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ca oleracea L.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6초

Characterization of Thioltransferase from Kale

  • Sa, Jae-Hoon;Yong, Mi-Young;Song, Byung-Lim;Lim, Chang-Jin
    • BMB Reports
    • /
    • 제31권1호
    • /
    • pp.20-24
    • /
    • 1998
  • Thioltransferase, also known as glutaredoxin,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reduction of a variety of disulfides, including protein disulfides, in the presence of reduced glutathione. Thioltransferase was purified from kale through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52 ion-exchange chromatography, Sephadex G-75 gel filtration, and Q-Sepharose ion-exchange chromatography. Its molecular size was estimated to be about 31,000 daltons on SDS-PAGE. The purified enzyme has an optimum pH of about 8.0 with 2-hydroxyethyl disulfide as a substrate. The enzyme also utilizes L-sulfocysteine, L-cystine, bovine serum albumin, and insulin as substrates in the presence of GSH. The enzyme has $K_m$ values of 0.24-0.67 mM for these substrates. The enzyme was partly inactivated after heating at $80^{\circ}C$ or higher temperature for 30 min. The enzyme was stimulated by various thiol compounds such as reduced glutathione, dithiothreitol, L-cysteine, and $\beta$-mercaptoethanol. This is a second example of a plant thioltransferase which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 PDF

First Report of Root Rot Caused by Plectosphaerella cucumerina on Cabbage in China

  • Li, Pan-Liang;Chai, A-Li;Shi, Yan-Xia;Xie, Xue-Wen;Li, Bao-Ju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10-113
    • /
    • 2017
  • Severe root rot was observed in fields of cabbages (Brassica oleracea L.) in 2015 in China. Cardinal symptoms of this disease included root rot and wilting leaves. A fungus was isolated from diseased tissues consistently. Based on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ITS-5.8S rDNA and D1/D2 domain of the 28S rRNA gene, it was identified as Plectosphaerella cucumerin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cucumerina causing cabbage root rot in China and the worl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hlrabi Slices Dehydrated by the Addition of Maltodextrin

  • Wang, Shu-Mei;Yu, Dong-Jin;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89-193
    • /
    • 2011
  •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L.) slices were dehydrated with maltodextrin (MD) at concentrations of 20, 30, and 40% (w/w), and the dried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e freeze-dried and hot-air dried samples regarding various physicochemical qualities. The MD-treated samples had better results than those of freeze-dried or hot-air dried samples in terms of rehydration ratio and color.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MD-treated sample was similar to that of the freeze-dried and higher than that of hot-air dried sample. The ascorbic acid content of the MD-treated sample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hot-air dried 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hlrabi can be dehydrated with MD instead of hot air.

적심시기가 녹색꽃양배추의 측지화뢰 발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ching Time on the Lateral Curd Development and Growth of Broccoli(Brassica oleracea L. Italica group).)

  • 성기철;이재욱;권혁모;김천환;문두영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5
    • /
    • 2003
  • 녹색꽃양배추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양배추의 변종으로 꽃이 피지 않은 화뢰를 수확대상으로 한다. 녹색꽃양배추는 녹황색 채소 가운데 영양가가 많은 채소로, 여느 채소보다 비타민 AㆍC의 함량이 뛰어나며 특히 비타민 C는 과일을 능가할 정도로 양상추의 27배, 그린아스파라거스의 13배나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녹색꽃양배추에 함유된 sulforaphane은 항발암 및 해독효소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Aspry, 1983; Jhang, 1992; Kim, 1997; Howard, 1997),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중요한 채소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Prepared with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Powder)

  • 김규열;양미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91-298
    • /
    • 2010
  • The influence of cabbage powder on sensory acceptance and physical functions of Jeungpyun, were assessed. As fermentation continued, pH dropped and evolved carbon dioxide significantly increased. Moisture content of cabbage powder-amended Jeungpyun ranged from 51.1~55.5%, and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amples. Jeungpyun prepared with 8~10% cabbage powder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specific volumes. As the level of cabbage powder increased, the L-value was reduced, while the a- and b-values increased. Hard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ontrol, 2%, 4% and 6% samples. Chewiness tended t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cabbage powder. Sensory scores were lowest for Jeungpyun prepared with 8~10% cabbage powder.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4~6% cabbage powder to Jeungpyun produces the optimal product.

감마선 조사된 녹즙의 In vitro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In vitro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resh Vegetable-Extract Juice by Gamma Irradiation)

  • 이현자;강근옥;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7-1236
    • /
    • 2001
  • 녹즙의 위생화와 저장.유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10kGy 감마선 조사된 녹즙(돌미나리, 당근, 케일 및 신선초)의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 검증의 일환으로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실험과 Escherichia coli PQ37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하였다. 10 kGy로 감마선 조사된 녹즙은 위 세가지 in vitro 유전독성시험을 한 결과, 음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10 kGy로 조사된 녹즙은 어떠한 돌연변이도 유발시키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된 녹즙이 in vitro에서 유전독성학적으로 안전하였다.

  • PDF

형질전환된 꽃양배추에서 Proteinase Inhibitor II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Proteinase Inhibitor II gene in Transgenic Flowering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DC.)

  • 김창길;정재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5-98
    • /
    • 1998
  • PI-II cDNA가 도입된 식물발현 벡터인 pGA875를 가진 A.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꽃양배추의 하배축 조직에 형질전환하여 식물체를 재분화 시켰다. Dot blot 분석으로 PI-II 유전자가 전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개체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체 잎의 섭식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후 이들 개체의 종자를 받아 후대검정을 실시하였을 때 27,4%가 kanamycin내성을 가진 꽃양배추로 확인되었다.

  • PDF

배추 유래 phytocystatin 유전자, Brcpi1의 분리 및 발현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rcpi1 gene encoding phytocystatin from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eedlings)

  • 정유진;조용구;강권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407-414
    • /
    • 2009
  • A cDNA clone encoding phytocystatin was isolated from Brassica rapa seedlings, through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This gene (name as Brcpi1; GenBank accession no.: EF079953) had a total length of 881 bp with an open reading frame of 609 bp, and encoded predicted polypeptide of 203 amino acid (aa) residues including a putative N-terminal signal peptide. Other relevant regions found its sequence included the G and PW conserved aa motifs, and the consensus LARFAV sequence for phytocystatins and the reactive site QVVAG. The BrCPI1 protein shared 95, 94, 81, 80 and 78% identity with other CPI proterins isolated from Brassica oleracea (BoCPI-1), Arabidopsis thaliana (AtCY SB), Glycine max (GmCPI), Oryza sativa (OsCYS-2) and Zea may (ZmCPI) at amino acid level, respectively. Sou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Brcpi1 was a low copy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Brcpi1 was a tissue-specific expressing gene during reproductive growth and strongly expressed at mature seedling stages. Furthermore, overexpression of Brcpi1 in transgenic Arabidopsis was enhanced tolerance to salt and cold stresses. Meanwhile the juvenile seedling of Brcpi1 transgenic plants was not affected by various concentrations ABA in MS medium. Taken together, the results showed that Brcpi1 functioned as a cysteine protease inhibitor and it exhibited a protective agent against diverse types of abiotic stress, which induced this gene in a tissue- and stress-specific manner.

브로콜리 꽃송이 및 줄기의 항산화, 항균 및 대장암 세포 생육억제효과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e Floret and Stalk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 김미선;이예슬;권하영;김종식;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8-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의 비가식 부위의 효율적인 이용 및 브로콜리의 가공식품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브로콜리의 주요 가식부위인 꽃송이와 비가식 부위인 줄기 부분을 대상으로 각각 에탄올 추출물 및 이들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유용성분 분석 및 항산화, 항균, 대장암 세포 생육억제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성분 분석결과 브로콜리 줄기는 꽃송이보다 수용성 당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꽃송이는 상대적으로 지용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은 꽃송이가 줄기보다 1.50-1.99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줄기 및 꽃송이의 ethylacetate 분획이 9.45 mg/g 및 42.01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도 꽃송이 ethylacetate 분획이 181.12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평가결과, 브로콜리 꽃송이 에탄올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강력한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환원력을 확인하였으며, nitrite 소거능의 경우에는 줄기의 n-hexane 분획이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 평가에서는, 꽃송이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실험에 사용된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 모두에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대장암 세포성장 억제활성 평가에서는, 줄기 및 꽃송이에서 모두 n-hexane 분획 및 ethylacetate 분획에서 우수한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줄기의 경우 n-hexane 분획에서 세포 생존율 $18.4{\pm}1.2%$, 꽃송이에서는 n-butanol 분획에서 세포 생존율 $6.9{\pm}2.3%$를 나타내어 가장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브로콜리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관련 활성물질의 탐색, 정제를 통한 식의약품 소재 개발 연구가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이 무농약재배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Weed Control Methods on Growth and Weed Occurrence of Pesticide-Free Kale(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 임경호;김선국;김도익;서윤원;양승구;김용순;김홍재;김정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1-517
    • /
    • 2009
  • 노지재배 케일의 재배 포장 조건과 재배 작기에 따른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이 케일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재배 포장은 밭토양과 논토양에서 수행하고, 재배 작기는 봄 작형과 가을 작형에서 수행하였다. 밭토양에서의 가을재배 작형의 멀칭재료에 따른 지온은 멀칭처리가 $0.9{\sim}2.0^{\circ}C$ 높았다.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91% 이상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 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70%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슷하였다. 밭토양에서의 봄재배 작형의 종이멀칭 처리는 기온이 비교적 낮은 4월은 무멀칭대비 지온이 높았고 온도가 높아지는 5월과 6월에는 낮았다. 우점잡초는 명아주가 우점 하였으며,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52% 이상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 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 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75%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대비 34% 증수되었다. 논토양에서의 봄재배 작형의 우점잡초는 둑새풀이 우점 하였으며,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43% 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80%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대비 26% 증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