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radiation treatment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5초

좌측 유방 방사선치료를 위한 역치료계획의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다중빔조사영역치료기법 사이의 포괄적 선량측정 분석 (A Comprehensive Dosimetric Analysis of Inverse Planne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Multistatic Fields Technique for Left Breast Radiotherapy)

  • 문성권;윤선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39-49
    • /
    • 2010
  • 목 적: 좌측 유방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3 빔 또는 5 빔을 이용한 세기변조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와 다중빔조사영역 치료기법(multistatic fields techniques, MSF) 사이의 선량학적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개선된 선량 균일성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두 종류의 방사선치료 기술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다중빔조사영역치료로 주조사야와 소조사야를 동시에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둘째, 고정된 다엽 조준기를 사용하는 IMRT로, 3 빔 또는 5 빔을 이용하였다.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16명의 초기 좌측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계획들을 세운 다음, 이들을 선량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V_{95}$와 선량균일지수의 평균값은, 이 세 치료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처방선량의 110% 이상을 받는 극심한 열점은 세 치료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동측 폐와 심장의 피폭 선량측정인자들에 대한 Tukey 검정에서, 세기변조방사선치료가 다중빔조사영역치료에 비해 저선량 영역의 피폭 선량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반면, 오히려 고선량 영역에서는 다중빔조사영역치료가 방사선 피폭을 약간 증가시켰다. 결 론: 선량 균일성 개선을 위해, 통상적인 쐐기기법 대신, 세기변조방사선치료보다 쉽게 계획되고 실시 될 수 있는 다중빔조사영역치료의 적용은 초기 좌측 유방암의 방사선치료 기술로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Male Breast Carcinoma: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Current Therapeutic Approaches

  • Zygogianni, Anna G.;Kyrgias, George;Gennatas, Costantinos;Ilknur, Aytas;Armonis, Vassilios;Tolia, Maria;Papaloukas, Christos;Pistevou, Gompaki;Kouvaris, John;Kouloulias, Vassilio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15-19
    • /
    • 2012
  • Male breast cancer is a very rare disease with an incidence of about 0.5-1% comparing with the one of female breast cancer bu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its cause. Treatment strategies for breast cancer in males are derived from studies performed among females. The probable reasons behind the frequent, late diagnoses presented at stages III or IV might be the lack of awareness. The rarity of the disease precludes large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s. This study reviews male breast cancer and its risk factors,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and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ale breast cancer.

Nationwide Analysis of Treatment Patterns for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 Chung, Il Yong;Lee, Jihyoun;Park, Suyeon;Lee, Jong Won;Youn, Hyun Jo;Hong, Jung Hwa;Hur, H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4호
    • /
    • pp.276.1-276.10
    • /
    • 2018
  • Backgrou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established a healthcare claim database for all Korean citizen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HIS data and investigate the patterns of breast cancer treatments. Methods: We constructed a retrospective female breast cancer cohort by analyzing annual incident cases. The annual number of newly diagnosed female breast cancer was compared between the NHIS data and Korea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KNCIDB). The annual treatment patterns including surgery,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endocrine therapy and targeted therapy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148,322 women with newly diagnosed invasive breast cancer during 2006-2014 was identified. The numbers of newly diagnosed invasive breast cancer cases were similar between the NHIS data and KNCIDB, which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r = 0.995; P < 0.001). The age distribution of the breast cancer cases in the NHIS data and KNCIDB also showed a strong correlation (r = 1.000; P < 0.001). About 85% of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patients underwent operations. Although the proportions of chemotherapy use have not changed during 2006-2014, the total number of chemotherapy prescriptions sharpl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The proportions of radiotherapy and anti-hormonal therapy increased. Among the anti-hormonal agents, tamoxifen was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medication, and letrozole was the most preferred endocrine treatment in patients aged ${\geq}50$ years. Conclusion: Along with the increased breast cancer incidence in Korea, the frequencies of breast cancer treatments have increased. The NHIS data can be a feasible data source for future research.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피부염 발생 정도 및 관련 인자들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Incidence and Related Factors for Radiation Dermatitis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 이선영;권형철;김정수;이희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16-22
    • /
    • 2010
  • 목 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에서 치료로 인한 방사선 피부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전단계로서 피부염 발생정도와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북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목적의 유방 보존 절제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침윤성 유방암 환자 338명 중, 보상체를 사용하거나 반대측 유방의 방사선 치료 기왕력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284명에서, 전자선 추가 치료를 시행하기 전 전체 유방에 50 Gy 방사선 조사 후, 방사선 피부염이 발생된 정도와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2도 이상의 중증 피부염을 보인 환자에서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RTOG 등급 0 또는 1과 2도 이상의 경증 및 중증 방사선 피부염은 각각 207명과 77명에서 관찰되었다. 2도 이상 중등도 이상의 방사선 피부염이 발생한 77명의 환자에서 림프액 저류에 의한 림프낭과 림프부종은 방사선 피부염의 회복을 방해하는데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으며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p=0.003, p=0.001). 그리고 피부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 활성화에 의한 반창고 과민반응과 호르몬치료 병용도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소로 분석되었으며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p=0.001, p=0.025). 결 론: 방사선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유방암 환자에서 경증 또는 중증 정도의 방사선 피부염이 발생되었으며, 림프낭, 림프부종 및 반창고 과민반응 등은 방사선 피부염의 정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림프낭이 존재하는 경우 방사선치료 전 제거가 우선되어야 하며, 반창고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치료 중 주의 깊은 관찰과 특히 중등도 이상의 피부염 환자들에게는 치료부위의 피부에 대한 지속적인 보습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방암 환자의 3D-CRT, TOMO 방법에 따른 선량 분포 평가 (Dosimetric Comparison of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Radiotherapy and Helical Tomotherapy Partial Breast Cancer)

  • 김대웅;김종원;최윤경;김정수;황재웅;정경식;최계숙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5
    • /
    • 2008
  • 목 적: 방사선치료계획에 있어서 정상조직과 치료부위의 선량 분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원에서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Helical tomotherapy (TOMO)의 방법으로 방사선치료계획을 세웠으며 이에 선량분포를 분석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명의(좌측: 10명, 우측: 10명) 유방보존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방법으로는 같은 조건에서 3D-CRT는 Philips사의 Pinnacle을, TOMO는 TomoTherapy사의 TOMO Planning System을 이용해 치료계획을 세웠다. Dose-Volume Histogram (DVH)의 prescribed dose (PD)에 대한 PTV의 Homogeneity index (HI)와 Conformity index (CI)를 구하였고, 정상조직의 dose- volume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 과: Homogeneity index (HI)와 Conformity, index (CI)는 TOMO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났다. $V_{-50-IB-NPTV}$ (the percentage ipsilateral non-PTV breast volume that was delivered 50% of the prescribed dose)는 3D-CRT: 40.4%, TOMO: 18.3%, $V_{20-IL}$ (the average ipsilateral lung volume percentage receiving 20% of the prescribed dose)는 3D-CRT: 4.8%, TOMO: 14.2%, $V_{20-10H}$ (the average heart volume percentage delivered 20% and 10% of the prescribed dose in left breast cancer)는 3D-CRT: 1.6%, 3% TOMO: 9.7%, 26.3%의 결과를 보여준다. 결 론: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치료계획 방법들은 PTV에서 원하는 선량분포를 보여줬다. 그러나 TOMO는 좋은 Homogeneity index (HI), Conformity index (CI)와 Breast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Lung과 Heart에서는 많은 피폭선량이 있음을 알 수 있기에 TOMO의 방사선치료계획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 사료된다.

  • PDF

유방암 접선조사에서 PBC 알고리즘과 AAA에 따른 Field-in-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전산화 치료계획에 대한 고찰 (Study on Computerized Treatment Plan of Field-in-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according to PBC Algorithm and AAA on Breast Cancer Tangential Beam)

  • 염미숙;배성수;김대섭;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4
    • /
    • 2012
  • 목 적: Anisotropic Analytical Algorithm (AAA)는 Pencil Beam Convolution (PBC) 알고리즘에 비하여 2차선과 조직 불 균질에 대한 영향에 보다 더 정확한 선량계산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유방암 접선조사 치료계획에서 PBC 알고리즘과 AAA의 선량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선량분포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선형가속기(CL-6EX, VARIAN, USA)의 6 MV 에너지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Eclipse treatment planning system (Version 8.9, VARIAN, USA)을 사용하여 전산화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plan(Conventional plan)과 Field-in-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plan (FiF plan)을 PB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한 후 Monitor Unit (MU)를 고정시키고 AAA로 변경하여 선량계산하고, Dose Volume Histogram (DVH)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첫 번째, Conventional plan의 PBC 알고리즘과 AAA에 따른 차이를 평가한 결과 치료용적에 대한 평균 Conformity Index (CI) 값의 차이는 PBC 알고리즘에서 0.295 높게 평가 되었다. 동측 폐에 대한 선량을 평가한 결과 $V_{47Gy}$$V_{45Gy}$는 PBC알고리즘에서 각각 5.83%, 4.04% 높게 평가되었고, Mean dose, $V_{20Gy}$, $V_{5Gy}$, $V_{3Gy}$는 AAA에서 각각 0.6%, 0.29%, 6.35%, 10.23%높게 평가되었다. 두 번째, FiF plan의 경우 치료용적에 대한 평균 CI 값의 차이는 PBC 알고리즘에서 0.165 높게 평가 되었고, 동측 폐에 대한 선량은 $V_{47Gy}$, $V_{45Gy}$, Mean dose는 PBC 알고리즘에서 각각 6.17%, 3.80%, 0.15% 높게 평가되었고, $V_{20Gy}$, $V_{5Gy}$, $V_{3Gy}$는 AAA에서 각각 0.14%, 4.07%, 4.35% 높게 평가되었다. 결 론: 유방암 접선조사에서 AAA로 계산했을 때, PBC 알고리즘에 비해 치료용적에 대한 Conformity가 Conventional plan, FiF plan 각각 0.295, 0.165 낮게 평가 되며, 동측 폐의 고 선량 영역의 선량은 적게 나타나며, 저 선량 영역의 선량은 많게 나타므로 폐에 대한 선량을 평가하는 데 선량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s - Preliminary Results from a Tertiary Care Center in Eastern India

  • Nandi, Moujhuri;Mahata, Anurupa;Mallick, Indranil;Achari, Rimpa;Chatterjee, Sanjo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505-2510
    • /
    • 2014
  • Background: The standard radiotherapy (RT) fractionation practiced in India and worldwide is 50Gy in 25 fractions over 5 weeks to the chest wall or whole breast followed by tumour bed boost in case of breast conservation (BCS). A body of validated data exists regarding hypofractionation in breast cancer. We here report initial results for 135 patients treated at our center with the START-B type of fraction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11 till July 2012, women with all stages of breast cancer (excluding metastatic), who had undergone BCS or mastectomy were planned for 40Gy in 15 fractions over 3weeks to chest wall/whole breast and supraclavicular fossa (where indicated) followed by tumour bed boost in BCS patients. Planning was done using Casebow's technique. The primary end point was to assess the acute toxicity and the cosmetic outcomes. Using cosmetic scales; patients were assessed during radiotherapy and at subsequent follow up visits with the radiation oncologist. Results: Of the 135 patients, 62 had undergone BCS and 73 mastectomy. Median age of the population was 52 years. Some 80% were T1&T2 tumours in BCS whereas most patients in mastectomy group were T3&T4 tumours (60%). 45% were node negative in BCS group whilst it was 23% in the mastectomy group. Average NPI scores were 3.9 and 4.9, respectively. Most frequently reported histopathology report was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87%), grade III being most common (58%), and 69% were ER positive tumours, and 30% were Her 2 Neu positive. Triple negative tumours accounted for 13% and their mean age was young (43 yrs.) The maximum acute skin toxicity at the end of treatment was Grade 1 in 94% of the mastectomy grouppatients and 71% in BCS patients. Grade 2 toxicity was 6% in mast group and 23% in BCS group. Grade 3 was 6% in BCS group, no grade 3 toxicity in mastectomy patients and there was no grade 4 skin toxicity in any case. Post RT at 1 month; 39% of BCS patients had persisting Grade I skin reaction which was only 2% in mastectomy patients. At 3 months post RT, 18% patients had persisting hyperpigmentation. At 6 months 8% patients had persisting erythema in the BCS group only. Some 3% BCS and 8% mastectomy patients had lymph edema till the date of evaluation. Cosmetic outcome in BCS patients remained good to excellent 6 months post surgery and radiotherapy. 1 patient of BCS and 3 patients of mast had developed metastatic disease at the time of evaluation. Conclusions: Hypofractionated RT is well tolerated in Indian population with reduced acute skin toxicity and good cosmetic outcome. Regimens such as these should be encouraged in other centers to increase machine output time. The study is on-going to assess long term results.

부분유방방사선치료(Accelerated Partial Breast Irradiation) 환자의 장액종(Seroma) 체적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seroma volume changes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Accelerated Partial Breast Irradiation)

  • 김대호;손상준;문준기;서석진;이제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5-75
    • /
    • 2016
  • 목 적 : 유방보존술 이후 부분 유방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치료 전후 장액종의 체적 변화를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 효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ViewRay MRIdian System을 이용하여 부분유방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수술시 제거된 검체 크기를 구하고, 장액종의 체적 변화를 주(week)단위로 획득하였다. 획득한 체적을 바탕으로 나이, 수술 후 첫 치료시작까지의 기간, 체질량지수(BMI), 수술시 적출된 검체 크기 등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부분 유방 방사선 치료의 특정용적을 구하기 위해 PTV(=seroma volume + margin)를 기준으로 ViewRay MRIdian RTP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모의치료 MRI 촬영 후 첫 치료 시까지 1주일간 나타난 장액종의 체적 변화는 0~5%가 8명, 5~10%가 2명, 10~15%가 3명, 15~20%가 2명, 그리고 20% 이상이 5명 이었다. 가장 큰 변화를 보인 2명의 환자 중, A환자는 기존 치료계획에서 처방선량 100%의 용적이 213.08 cc, PTV는 181.93 cc, 장액종의 체적은 15.3 cc였으나, 보정치료계획에서 장액종의 체적이 5.3 cc로 65.36% 감소하면서, 처방선량 100%의 용적은 205.83 cc, PTV는 102.54 cc로 각각 3.4%, 43.6% 감소하였다. B환자는 장액종의 체적이 20.2 cc에서 11.6 cc로 42.57%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처방선량 100%용적은 8.1%, PTV는 40% 감소하였다. 결 론 : 장액종의 체적 변화는 고령일수록, 수술 후 치료가 시작되는 기간이 짧을수록, 검체의 크기가 100 cc이하 일수록 큰 것을 확인하였다. 부분유방방사선치료 환자의 경우 전체유방방사선치료의 환자보다 체적 변화에 따른 Dose conformity가 더욱 민감하므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각 환자의 장액종 체적 변화에 따른 보정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유방암환자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피부선량 평가 (Evaluation of Skin Dose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 김성규;김명세;윤상모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3호
    • /
    • pp.167-171
    • /
    • 2007
  • 유방암 환자의 유방보존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경우에서 비껴방향치료방법과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한 두 경우에 피부에 조사되는 표피 흡수선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방암 환자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시 피부선량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비껴방향치료방법과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 대한 두 가지 방법으로 치료계획을 시행하여 유방 피부에 조사되는 계산선량과 TLD로 측정한 측정선량을 비교하였다. 선량측정은 유두가 있는 지점을 지나도록 몸의 중심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1 cm 간격으로 피부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비껴방향방사선치료에서 PTV에 180 cGy 방사선량을 계획할 때, 유방 표피에서 계산선량은 103.6 cGy에서 155.2 cGy 사이를 나타내었고, 측정선량은 107.5 cGy에서 156.2 cGy 사이를 나타내었으며, 중심부위의 피부선량이 가장자리 피부선량보다 최대 1.45배 많이 조사되었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PTV에 180 cGy 방사선량을 계획할 때, 유방 표피에서 계산선량은 9.8 cGy에서 80.2 cGy사이를 나타내었고, 측정선량은 8.9 cGy에서 77.2 cGy사이를 나타내었으며, 중심부위의 피부선량이 가장자리 피부선량보다 최대 0.23배 적게 조사되었다. 비껴방향방사선치료에서 보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피부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이 평균적으로 3.5배 적어서 방사선 치료에 의한 피부 위해를 줄일 수 있다.

  • PDF

Recent trends in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use in Korea

  • Huh, Seung Jae;Park, Won;Choi, Do H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249-253
    • /
    • 2019
  • Purpose: We aimed to analyze the trend in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use in Korea from 2011 to 2018.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the Health and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big data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laims and reimbursements records using primary treatment planning codes (HD 041) for IMRT from 2011 to 2018. We analyzed the changing patterns in clinical application to specific tumor sites and regional differences in IMRT utilization. Results: The use of IMRT has exhibited an 18-fold steep rise from 1,921 patients in 2011 to 34,759 in 2018. With regard to IMRT in 2018, 70% of patients (24,248/34,759) were treated in metropolitan areas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IMRT was most commonly used to treat breast, lung, and prostate cancers in 2018. Among these, the use of IMRT for breast cancer shows the most remarkable increase from 2016 whe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egan to cover IMRT for all solid tumors. Conclusion: The use of IMRT is steadily increasing to treat cancer and is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