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wery Wast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산업폐기물의 잔디용 유기질 비료화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 to Organic Fertilizer for Lawn)

  • 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6
    • /
    • 1991
  • The sludge, a waste of brewery industries, was examined for potentials as a natural organic fertilizer (or soil conditioner) for lawn. Trial products were measured for changes of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in laboratory an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green house were also teste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1The sludge from distilled liquor brewery contained high quantity of organic matter which had prope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lawn fertilizer (natural organic fertilizer, soil conditioner, top-dressing mix) . It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handling and capabilities to be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for golf courses. 2.Sludge from beer company needs proper 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for futher degradiation. It is because aggregation of the sludge particles prevented microbial activities and changing to soluble form. 3.Green carbon can be used as carbon source for organic fertilizer production using brewery sludge, but it should not contain wood extract which inhibit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 PDF

Effect of Brewery Waste Replacement of Concentrate on the Performance of Local and Crossbred Growing Muscovy Ducks

  • Dong, Nguyen Thi Kim;Ogle, R.Br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510-1517
    • /
    • 2003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ewery waste (BW) replacement of concentrate (C) in growing duck diets. In Exp. 1, which was carried out on-station, 300 ducklings were allocated in a $2{\times}5$ factorial experiment: Two breeds (local Muscovy and crosses of French and local Muscovy)${\times}5$ levels of C and with BW offered ad libitum. Concentrate only ad libitum as the control diet (C100), and levels of 75% (C75), 50% (C50), 25% (C25) and 0% (C0) of the amount of the control diet consumed, and with BW ad libitum. In Exp. 2, 200 ducklings were allocated in a $2{\times}2$ factorial experiment on five smallholdings: two breeds (local and crossbred Muscovy ducks)${\times}2$ diets (the C100 and C50 diets from Exp.1). In Exp.1 total dry matter (DM), BW, crude fiber (CF) and crude protein (CP) intakes were highest on the C0 diet and ME and lysine intakes lowest (p<0.001). Daily live weight gains were higher for the crossbred ducks than for the local Muscovies (p<0.05) and were highest for treatments C100 and C50, and lowest for treatment C0 (p<0.05). Weights of breast muscle, liver and abdomin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rossbred ducks. Breast and thigh muscle and abdominal fat weigh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100, C75 and C50 diets, while gizzard weights were highest for the C25 and C0 treatments. Net profits were higher for the crosses, and for treatments C50 and C25. In Exp. 2 total DM, CF and CP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50 diet, and ME intakes lower (p<0.001). Daily gains of the cros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cal Muscovy ducks, and were similar for the C100 and C50 diets. The highest net profits were from the crosses and ducks fed the C50 diet. It was concluded that BW can replace 50% of the concentrate in growing Muscovy duck diets without reducing daily live weight gains and with improved economic benefits.

맥주효모박을 이용한 효모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Yeast Extract by Waste Brewery Yeast)

  • 최형택;이성갑;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1-166
    • /
    • 2001
  • 맥주효모박 중의 단백질 함량은 41.7%, 탄수화물은 46.0%이었다. 주요 무기질은 K. P, Mg, Ca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1659.7mg%, 1,197.4mg%, 210.4mg% 및 105.6mg% 이었다. 맥주효모박 중의 주요 비타민은 비타민 C와 비타민 B군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7.9IU/100g 및 4.2IU/100g이었다. 맥주효모박의 자가소화 최적반응농도는 10% 였으며, 자기소화 촉진 및 오염방지제로 사용된 에탄올과 NaCl의 최적 농도는 맥주효모 현탁액의 경우 NaCl 3% 첨가구에서, 빵효모현탁액의 경우 NaCl 5% 첨가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NaCl의 첨가에 의한 자가촉진효과는 맥주효모박보다 빵효모에서 더 우수하였다. 또한 맥주 효모현탁액에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에탄올 첨가 농도에 따른 자가소화 촉진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빵효모 현탁액에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에탄올 3% 첨가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들의 결과로 볼 때 에탄올의 첨가에 의한 자가소화 촉진효과 또한 맥주효모박에 비해 빵효모가 더 우수하였다. 맥주 효모박을 자가소화시킨 후 glucanase의 첨가는 정미성이 강한 IMP와 GMP의 함량을 160% 정도 증가시켰다.

  • PDF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에서의 Filamentous Bulking의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Filamentous Bulking at the Southerly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Columbus, Ohio)

  • 고광백;로버트 엠 싸?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77-87
    • /
    • 1987
  •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시에 소재한 하수처리장(an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treatment plant: 일 평균 처리 용량은 46.4 MGD)을 대상으로 filamentous bulking(Schizothrix calcicola)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수관거 및 하수처리장내에서의 실제 운영조건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하여 주정폐수와 하수의 혼합액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조와 활성슬러지 처리조를 설치하여 산화조에서의 유출수를 활성슬러지 처리조에 유입수로 투입하였다. 실험결과로 sludge bulking의 주원인은 하수 관거내에서 혐기성으로 산화되어 유입원 주정폐수와 낮은 용존산소임이 밝혀졌다. 아울러 본 연구대상 하수처리장의 일차침전지에서 대량으로 검출된 volatile fatty acids는 sludge bulking의 지표일 뿐 유일한 원인이 아니며 주원인은 낮은 용존산소하에서 정상적인 슬러지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혹은 filamentous microorganisms의 과대성장을 촉진시키나 아직은 그 실체가 규명되지 않은 유기물이라고 사료된다.

  • PDF

지렁이에 의한 돈분 퇴비화용 유기성자원 연구 (A Study on Organic Resources for Pig Manure Treatment by Vermicomposting)

  • 이주삼;최덕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296
    • /
    • 2009
  • The effects of the processing mixture of pig manure and various organic wastes on the growth, cast production of earthworm, and conversion of organic matter to earthworm tissues by vermicomposting. The substances used in this experiments were sawdust, rice hull, coffee waste, brewery waste, litters, turfgrass cutting residues, rice bran, vegetable wastes and rice straw and were mixed with pig manure at a ratios of 50:50 (v/v), and pig manure 100% (control), respectively. The highest values of growth parameters, cast production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earthworm tissues were obtained at the mixtures of pig manure with coffee waste, it may due to the favourable diet conditions to process with pig manure by vermicomposting. But, all of the earthworm died in the pig manure 100% (control) and pig manure with vegetable wastes treatments by vermicomposting was impossible in this experiment. The vermicast contained a higher values of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cation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than their parent materials with increased availability of nutrients and improv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 PDF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자원(資源)으로서의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for Organic Fertilizer Use)

  • 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6
    • /
    • 1979
  • 산업(産業)의 발달(發達)과 인구(人口)의 증가(增加)로 그 종류(種類)와 양(量)이 증가(增加)되고 있는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은 여러가지 공해(公害)의 원인(原因)이 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防止)하고 자연(自然)을 보호(保護)하기 위(爲)한 노력(努力)은 국내(國內) 뿐만 아니라 세계적추세(世界的趨勢)임이 확실(確實)하다. 제한(制限)된 자료(資料)에서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의 비료(肥料) 자원화(資源化) 특(特)히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로의 활용(活用)에 관(關)한 가능성(可能性)과 문제점(問題点) 그리고 그 효과(效果)를 알아보고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국내(國內)에서 생산(生産)되는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 20여종(余種)의 성분분석(成分分析) 결과(結果), 비료(肥料)로서 개발가능시(開發可能視)되는 것으로 주정폐액(酒精廢液), 맥주박(麥酒粕), 피혁가공(皮革加工) 폐기물(廢棄物), 합섬공장(合纖工場) 회수탑폐액(回收塔廢液) 커피박등(粕等)이 지적(指摘)되었다. 2. 도시오물(都市汚物)은 그 조성(組成)이 외국(外國)의 것과 전혀 다르므로 그 이용(利用)이 어려우나 인분뇨처리잔사(人糞尿處理殘渣)는 그 조성(組成)으로 보아 유기물(有機物)과 특히 인산자원(燐酸資源)으로서의 활용(活用)이 기대(期待)되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과 냄새, 인산(燐酸)의 유효화(有效化) 등(等)이 문제시(問題視)된다. 3. 아미노산발효부산물(酸醱酵副産物)은 유기물(有機物) 및 질소함량(窒素含量)으로 보아 기대(期待)가 되며 이미 개발(開發)된 유일(唯一)한 것으로 그 비효(肥效)가 논의(論議)되었다. 4.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을 비료자원화(肥料資源化)함에 있어 활용상(活用上)의 공통적(共通的)인 문제점(問題点)과 비료(肥料)로써 유통(流通)될 경우의 문제점(問題点) 등(等)이 논의(論議)되었으나 환경보존(環境保存)이란 큰과제(課題)를 놓고 산업계(産業系)는 물론 토양비료학자(土壤肥料學者)들의 보다 적극적(積極的)인 관심(關心)의 집중(集中)이 요청(要請)된다.

  • PDF

Sphingopyxis granuli sp. nov., a $\beta$-Glucosidase-Producing Bacterium in the Family Sphingomonadaceae in $\alpha$-4 Subclass of the Proteobacteria

  • Kim Myung Kyum;Im Wan Taek;Ohta Hiroyuki;Lee Myung Jin;Lee Sung Tai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2호
    • /
    • pp.152-157
    • /
    • 2005
  • Strain Kw07$^T$, a Gram-negative, non-spore-forming, rod-shaped bacterium, was isolated from granules in an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UASB) bioreactor used in the treatment of brewery waste­water.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 Kw07T belongs to the a-4 subclass of the Proteobacteria, and the highest degree of sequence similarity was determined to be to Sphingopyxis macrogoltabida IFO 15033T (97.8%). Chemotaxonomic data revealed that strain Kw07T possesses a quinone system with the predominant compound Q-I0, the predominant fatty acid C,s:, OJ7c, and sphingolipids, aU of which corroborated our assignment ofthe strain to the Sphingopyxis genus. The results of DNA-DNA hybridization and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clearly demonstrated that strain Kw07T represents a distinct species. Based on these data, Kw07T (= KCTC 12209T = NBRC 100800T) should be classified as the type strain for a novel Sphingopyxis species, for which the name Sphingopyxis granuli sp. novo has been proposed.

국내 전통주 주박의 이용과 유용생리활성 (Application of the Lees of Domestic Traditional Wine and its Useful Biological Activity)

  • 김미선;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72-1079
    • /
    • 2015
  • 발효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박은 발효 후 알코올성 발효액을 필터, 원심분리 또는 증류 후에 얻어지는 찌꺼기 및 1차 제조된 제품의 숙성과정 중에 생성되는 찌꺼기를 말한다. 국내 전통주 주박은 식용 원재료와 다양한 약용작물을 첨가하고 이를 누룩으로 발효시켜 제조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생리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탁주 위주의 전통주 시장 성장으로 주박 생산량은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의 폐기물 처리는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전통주 주박의 효율적인 재이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총설에서는 전통주 주박의 산업동향, 연구동향 및 특허동향을 분석하고, 전통주 주박의 유용생리활성물질들을 제시하였다. 전통주 주박은 단순 발효폐기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식량, 식품첨가물, 비료, 사료, 미생물 배양원, 기능성 식품소재, 향장 및 미용소재의 고부가가치 발효소재 공급원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향후 재처리 기술, 유용물질 회수기술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산학관 연계와 연구가 필요하다.

식종슬러지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이용 바이오메탄 생산 비교 (Evaluation of different types of mixed microbial culture for biomethanation of CO2)

  • 김태훈;임병서;이승주;윤광수;안병규;미치드마;윤여명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1호
    • /
    • pp.65-72
    • /
    • 2020
  • 본 연구는 초기 식종슬러지 종류별 CO2의 생물학적 바이오메탄 생산 적용 가능성을 비교를 위해 국내 혐기성 소화조로부터 획득한 식종미생물을 종류에 따라 Specific methanogenic activity (SMA) test를 수행한 결과이다. 36일간의 실험 결과 CH4 yield는 2,434-2,051mL CH4/g COD의 범위를 얻었고 생산된 가스 내 CH4 분압은 맥주공장과 음식물류 폐기물 식종슬러지에서 가장 높은 89.3-91.9% CH4 분포를 보인 반면 하수슬러지 식종슬러지로부터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냈다. 반응조의 CH4 production rate/CO2 consumption rate 비교를 통해 CH4전환 속도 및 CO2소비율의 간접적 물질 수지 비교가 가능했으며 SMA test 실험 기간 중 반응조 내 아세트산의 농도의 검출이 확인되었다. 이는 식종슬러지 내부의 잔류 유기물들의 분해, 식종미생물의 사멸 및 이들의 분해, Homoacetogenic bacteria의 활성에 의해 반응조 내 Metabolic pathway가 부분적으로 Hydrogenotrophic methanogenesis 단계에서 Acetoclasctic methanogenesis로의 변환됨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

입상 슬러지 반응조 내의 혐기성 암모늄 산화(ANAMMOX) 및 분자생태학적 특성 평가 (Anaerobic Ammonium Oxidation(ANAMMOX) in a Granular Sludge Reactor and its Bio-molecular Characterization)

  • 한지선;박현아;성은혜;김창균;윤조희;배영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213-122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암모늄 산화(ANAMMOX)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양조폐수를 처리하는 메탄 생성 반응조의 입상 슬러지를 혐기성 반응기에 식종하였다. 암모니아성 질소($NH_4^+-N$)와 아질산성 질소($NO_2^--N$)를 1:1의 비율로 인공폐수를 조제하여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실험기간은 반응기의 유입 질소농도 조건에 따라 3개의 phase로 구분하였다. 각 phase별 유출수의 질소농도, COD, 알칼리도, 발생 가스 조성을 측정하여 처리효율을 평가하였다. Phase 1에서는 유입 $NH_4^+$-N $NO_2^-$-N를 각각 1.91 $gN/m^3{\cdot}d$부터 14.29 $gN/m^3{\cdot}d$까지 점차 높였으며 Phase 2에서 각 질소의 부하를 23.81 $gN/m^3{\cdot}d$, Phase 3에서는 19.05 $gN/m^3{\cdot}d$로 하여 운전하였다. 아질산성 질소($NO_2^-$-N)는 전 기간에 걸쳐 99%까지 제거 되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NH_4^+-N$)의 제거율은 각 phase별로 변동폭이 높았으며 이 중 Phase 2에서 최대 75%까지 제거되었다. 한편 각 phase별 반응조의 미생물 군집 변화는 16s rDNA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입상 슬러지의 접종 초기인 Phase 1의 경우 메탄생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메탄균과 탈질균이 공존하였다. Phase 2의 경우 아질산성 질소($NO_2^--N$)와 암모니아성 질소($NH_4^+-N$)의 제거율이 각각 99%와 75%까지 증가하였으며 이 때 ANAMMOX균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Phase 3의 경우 외부 공기 유입으로 인하여 암모니아성 질소(NH4+-N)의 제거율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미생물 군집 중 여전히 ANAMMOX균이 관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