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diameter analysis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58초

유방의 침윤성 관암종에서 핵등급 기준으로서 핵크기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Nuclear Size in Nuclear Grade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 배영경;김동석;최혜정;구미진;이수정;이제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6
    • /
    • 1999
  • To make the objective standard of nuclear size ingrading nuclear pleomorphism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we measured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on imprint cytology slides and histologic sections from 65 cases by using computer-based image analysis system(Optimas 6.0). The maximal diameter of red blood cells were also measured to evaluate the ratio of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to maximal diameter of red blood cells. The mean values of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on imprint cytology slides and histologic sections were $7.56{\mu}m,\;7.53{\mu}m$ in nuclear grade 1, $8.92{\pm}0.98{\mu}m,\;9.02{\pm}0.74{\mu}m$ in nuclear grade 2, and $12.90{\pm}1.47{\mu}m,\;12.44{\pm}1.41{\mu}m$ in nuclear grade 3,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lues of imprint cytology and histologic section. The ratio of maximal nuclear diameter of tumor cells to maximal diameter of red blood cells were 1.3-1.4:1 in nuclear grade 1, 1.6-1.7:1 in nuclear grade 2, and 2.2-2.3:1 in nuclear grade 3. These values would be guidelines for grading nuclear pleomorphism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on routine surgical pathology work.

  • PDF

중국 성인여성의 유방유형에 따른 브래지어 패턴 비교 (Comparison of Brassiere Pattern according to breast shape on China Adult Females)

  • 차수정;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1호
    • /
    • pp.63-79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 shape and brassiere construc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rassiere pattern on the breast shape. This researcher drew the brassiere pattern of developing a pre-study for Chinese female adults according to average size based on the four breast shapes. And then we measures brassiere pattern size and comparatively analyzes breast between size and shap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brassiere patterns are verified differences of size and shape on the breast shape. Above all an angle of cup dart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on the breast shape. An angle of cup dart isn't proportioned to breast size. An angle of cup dart for cone shape is bigger than dome shape. Because cone shape breast is protruded center part but dome shape breast have a shape of smooth curve like a half globe. So an angle of a cone shape breast cup dart is determined bigger than dome shape breast. For increasing the uplift effect of brassiere, brassiere pattern is different on the breast shape. And a brassiere pattern need different drawing methods about the angle of cup dart, breast inner side diameter, slope and so on. This study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that it established a mechanical relationship of breast shape and brassiere pattern.

Comparative Study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for Identifying Benign and Malignant Breast Tumor Lumps

  • Liu, Jian;Gao, Yun-Hua;Li, Ding-Dong;Gao, Yan-Chun;Hou, Ling-Mi;Xie, T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149-8153
    • /
    • 2014
  • Background: To compare the value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identification of breast tumor lumps. Materials and Method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of CEUS for 73 cases of breast tumor lump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pproaches.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and ROC curves were drawn for evaluation and comparison. Results: The CEUS qualitative indicator-generated regression equation contained three indicators, namely enhanced homogeneity, diameter line expansion and peak intensity grading, which demonstrated prediction accuracy for benign and malignant breast tumor lumps of 91.8%; the quantitative indicator-generated regression equation only contained one indicator, namely the relative peak intensity, and its prediction accuracy was 61.5%. The corresponding areas under the ROC curve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91.3% and 75.7%, respectively, which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Z test (P<0.05). Conclusions: The ability of CEUS qualitative analysis to identify breast tumor lumps is better than with quantitative analysis.

도심 산지형 공원 능선부 식생유형에 따른 공기이온 평가 -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Air 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idge in Urban Park -Focused on Tangeumdae Park in ChungJu-)

  • 김정호;이상훈;윤용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87-595
    • /
    • 2019
  • 도심 산지형 공원 내 식생유형별 요인이 공기이온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지점은 능선부 내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 따라 설정하였으며, 기상요소와 공기이온을 측정하였다. 공기이온 측정결과, 양이온 발생량은 평균 $610.90{\pm}50.27ea/cm^3$, 음이온 발생량은 평균 $723.58{\pm}64.25ea/cm^3$, 이온지수는 $1.19{\pm}0.10$이였다. 식생유형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이온은 수종, 흉고직경, 층위구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온지수와 식생유형과의 관계에서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양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와 부의 상관관계, 음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능선부 내 이온지수의 영향요인은 기상요인과 식생유형을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의 상관계수가 더 높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수종 > 층위구조 > 울폐도 > 흉고직경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능선부를 대상으로 공기이온을 평가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향후 공기이온에 대한 연구에서 지형구조, 식생유형을 모두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계절에 따른 변화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임업(林業)에서의 순수작업시간(純粹作業時間)과 임목형상조건(林木形狀條件)과의 관계연구(關係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Tree Formal Characteristics)

  • 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81-395
    • /
    • 1989
  • 본 연구는 임업 경영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특히 간벌 작업에서 순수 작업시간과 임목의 형상 조건과의 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임금표나 공정표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 대상지와 수종은 경남 양산에서 참나무 460본, 강원도 봉평에서 낙엽송 372본과 적송 232본, 전북진안에서 리기다 소나무 240본을 선정하였으며, 회귀식에 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종별 임목의 형상 조건인 5개의 독립 변수는 순수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데 있어 작업원별로 동일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2. 임목의 형상 조건간의 서로 상관관계를 구명,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순수 작업시간(WT)은 흉고직경(DBH)과 전체 가지수(NOB)로부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3. 변수의 수에 따른 결정계수(Rp)와 잔차평균제곱(MSEp)을 비교하여 최적회귀식을 수종별로 산출하였으며 여기에서 모든 수종으로부터 흉고직경(DBH)과 가지수(NOB)가 조합된 $WT=a+b1{\times}NOB+b2{\times}DBF$의 식이 유도 되었다. 4. 간벌 작업에서 걸림시간(Hang-up time)을 산출해보면 전체 작업 사간에 대하여 참나무가 평균 66%, 낙엽송 74%, 적송55%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가 52%를 나타났다. 5. 수종별 휴고직경(DBH)과 가지수(NOB) 2변수로 부터의 최적 회귀 방정식에 작업 시간표를 작성하였으며, 6. 여기에서 전체 작업시간(Total WT)은 벌도시간(FT)과 조재시간(LT) 그리고 걸림시간(HT)을 모두 합한 것으로써 임목의 1cm 증가마다 11-13초의 작업시간 증가를 나타냈다.

  • PDF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입지환경 분석 - 구상나무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the Location Environment of the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National Parks Using GIS - Focusing on Abies koreana -)

  • 김태근;오장근
    • 생태와환경
    • /
    • 제49권3호
    • /
    • pp.236-243
    • /
    • 2016
  • 본 논문은 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림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진행된 사례연구로서 지리산국립공원과 속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서 현지 조사된 구상나무 (Abies koreana Wilson) 210개체의 서식실태 자료를 바탕으로, 입지환경의 기본이 되는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성이 구상나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구상나무의 생장과 관련된 변수는 수고 및 흉고직경으로 하고, 지형적 특성은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추출된 지리적 위도, 해발고도, 산지경사, 사면향 그리고 지형습윤지수로 하였다. 두 변수군의 연관성의 유무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정준상관분석을 이용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지리 지형적 특성이 구상나무의 생장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구상나무 생장구조를 나타내는 흉고직경 및 수고는 지형의 수직적인 분포보다 지리 위도적인 분포와 연관성이 더 크고, 지리 지형요소는 수고보다 흉고직경과 연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생장구조변수와 지리 지형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고, 지리 지형변수가 생장구조변수를 18.1%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흉고직경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지리적 위도, 지형습윤지수, 사면향 그리고 해발고도의 순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도가 높아질수록 흉고직경은 작아지고 지형적 요소에 따라서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고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지형습윤지수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구상나무의 생장구조와 관련된 수고와 흉고직경은 지리적인 특성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형적 특성 중에서 수분상태의 영향이 다른 지형요소에 비해서 더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리 지형적인 특성은 구상나무의 생장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추측된다. 비록 지리 지형적 특성만을 고려하고 GIS를 이용하여 제작된 공간분석 자료를 사용한 한계가 있다고 해도,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립공원 아고산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침엽수림의 생장환경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데 유용하고, 구상나무 등 상록침엽교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서 대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the second and third intercostal spaces regarding the use of internal mammary vessels as recipient vessels in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An anatomical and clinical study

  • Seong, Ik Hyun;Woo, Kyong-J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33-339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atomical features of the internal mammary vessels (IMVs) at the second and third intercostal spaces (ICSs) with regard to their use as recipient vessels in deep inferior epigastric artery perforator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Methods A total of 38 consecutive DIEP breast reconstructions in 36 patients were performed using IMVs as recipient vessels between March 2017 and August 2018. The intraoperative finding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natom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ntraoperative measurements and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ic images. Results CT angiographic analysis revealed the mean diameter of the deep inferior epigastric artery to be 2.42±0.27 mm, while that of the deep inferior epigastric vein was 2.91±0.30 mm. A larger mean vessel diameter was observed at the second than at the third ICS for both the internal mammary artery (2.26±0.32 mm vs. 1.99±0.33 mm, respectively; P=0.001) and the internal mammary vein (IMv) (2.52±0.46 mm vs. 2.05±0.42 mm, respectively; P<0.001). Similarly, the second ICS was wider than the third (18.08±3.72 mm vs. 12.32±2.96 mm, respectively; P<0.001) and the distance from the medial sternal border to the medial IMv was greater (9.49±2.28 mm vs. 7.18±2.13 mm, respectively; P<0.001). Bifurcations of the IMv were found in 18.4% of cases at the second ICS and in 63.2% of cases at the third ICS. Conclusions The IMVs at the second ICS had more favorable anatomic features for use as recipient vessels in DIEP flap breast reconstruction than those at the third ICS.

유방암에서 자기공명영상 근거 영상표현형과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근거 위험도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MR Image-Based Radiomics Features and Risk Scores Associated with Gene Expression Profiles in Breast Cancer)

  • 김가람;구유진;김준호;김은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32-643
    • /
    • 2020
  • 목적 자기공명영상 근거 영상표현형과 생체분자학적 아형,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근거 위험도 등 유방암 유전체 특징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The Cancer Genome Atlas와 and the Cancer Imaging Archive에 공개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122개의 유방암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표현형이 추출되었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따라 PAM50아형을 분류하고 위험도를 지정하였다. 영상표현형과 생체분자학적 특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예측모델을 알아보기 위해 penalized generalized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결과 PAM50아형은 maximum 2D diameter (p = 0.0189), degree of correlation (p = 0.0386), 그리고 inverse difference moment normalized (p = 0.0337)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위험도 시스템 중에 GGI와 GENE70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8개의 영상표현형 특징을 서로 공유하였다(p = 0.0008~0.0492). Maximum 2D diameter가 두 위험도 시스템에서 가장 유의하게 관련있는 특징이었으나(p = 0.0139, p = 0.0008) 예측모델의 전반적인 연관 정도는 약했고 가장 높은 연관계수는 GENE70이 0.2171이었다. 결론 영상표현형 중에 maximum 2D diameter, degree of correlation, 그리고 inverse difference moment normalized가 PAM50 아형 그리고 GENE70과 같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근거 위험도와 그 연관도는 약하였으나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부여 석성산성의 식생 구조 및 관리 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Proposal for Seokseong Fortress in Buyeo-Gun)

  • 이선;이동혁;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33
    • /
    • 2009
  • Vegetation structure of Seokseong fortress in Buyeo-Gun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rigid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issima were 127.06, 70.29, 69.63, 12.39 and 8.57.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It should be prepared that vegetation management plan over the castle wal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pair or restoration of castle wall. Vegetation management around castle wall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d or long-term plan and it would be needed to consider the gradual changes from planted Pinus rigida to the historical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The Oncological Safety of Nipple-Sparing Mastectom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a Pooled Analysis of 12,358 Procedures

  • Headon, Hannah Louise;Kasem, Abdul;Mokbel, Kefah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28-338
    • /
    • 2016
  • Nipple-sparing mastectomy (NSM) is increasingly popular as a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and as a prophylactic procedure for those at high risk of developing the disease. However, it remains a controversial option due to questions regarding its oncological safety and concerns regarding locoregional recurrence. This systematic review with a pooled analysis examines the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NSM, including locoregional recurrence and complication rates. Systematic electronic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he PubMed database and the Ovid database for studies reporting the indications for NSM and the subsequent outcomes. Studies between January 1970 and January 2015 (inclusive) were analysed if they met the inclusion criteria. Pool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Seventy-three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yielding 12,358 procedures. After a mean follow up of 38 months (range, 7.4-156 months), the overall pooled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was 2.38%,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22.3%, and the overall incidence of nipple necrosis, either partial or total, was 5.9%. Significant heterogeneity was found among the published studies and patient selection was affected by tumour characteristics. We concluded that NSM appears to be an oncologically safe option for appropriately selected patients, with low rates of locoregional recurrence. For NSM to be performed, tumours should be peripherally located, smaller than 5 cm in diameter, located more than 2 cm away from the nipple margin,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2-negative. A separat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ubareolar tissue and exclusion of malignancy at this site is essential for safe oncological practice. Long-term follow-up studies and prospective cohort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reconstructive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