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eding Pigeon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전통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 완상 문화 (The Culture of Appreciating Pigeon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 김서린;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원림에서 행해진 비둘기 애호 문화를 살펴보고, 전통 원림의 동물 소재로서 비둘기의 면모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둘기의 종류와 명칭을 파악하고, 쓰임과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비둘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비둘기를 통한 원림 향유 문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고전종합DB와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비둘기'로 검색하여 도출된 고문헌의 번역본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하였으며 옛 그림을 참고하였다. 비둘기는 귀소성이 있는 새로서 전서구(傳書鳩)로 이용되었으며, 약용, 식용으로도 쓰였다. 비둘기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풍요(豐饒)와 환우(喚雨)를 의미하였으며, 장수를 상징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궁원(宮苑)과 사가 원림에서 비둘기를 길러왔으며, 조선 후기에는 관상용 비둘기의 애완문화가 일시적으로 유행하였다. 비둘기는 원림을 풍부하게 향유하게 하는 공감각적 소재였다. 가지각색의 아름다운 비둘기는 움직이는 조경 소재로서 원림의 가변적 경관을 창출했다. 비둘기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방울 소리는 경관의 청각적 체험을 풍부하게 유도했다. 비둘기 집은 비둘기와 더불어 원림을 풍부하게 하는 완상 요소였다. 원림 조영자는 비둘기 집을 만들고 원림에 배치하는 행위를 통해 원림 조영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또한 문인들은 봄을 상징하는 수목이자 비둘기의 먹이 제공원으로서 매실나무,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산사나무 등과 더불어 부귀와 은일을 상징하는 모란과 국화를 식재하여 비둘기와 함께 향유했으며, 이를 시와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 원림의 공감각적 소재로서 비둘기에 주목하여 전통 원림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동물 요소로서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의 완상 요소와 조영자의 향유 행태에 대한 조경사적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한계를 가지며, 향후 원림에서 비둘기를 기른 구체적 사례와 근현대 시기 조경 공간에서의 비둘기 기르기에 대한 후속 연구가 촉구된다.

Gut microbiota derived from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enhances body weight of Mimas squabs

  • Jing Ren;Yumei Li;Hongyu Ni;Yan Zhang;Puze Zhao;Qingxing Xiao;Xiaoqing Hong;Ziyi Zhang;Yijing Yin;Xiaohui Li;Yonghong Zhang;Yuwei Y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8호
    • /
    • pp.1428-1439
    • /
    • 2024
  • Objective: Compared to Mimas pigeons, Shiqi pigeons exhibit greater tolerance to coarse feeding because of their abundant gut microbiota. Her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utilizing intestinal flora derived from Shiqi pigeons, the intestinal flora and body indices of Mimas squabs were evaluated after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from donors. Methods: A total of 90 one-day-old squab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CON), the low-concentration group (LC) and the high-concentration group (HC): gavaged with 200 μL of bacterial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0, 0.1, and 0.2 g/15 mL,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FMT improved the body weight of Mimas squabs in the HC and LC groups (p<0.01), and 0.1 g/15 mL was the optimal dose during FMT. After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 group, the abundance levels of microflora, especially Lactobacillus, Muribaculaceae, and Megasphaera (p<0.05), in the FMT-treated groups were markedly greater. Random fore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in functions of key microbes involve pathways associated with metabolism, further illustrating their important role in the host body. Conclusion: FMT has been determined to be a viable method for augmenting the weight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squabs, representing a unique avenue for enhanc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quab br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