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neoplasms, M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Human in-vivo 31P MR Spectroscopy of Benign and Malignant Breast Tumors

  • Jeong Mi Park;Jae Hyung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권2호
    • /
    • pp.80-86
    • /
    • 2001
  • Objective: To assess the potential clinical utility of in-vivo 31P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in patients with various malignant and benign breast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patients with untreated primary malignant breast lesions (group I), eight patients with untreated benign breast lesions (group II) and seven normal breasts (group II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vivo 31P MRS was performed using a 1.5 Tesla MR scanner.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il, the volume of the tumor had to exceed 12 cc (3×2×2 cm), with a superoinferior diameter at least 3 cm.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of each metabolite were calculated and metabolite ratios, such as PME/PCr, PDE/PCr, T-ATP/PCr and PCr/T-ATP were calc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ME were noted between groups I and III (p=0.0213), and between groups II and III (p=0.0213). The metabolite ratio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ME/PCr (between groups II and III) (p=0.0201), PDE/PCr (between groups I and III, and between groups II and III) (p=0.0172), T-ATP/PCr (between groups II and III) (p=0.0287), and PCr/T-ATP (between groups II and III) (p=0.0287). There were no significant parameters between groups I and II. Conclusion: In-vivo 31P MRS is not helpful for establishing a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at least with relatively large lesions greater than 3 cm in one or more dimensions.

  • PDF

유두 종양의 자기공명 영상소견 (MR Findings of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 조예슬;김성헌;강봉주;최병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1호
    • /
    • pp.43-51
    • /
    • 2014
  • 목적 : 유방암을 진단 받은 환자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유두상 병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수술적 절제 후 상향화 비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유방암 진단된 환자의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1729건에서 지표 종양 외에 악성 의심 조영증강을 보인 병변 중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유두 종양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의 22개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병변은 핵생검 결과와 절제 생검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 병변들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BI-RADS MRI lexicon에 따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종괴 8예, 비종괴 7예, 초점 7예로 관찰되었고 초점으로 나타난 병변은 병리 조직에서 모두 (100%) 양성 병변으로 진단되었고, 역동적 조영증강 검사에서 고원형과 세척형 양상을 보였다. 양성 유두종 1예 (11.1%), 비정형요소를 가진 유두 종양 3예 (100%), 유두 종양 3예 (60%)가 수술적 절제 후 관상피내암, 침윤성 관상피암, 침윤성 소엽암 등으로 상향화되었다. 결론 :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유두상 병변으로 진단된 병변들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양성과 악성을 예측하기에 특징적인 차이점을 보이지 않아 영상소견만으로 양성과 악성을 구분할 수 없으며 다수에서 수술적 절제 후 조직학적 상향화를 보여 (41.2%, 7/17) 반드시 수술적 절제를 통한 확진이 필요할 것이다.

유방암에서 자기공명영상 근거 영상표현형과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근거 위험도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MR Image-Based Radiomics Features and Risk Scores Associated with Gene Expression Profiles in Breast Cancer)

  • 김가람;구유진;김준호;김은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32-643
    • /
    • 2020
  • 목적 자기공명영상 근거 영상표현형과 생체분자학적 아형,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근거 위험도 등 유방암 유전체 특징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The Cancer Genome Atlas와 and the Cancer Imaging Archive에 공개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122개의 유방암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표현형이 추출되었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따라 PAM50아형을 분류하고 위험도를 지정하였다. 영상표현형과 생체분자학적 특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예측모델을 알아보기 위해 penalized generalized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결과 PAM50아형은 maximum 2D diameter (p = 0.0189), degree of correlation (p = 0.0386), 그리고 inverse difference moment normalized (p = 0.0337)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위험도 시스템 중에 GGI와 GENE70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8개의 영상표현형 특징을 서로 공유하였다(p = 0.0008~0.0492). Maximum 2D diameter가 두 위험도 시스템에서 가장 유의하게 관련있는 특징이었으나(p = 0.0139, p = 0.0008) 예측모델의 전반적인 연관 정도는 약했고 가장 높은 연관계수는 GENE70이 0.2171이었다. 결론 영상표현형 중에 maximum 2D diameter, degree of correlation, 그리고 inverse difference moment normalized가 PAM50 아형 그리고 GENE70과 같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근거 위험도와 그 연관도는 약하였으나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골격근육에 전이된 악성 유방 엽상종양의 영상소견: 증례 보고 (Metastasis to the Skeletal Muscle from a Malignant Phyllodes Tumor of the Breast: A Case Report)

  • 김대중;윤춘식;구자승;정우희;함석진;이두연;김성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1호
    • /
    • pp.101-105
    • /
    • 2009
  • 저자들은 육종의 일종으로 분류되는 유방의 악성 엽상종양이 골격근으로 전이된, 현재까지 영상소견으로는 보고된 사례가 없는, 드문 증례의 초음파, 양전자방출 단층촬영, 전산화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