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diversifi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4초

기업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 as a Design Strategy to Build Corporate Brand Image)

  • 김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375-384
    • /
    • 2003
  • 본 연구는 성공적인 기업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서 브랜드 인지도에 의한 제품가치의 향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그 실행 방법으로서 크게 브랜드 이미지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제품 이미지 프로그래밍, 그리고 제품 이미지의 정합성 평가와 관리의 세 단계로 구성되는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PICS :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를 제안하여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관리를 위한 지침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브랜드 이미지 분석은 이미지 연상기법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의 성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제시된 시각적 자료와의 관여방식을 분석하여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인지 방향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다음으로 제품 이미지 프로그래밍은 이와 같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철학(Design Philosophy)과 디자인 원칙(Design Principles)을 정립하고, 비쥬얼 포지션 프로그래밍(Visual Position Programming)을 통하여 제품이미지의 지향방향을 가시화 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제품이미지 정합성 평가는 디자인 철학과 디자인 원칙의 적용 여부 등을 평가하여 브랜드에 정합한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평가의 기준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PICS :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관리를 위한 실제적인 방법으로서 디자인 작업에 있어서 이미지의 주관성으로 인한 계획과 적용 그리고 관리의 문제를 보다 객관적으로 해결하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표현중심어에 따른 이미지 스펙트럼의 세분화와 이미지의 비교 분석, 또 여기에 나타난 시각적 질서를 규명하는 제품 이미지 해석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브랜드이미지가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d Image on the Purchasing Attitude of Customer)

  • 정서란;이진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9-68
    • /
    • 2005
  • 시대변화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결정기준과 제품 공급방법은 끊임없는 변화가 거듭되었다. 디지털기술을 응용한 on-line 시스템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생산과 구매가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시장체제가 형성하게 되었다. 그 결과 소비자 중심의 브랜드 구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실증조사를 통하여 경제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의식구조를 파악하고, 이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결정 기준을 이해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구매태도를 만족, 선호, 재구입, 추천으로 기준을 설정하고, 이들 4개의 기준에 미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의 요인들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브랜드 이미지의 효율적 형성을 위하여서 생성되는 소비자(고객) 중심의 브랜드 가치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면 사회생활가치, 정서가치, 개성적가치 수용하여 브랜드이미지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브랜드 이미지의 공통적 요인으로는 차별성가 고객 중심의 일관성 및 개성적, 감성적 요인들을 부각 시를 수 있는 행태로 브랜드 이미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지향적이고, 소비자에게 인지 연상되는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객 중심의 브랜드 창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지원 및 마케팅 방안: 서비스믹스를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 (Government Support and Marketing for Medical Tourism: Brand Marketing Strategy utilizing Service Mix)

  • 진기남;한동우;박경서;한휘종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4-73
    • /
    • 2015
  • Medical tourism in Korea has been rapidly grown for last couple of years, based on exclusive support from Korean government. About 60,000 foreign patients received medial services in 2009, an initial stage of entering medical tourism business, and the number of foreign patients received medical services in Korea hiked to more than 266 thousands in 2014, which is showing 34.7% of annual average increase between 2009 and 2014. Diversification of target markets and service areas contributed on this remarkable growth. This paper describes current status of medical tourism in Korea as well as various supports from government for the growth of medical tourism. In addition, the paper presents approaches for brand marketing, by utilizing 7Ps, the marketing mix (a.k.a. service mix),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services of Korea in global market.

아동 Jewelry 제품에 대한 가치, 디자인, 가격, 추천이 소비자 구매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Value, Design, Price, and Recommendation on Children's Jewelry Product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Purchasing)

  • 이지훈;박태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75-85
    • /
    • 2019
  •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 Jewelry 디자인, 추천, Jewelry 가격, 인지, 만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아동 Jewelry 시장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업체에서는 브랜드 가치를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언론홍보 등을 통해서 소비자에게 브랜드 가치에 대한 인식을 심어줘야 할 것이다. 둘째, 업체에서는 한정판 제품 생산 등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이는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또한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은 제품과 함께 프로모션을 진행함으로써 제품의 종류를 확장하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셋째, 업체에서는 디자인 전문가와 일반인, 주부 등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제품 디자인의 다변화와 함께 소비자의 디자인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할 것이다. 넷째, 제품을 지인에게 추천할 때는 가정의 구성원, 개성, 취향 등을 고려해서 추천을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업체에서는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가격의 다양화도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업체에서는 상품에 대한 포인트 적립 확대, 프로모션 진행, 친구와 함께 원플러스 원 행사 등 소비자의 니즈에 충족하는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특성에 관한 연구 -패션마켓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Characteristics -Case Study of Fashion Market-)

  • 박연진;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5호
    • /
    • pp.64-82
    • /
    • 2018
  • As sustainability of fashion brand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prolonged depression, the fashion market is also seeking ways to create new value through convergence with various fields. In the fashion market, convergence marketing is engaged with diverse technologies combined with advanced technologies and strategies.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from a market perspective. Convergence can be summarized as Borderless, Compounding, Diversification, Recombination and Affiliati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divergence can be summarized as de-fusion, individualization, differentiation,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revealed through the case of fashion market include the expandability of the new category, the expandability of the consumer, the brand experience, and the expandability of time and space. Divergence is the differentiation of brand value, target customer, and product natur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underst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fashion market and the direction of the marketing strategy b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vergence marketing - oriented research that has the contrary conceptual characteristics from the extended viewpoint.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ee the changes and patterns of brand market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in recent fashion marke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atic study of the marketing strategy of the domestic fashion brand based on the convergence and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market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inue.

커피 전문점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rand Individuality of Specialty Coffee Shops on Brand Loyalty)

  • 김준석;최성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4-141
    • /
    • 2011
  • 우리나라의 식문화는 크게 변화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외식화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인에는 외식 기회의 확대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소비의식 및 소비내용의 변화, 가처분소득의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 등의 요소와 더불어 여러 가지 관련된 산업이 발전한 데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패스트 푸드 업계는 다소 성장이 둔화된 반면 패밀리 레스토랑과 테이크 아웃 커피 업계는 매장을 늘리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매출을 점차 확대시키려는 공격적인 경영을 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커피 전문점 시장에서 소비자의 브랜드 개성과 만족도가 커피전문점 브랜드 신뢰, 브랜드 감정, 브랜드 일체감, 브랜드 애호도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려 한다. 둘째, 선호하는 커피전문점의 종류와 경험 횟수, 그리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커피전문점에서 소비자의 브랜드 개성과 만족도가 신뢰, 감정과 브랜드 일체감,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개성과 고객 만족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감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신뢰도와 브랜드 일체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일체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브랜드 일체감과 브랜드 충성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브랜드 개성의 차원을 제시 하여 그 영향력을 유의함을 밝혔다는 점이다. 따라서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브랜드 개성을 개발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커피 전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브랜드 개성의 차원과 고객 만족도의 관계를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일체감고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의 이론들을 뒷받음을 못 하고 있다.

  • PDF

농촌지역 관광지개발에 있어 관광권 설정에 관한 연구 -전남 회남로를 사례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Touristic Subregions in Rural Area - Case Study in the Haenahm County, Chonnam -)

  • 홍성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7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Haenahm county as a part of project, the'89 Comprehensive Planning of Rural Area. In order to increase household income of rural area and to meet increasing tourism demand in urban area, several tourism develop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resources, services, and transport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Core tourism market has to be maintained by inforcement of unique image of the Haenahm county, such as the southern extremeity of Korean peninsula and tourism resources rich land. 2) New tourism products need to be introduced to attract fringe market of this area by use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Haenahm county, such as terrain, climate, provincial park, music, dance and artifacts. 3) image of this county as a touristic resort would be escalated by development of high quality andclusterized accommodation in urbanized area of the Haenahm county 4) Development of private lodging, production of local brand by native food, beverage and artifacts, introduction of festival by folk song and folk dance would be helpful to stabilize a seasonal fluctuating demand level of ourismandlocalresidentsincome. 5) Diversification of tourism product needs to be provided for tourists in order to increase chances for enjoyment in the destination and to be involved in socially comfortable atmosphere. 6) Package tour by diversification of touristic subregions in this county and linkage system with touristic regions of other counties would helpful to lead visitors to stay long, resulting in increased expenditure.

  • PDF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소호쇼핑몰의 기업가적 과정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 Successful Online Start-up Fashion Shopping Store: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a Soho Shopping Mall)

  • 손미영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91-1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시장에서 소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의 성장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4개 소호 패션쇼핑몰을 대상으로 기업가 과정을 창업기회포착, 사업모델, 위기관리 및 사업성과 등 3개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패션감각과 기업가정신으로 전자상거래를 창업한, 가격경쟁력과 디자인력, 다양한 상품구색을 갖춘 캐주얼 쇼핑몰로 데이터 관리/분석,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B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SNS 네트워크 역량과 기업가정신으로 제조업/전자상거래를 창업한, 아이템 경쟁력과 스타트업 특성을 갖춘 컨템포러리 쇼핑몰로 브랜드 정체성 확립, 시장 확장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M사와 C사는 보다 긴 경력의 창업자가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소호 패션쇼핑몰 사례이다. M사는 풍부한 경력과 디자인 정신의 창업자가 감성적/감각적 패션디자이너 브랜드를 창업하여 기업 지평을 넓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장하였고, C사는 디자인 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창업자가 감성 표현에 집중한 럭셔리 패션브랜드를 창업하여 적극적인 고객관리를 통한 브랜드인지도 및 매출 확보 등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본 연구 결과는 소호쇼핑몰 예비창업자나 창업과정의 교육 및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업사이클 브랜드 패션가방제품의 표현 특성 연구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Fashion Bag Products of Up-cycle Brand)

  • 박해인;곽태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4
    • /
    • 2017
  • The consumption trend of fashion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is developing from the rapid changes, and the lifespan of fashion products becomes shorter due to the various industrial wastes. Due to the attitude change caused by the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 awareness, the up-cycle fashion products got to receive attention, and it is in the limelight as a new trend to realize the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raw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each type on the fashion bag products of up-cycle brand, and contribut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product family fit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ag product of up-cycle brand, systematic strategies of up-cycle fashion products, and activation of up-cycle fashion market. In research methods, the theatrical researches were conducted centered the relevant domestic literature materials, preceding papers, etc., which ran paralleled with the actual case analysis study.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nd websites related to selected products, websites of up-cycle companies, relevant books, related articles, etc.,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up-cycle fashion bag product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it has the feature of historicality, the designs can be created by containing the designer's story, story of materials, and consumer's story. Second, sinc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sustainability, the applic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materials, extension of product life, conversion of original material's function, etc. can be sustainable. Third, as it's a trait of scarcity, all products may be produced by hand, and it can have the specialty which the original materials have. Fourth, since it has an eco-friendly trait, even while saving the original materials, the aesthetic needs could be met according to the consumers' continuous demand.

  • PDF

지상파 계열 MPP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유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ypes of portfolio of MPP(multiple program provider) -Focused on the affiliates of free TV-)

  • 이문행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2권
    • /
    • pp.107-139
    • /
    • 2008
  • 급변하는 방송 환경 속에서 지상파 방송사는 광고 매체로서 또한 제작사로서 그 역할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변화하는 방송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지상파 방송사의 채널사용사업으로의 진출에 주목하고 지상파 계열 MPP를 에이커(Aaker)가 제시한 캐쉬 카우 브랜드 방패 브랜드, 전략적 브랜드, 실버 블렛 브랜드, 브랜드 에너자이저 등의 5가지 브랜드 포트폴리오 유형에 따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상파 계열 MPP들은 다른 케이블 채널에 비해 높은 광고 수익으로 안정적인 채널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포트폴리오 전체에 수익을 창출해주는 캐시 카우 브랜드 사례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지상파 방송사들 간의 포트폴리오 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브랜드 간 역할도 중복되는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