨 수용액)에 액침시켜 10~13$^{\circ}C$의 저온에서 16주 동안 숙성시켰다.숙성중 화학적 변화를 보면 생대두치이즈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가수분해됨에 따라 총질소는 amino산으로 전환되어 그 양이 감소하였고 amino태질소 및 환원당은 계속 증가하다가 대두치이즈의 숙성도가 완만하여짐에 따라 그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 PDF

배추의 절임 중 Lipoxygenase의 활성변화 (Change of Lipoxygenase Activity in Chinese Cabbages Submerged in Brines)

  • 김동경;한기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76-580
    • /
    • 1997
  • 배추를 절이는 과정에서 배추 lipoxygenase의 활성변화는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용존산소 소비량의 변화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소금물에 배추를 침지한 경우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절임시간이 길어질수록 효소의 실활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의 소금물에서 5시간 절인 후 약 60%의 효소활성이 감소하였다. 한편 calcium chloride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절임시 0.7% calcium chloride를 첨가한 결과 calcium chloride를 첨가한 것이 calcium chloride를 첨가하지 않은 것 보다 효소의 실활정도가 $10{\sim}15%$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저해제로 마늘 추출물을 사용한 결과 생배추에 첨가한 경우는 약 40%, 13%의 소금물에 절인 후의 배추의 경우는 약 20%의 잔존활성을 보여 주었다.

  • PDF

양파껍질 추출물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굴비 제조의 최적 조건 확립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Condition in Preparing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y Brine Salting with Onion Peel Extract)

  • 신미진;강성국;김선재;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85-1389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제조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 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에 상처가 발생하기도 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물간법을 이용하여 식염농도별(20, 30%), 온도별(5, 25, 35$^{\circ}C$), 시간별(1, 6, 12, 24 hr) 조기 중의 수분과 염도의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물간법에 있어서 식염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조기육의 탈수량도 많으며, 염장의 온도가 높을수록 식염의 조기육으로 삼투속도는 크게 나타나서 수분함량과 염도는 반비례하였다. 물간법에 있어서 식염농도 20%에서 $25^{\circ}C$, 1시간 염장 처리하면 마른간법으로 제조되어 시판되는 굴비와 유사한 수분 및 식염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조기육에 대한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식염농도 20%에서 24시간 후 5$^{\circ}C$에서는 중량이 4% 정도 증가하고, $25^{\circ}C$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35$^{\circ}C$에서는 7%정도 감소하였다. 반면 식염농도 30% 경우 5$^{\circ}C$에서 1%정도 중량 감소가 있었고, $25^{\circ}C$와 35$^{\circ}C$에서는 각각 9%와 13%정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조기육의 미생물수는 식염농도 20%에 침지한 것이 식염농도 30%에서보다 1 log 이상 높게 나타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수은 증가하였다. 침지액속의 미생물수는 조기육보다 1 log 정도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양파껍질추출물을 이용하여 조기에 처리한 결과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명도(L값)와 황색도(b)값이 높게 나타났고, 양파껍질추출물은 조기로부터 추출한 지방에 대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여 낮은 산가를 보여주었다.

막증류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천연 제올라이트 컬럼 적용 (Scalants removal from synthetic RO brine using natural zeolite)

  • 정성필;정하윤;윤택근;이석헌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9-284
    • /
    • 2016
  • Membrane distillation (MD) is the thermally driven water separation process based on the vapor pressure difference across the membrane.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 recovery of the conventional RO process, the additional MD-PRO pocess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syntheric RO brine was used as a feed solution of the MD process. Due to the high salinity of the RO brine, the MD membrane could be fouled by the scalants. In order to mitigate the scaling on the MD membrane surface, the pre-treatment process using the column filled by natural zeolite was applied. The roughing filter was installed between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MD system in order to prevent possible particulate fouling by the debries of the natural zeolite. Moreover, in order to enhance the CEC of the natural zeolite, the NaCl soaking was conducted. The flux and electronic conductivity were monitored under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e membrane morphology and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EM-EDX.

통배추의 염절임 방법에 따른 특성변화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during Soaking in Sodium Chloride Solution)

  • 한기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07-713
    • /
    • 1996
  • 김치제조의 산업화로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배추의 절임조건의 영향을 보고자 절임수의 온도 및 절임 시간, 절임시 적재높이, 세척조건, 탈수조건 등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절임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절임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절인 배추의 소금농도가 높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적재 높이를 고려한 배추의 염도 측정에서는 하단의 염도가 상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세척과 탈수를 할수록 염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높이에 따른 배추의 미세구조 변화에서 절인 배추의 세포조직은 높이에 따라 서로 차이를 나타냈다. 염절임을 한 배추는 세척을 할수록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 and Drying Tim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during Dehydration

  • Yang, Han-Sul;Kang, Sung-Won;Joo, Seon-Tea;Choi, Sung-G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29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ine pre-soaking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drying tim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jerky including final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a_w$), shear force, microstructure,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were investigated. The sensory attributes of pork jerky were evaluated and used as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optimum drying condition. The sliced pork samples were pre-soaked at sal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 to 10% for 3 h and then dried at $70^{\circ}C$ for up to 10 h. The pre-soaked samples in the salt solution showed higher final moisture content than the control sample after drying for 10 h. The final moisture content of pork jerk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water activity with regards to the pre-soaked samples in a 10% salt solution showed the lowest value for up to 8 h drying. The shear force values of pork jerky decreased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while the TBARS values of the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s. Sensory evaluation suggested that the color, flavor, juiciness, and tenderness of the pork jerky samples were improved by pre-soaking in a 2% salt solution and the highest likeability score of pork jerky among the samples were obtained by pre-soaking in a 2% salt solution prior to dr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