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ghtness of color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28초

색상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기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Lighting System with Adjustable Brightness and Color Capability)

  • 곽성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579-5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색상과 밝기가 조절 가능한 LED 조명 기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조명 기기는 RGB와 백색 LED로 구성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된다. 4색 LED를 사용하여 자연계의 거의 모든 색상을 조명 시스템 내에서 표현하도록 하였다. 조명기구의 수명 연장을 위해 LED를 흐르는 전류는 최대값을 넘지 않도록 PWM을 이용한 전류 제어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여러 개의 색상과 밝기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조명을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구현된 조명시스템은 전자기적합성 검사 등을 통과하였으며 실제 조명기구 제품으로 사용가능하다.

색각 이상자들의 감각 유지를 위한 대비기반 색변환 방법 (A Contrast-based Color Conversion Method for the Maintenance of Sense of the People with Color Vision Deficiency)

  • 안지혜;박진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51-761
    • /
    • 2014
  • 색각 이상자들은 채도와 명도가 낮은 색채들에 대해 분별력을 갖지 못할 뿐 아니라 감성 왜곡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감성을 표출한다. 감성의 기본이 되는 감각에 대한 왜곡을 바로 잡고자 함은 색각이상자들이 디지털 문화콘텐츠에 접할 때 느끼는 부정적인 감성보다 긍정적인 감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대비는 채도와 명도간의 변환되는 방향이 다르게 하여 높이고, 이를 통해 원본 이미지가 전달하는 동적과 정적, 선명함과 칙칙함이라는 감각 왜곡을 감소시켜 색각 이상자에게 전달한다. 이를 색변환이 이뤄지는 영역에 대하여 채도와 명도를 변환하는 대비기반 색변환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이 감각 왜곡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색변환 시뮬레이션과 사용자 테스트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A Color Analysis on Working Clothing in Domestic Machine and Heavy Industry

  • Park, Hye-Won;Bae, Hyun-Sook;Park, Jin-Ah;Kim, Jie-Kwan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6호
    • /
    • pp.61-75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the enhance the color function of work clothing : to research and analyze the hue and tone of work clothing colors to be used for machinery and heavy industr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Through this research, the color using problems which related with safety workers will be revealed. For this project, total 42 sets of work suits were sampled from 12 different companies in the machinery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of Gyeongsang Namdo Province and 16 sets of work suits currently being sold in the market. The collected work suits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tem types and design. Color measurements were taken thus: After calibration according to ASTM D1729 specifications of standardized configuration settings to match standardized luminous source D65(Daylight 6500K) in color cabinet BOTECK SuperLight-VI, the RGB values of the work suits were calculated using PANTONE Color Cue TX. The RGB values of the colors thus derived were converted into V/C values using the Munsell Conversion 9.0.6 and analyzed with Munsell's 10-color system and PCCS. The result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Munsell's color wheel and color and brightness distributions were expressed in table form, as well as presented as a tone map. Following analysis, color hue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concentrated around PB, and brightness distribution toward the low end and mid range of the scale. Saturation values were distributed mostly around the low end of the scale. Following color tone analysis according to PCCS, it became apparent that colors were mainly distributed around dkg, ltg, and g, at low- and mid-brightness and low-saturation.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colors used in work suits in the machinery and heavy industries are mainly cool colors, at low- and mid-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It is conjectured that such colors were applied uniformly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serve certain functions, such as concealment of stains and contamination. Therefore, it follows that the utilization of colors, among other functions served by working clothing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enhance safety and efficiency.

상업공간에서의 사용자 선호 LED 조명 연색지수와 상관색온도, 조도의 분석 (Analysis of User Preference about the Color Rendering Index,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of LED Lighting in Merchandising Spaces)

  • 이수정;윤혜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99-10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the proper Color rendering index (CRI),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and illuminance levels of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riteria of the current CRI, the CCT, and illuminance levels in merchandising spaces with LED lighting conditions. It would be a basic material to apply in line with user preference for LED merchandising lighting. To this end, it examines relevant literature review on the experiments designed to test whether lighting characteristics affect brightness perception, color appearance, and pleasantness. Highly saturated colors appear brighter than low saturated colors. Two lighting applications - grocery and clothing shop - were created in elaborating the effect of LED lighting characteristics of CRI on color appearance and the CCT and illuminance on pleasantnes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riteria of CIE Ra<80 are appropriate to provide better color appearance of illuminated products in terms of LED lighting that can enhance color saturation, particularly for the red color. Furthermore, 2700 K and less than 500 lux for grocery, 4000 K and more than 500 lux for clothing shop are found to be the proper the CCT and illuminance levels respectively to bring better preference under LED lighting.

Hardware Digital Color Enhancement for Color Vision Deficiencies

  • Chen, Yu-Chieh;Liao, Tai-Shan
    • ETRI Journal
    • /
    • 제33권1호
    • /
    • pp.71-77
    • /
    • 2011
  • Up to 10% of the global population suffers from color vision deficiency (CVD) [1], especially deuteranomaly and protanomaly, the condi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red and green hues. For those who suffer from CVD, their career fields are restricted, and their childhood education is frustrating. There are many optical eye glasses on the market to compensate for this disability. However, although they are attractive due to their light weight, wearing these glasses will decrease visual brightness and cause problems at night.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supplementary device that comprises a head-mounted display and an image sensor. With the aid of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of digital color space adjustment implemented in a high-speed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device, the users can enjoy enhanced vision through the display without any decrease in brightness.

MOW의 산소-알칼리 첨가 과산화수소 표백 (EoP Bleaching of Mixed Office Wastepaper)

  • 김승호;이형;백기현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3호
    • /
    • pp.46-52
    • /
    • 2002
  • To produce the raw material used for printing and writing paper or high quality tissue, MOWs that were consisted of white ledger, colored ledger and old newspaper were bleached with EoP and EoPY(FAS) method, the EoP bleaching process gave the improvement in brightness and a high color removal efficiency. Especially, MOW B(initial brightness: 59.1% ISO) that contained much old newspaper showed the higher bleaching efficiency than those of MOW A(initial brightness: 68.3%). After EoPY(FAS) bleaching, MOW's brightness was increased from 68.3% ISO to 84.3∼84.0% ISO, and from 59.1% ISO to 78.7∼79.2% ISO, respectively. Also the tensile and burst index of bleached pulps decreased by 10∼30%. The tear index slightly decreased or halted at the same range as unbleached pulps.

기계산업 작업자의 안전성 구축을 위한 작업복 기능배색 연구 1: 상하의 명도 배색을 중심으로 (The Functional Color Arrangements for Industrial Safety in Machinery Work Site 1: Focusing on Lightness Value from Top and Bottom)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5호
    • /
    • pp.45-56
    • /
    • 2013
  • This study researches functional arrangements for colors of work clothes - concentrating on the arrangements of lightness - for safety protection of workers at the job sites in the mechanical industry. To conduct such study, blue color (5PB) is selected for the CAD simulations on six arrangements of brightness based on two colors. The brightness ranges are of 5PB color (between 3~7.5) which are measurable by Munsell Conversion, and arrangements on lightness consisting of one arrangement of high lightness-gap, two of medium lightness-gap, and three of low lightness-gap. To analyze the data of color values after applying arrangements of lightness and to evaluate the levels of awareness regarding arrangements, the NCS colorimetric is being applied. Color palettes are based on the NCS notations, and then marked with color triangles. After evaluation, the visibility proves to be high when the arrangements contain high lightness at the top and bottom, and the arrangements with higher lightness-gap show higher effects in safety. Since this study tends to check factors of lightness, the other color factors were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se results at the job sites, integrated applications of such results will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safe working clothes in the future.

지역의 경관을 고려한 도막방수재의 색채별 사계절 차열 및 축열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r-Season Cooling Performance by Color of Water Proofing Membrane Materials Considering the View of Area)

  • 고진수;김병윤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9-16
    • /
    • 2015
  •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color, which is currently used the most, and other various colors of a rooftop urethane water proofing sheet.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ooling performance by color of the water proofing sheet that fused cooling paints, and presented the effective water proofing sheet color for building energy saving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alue of L (brightness) diminished, and brilliance also became lower from the white color to the black color,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relatively more heat was absorbed. In a and b chromaticity, which is the color attribute that ignores brightness, no special relationship was identified. (2) Considering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effect is bigger in summer than winter, due to heat reflection, the white water proofing sheet is more effective in building energy savings than the green water proofing sheet that is currently used the most. (3) The water proofing sheet's color has an impact more on cooling performance than the color of the background side of a structure on which water proofing sheet is installed. The experiment object of gray, of which background side is similar to cement mortar, was lower by $5.7^{\circ}C$ than the white background side.

머신러닝과 KSCA를 활용한 디지털 사진의 색 분석 -한국 자연 풍경 낮과 밤 사진을 중심으로- (Color Analyses on Digital Photos Using Machine Learning and KSCA - Focusing on Korean Natural Daytime/nighttime Scenery -)

  • 권희은;구자준
    • 트랜스-
    • /
    • 제12권
    • /
    • pp.5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색채 계획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할 때 참고할 만한 색을 도출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대상이 된 이미지는 한국 내의 자연풍광을 다룬 사진들로 머신러닝을 활용해 낮과 밤이 어떤 색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고, KSCA를 통해 색 빈도를 도출하여 두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낮과 밤 사진의 색을 머신러닝으로 구분한 결과, 51~100%로 구분했을 때, 낮의 색의 영역이 밤의 색보다 2.45배가량 더 많았다. 낮 class의 색은 white를 중심으로, 밤 class의 색은 black을 중심으로 명도에 따라 분포하였다. 낮 class 70%이상의 색이 647, 밤 class 70% 이상의 색이 252, 나머지(31-69%)가 101개로서 중간 영역의 색의 수는 적고 낮과 밤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낮과 밤 class의 색 분포 결과를 통해 명도로 구분되는 두 class의 경계 색채값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KSCA를 활용해 디지털 사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밝은 낮 사진에서는 황색, 어두운 밤 사진에서는 청색 위주의 색이 표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낮 사진 빈도에서는 상위 40%에 해당하는 색이 거의 무채색에 가까울 정도로 채도가 낮았다. 또 white & black에 가까운 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명도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밤 사진의 빈도를 보면 상위 50% 가량 되는 색이 명도 2(먼셀 기호)에 해당하는 어두운 색이다. 그에 비해 빈도 중위권(50~80%)의 명도는 상대적으로 조금 높고(명도 3-4), 하위 20%에서는 여러 색들의 명도차가 크다. 난색들은 빈도 하위 8% 이내에서 간헐적으로 볼 수 있었다. 배색띠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남색을 위주로 조화로운 배색을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의 색의 분포와 빈도의 결과값은 한국 내의 자연 풍경에 관한 디지털 디자인의 색채 계획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색 분포를 나눈 결과는 해당색이 특정 디자인의 주조색이나 배경색으로 사용될 경우에 두 class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 색인지에 대해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분석 이미지들을 몇 가지 class로 나눈다면, 각 class의 색 분포의 특성에 따라 분석 이미지에 사용되지 않은 색도 어느 class에 얼마큼 더 가까운 이미지인지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소공원의 사회체육시설 환경색채 연구 - 서울과 동경을 중심으로 - (Environment Color of Public Sports Equipment Surroundings in Small Urban Parks - Focused on Seoul and Tokyo -)

  • 박혜경;오지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6권
    • /
    • pp.179-187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소공원 색채환경에 관한 연구로서 사회체육시설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과 동경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색채환경 차이를 이해하고 시민건강증진을 위한 도시소공원 사회체육시설 색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서울과 동경에 위치한 순환선인 2호선과 야마노테선을 중심으로 인근 지하철역에 위치한 도시소공원을 선정, 분광측색기로 환경색채를 측정하였다. 서울 도시소공원 4곳, 동경의 도시소공원 4곳 총 8곳을 직접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시소공원의 사회체육시설물, 공원시설물, 바닥 포장면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울과 동경의 도시소공원의 사회체육시설 영역의 환경색채는 전반적으로 Y계열(Y, YR, GY)의 색채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Y계열 다음으로 서울의 경우 B계열(B, BG, PB), 동경은 R, P계열로 나타나 색상분포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사회체육시설물의 경우, 서울보다 동경이 다양한 색상분포를 보였고, 서울이 명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 밝은 색채가 시설물에 적용되었고 동경의 경우 원색에 가까운 고채도의 색채가 적용되고 있었다. 세 번째, 공원시설물 색채는 서울과 동경이 비슷한 명도, 채도값을 나타냈고, 색상분포에서 서울은 Y계열-B계열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동경은 Y계열-R계열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바닥포장면의 명도와 채도도 서울과 동경이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색상분포에서 차이를 보였다. 향후, 색채의 생리적, 심리적 반응에 대한 연구결과를 사회체육시설 색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