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ed-chain amino acid(BCA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Anti-fatigue activity of dripped spent hens chicken essence in ICR mice

  • Ti Chun, Chang;Wei Cheng, Chen;Chao Wei, Huang;Liang Chuan, Lin;Jen Shinn, Lin;Fu Yuan, Cheng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2호
    • /
    • pp.307-314
    • /
    • 2023
  • Objective: Chicken essence and branched chain amino acid (BCAA) supplementation has been recognized to significantly relieve fatigue. To obtain chicken essence with high amounts of BCAA, spent hens herein was used to prepare dripped chicken essence (SCE) and compared with commercial dripped chicken essence (CCE) for in vivo anti-fatigue effect. Methods: To determine the effect on anti-fatigue by dripped chicken essence, the exhaustive swimming was performed. Thirty-two 7-week ICR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hich included the control group (CG), CCE, SCE-1X and SCE-2X. The mice were given daily oral administration (0.012 mL/g body weight/d). The fatigue index analysis was conducted weekl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CE had a higher BCAA level as expected, and mice treated with dripped chicken essence (CCE and SCE) could significantly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The lower blood lactate level, blood urea nitrogen level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were found in the supplement of SCE group compared with the CCE group, which suggested that the SCE possessed strong anti-fatigue ability. This could possibly be due to the higher content of BCAA. Conclusion: In this study, SCE promoted recovery from physical fatigue in mice and elevated endurance ability. Among them, the double dose (SCE-2X) showed the strongest anti-fatigue ability. Taken together, spent chickens could be a good source of chicken essence to improve the effect of anti-fatigu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Branched-chain Amino Acids (BCAAs) during Nursing on Plasma BCAA Levels and Subsequent Growth in Cattle

  • Li, J.Y.;Suzuki, K.;Koike, Y.;Chen, D.S.;Yonezawa, T.;Nishihara, M.;Manabe,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40-1444
    • /
    • 2005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hort-term dietary supplementa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BCAAs) during nursing (from 3 to 28 days of age) on plasma BCAA levels and subsequent growths in cattle, 12 nursing male Holstein calves,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n = 6 in each group), orally received a daily supplement of essential BCAAs (2 g/kg body weight/day; 1:1:1 of valine, leucine and isoleucine) or not. The plasma BCAA levels increased linearly after the administration.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verage daily gain (ADG) was lower in the treatment group (0.43${\pm}$0.07 kg/day) than the controls (0.71${\pm}$0.07 kg/day, p<0.05). However, at 2 months of age, AD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CAA-treated group (1.16${\pm}$0.26 kg/day vs. 0.51${\pm}$0.06 kg/day, p<0.05). Furthermore, at age 8, 9 and 10 month, ADG in the treated group (1.35${\pm}$0.23, 1.46${\pm}$0.07 and 1.60${\pm}$0.16 kg/day, respectively) showed a linear increase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0.88${\pm}$0.14, 0.70${\pm}$0.21 and 1.11${\pm}$0.11 kg/kg, respectively, p<0.05). Overall, ADG was 15.6%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1.26${\pm}$0.05 kg vs. 1.09${\pm}$0.04 kg; p<0.05). The final body weight at slaughter was 14.8%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759.5${\pm}$17.7 kg vs. 661.7${\pm}$21.2 kg, p<0.01). Thus, the supplementation of BCAAs during nursing improves ADG and carcass weight in cattle and is a useful husbandry technique for beef cattle.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이용한 패티 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tty Prepared with Mealworm Powder)

  • 김형미;김정남;김진수;정미영;윤은영;황재삼;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13-820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patties with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mealworm powder, followed by assessments of general compositions and the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 levels of the patties. An analysis of the chromaticity of the patties shows that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whereas the redness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ealworm powder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 mealworm patty that contain 20% of mealworm powder (M20) showed an overall high preference level. In term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see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mealworm powder was increased. The general composition of the M20 consists of 41.84% (moisture), 8.78% (carbohydrates), 34.42% (crude protein), 13.15% (crude fats), and 1.81% (crude ash). The BCAA contents (leucine, isoleucine, and valin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creases of the as mealworm-powder amount regarding the M20, the BCAA composi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leucine (2,906.25 mg/100 g), isoleucine (1,459.09 mg/100 g), and valine (1,813.18 mg/100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mealworm is a potential food material that could possibly replace meat.

Comparative metabolomic analysis in horses and functional analysis of branched chain (alpha) keto acid dehydrogenase complex in equine myoblasts under exercise stress

  • Jeong-Woong, Park;Kyoung Hwan, Kim;Sujung, Kim;Jae-rung, So;Byung-Wook, Cho;Ki-Duk, S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4호
    • /
    • pp.800-811
    • /
    • 2022
  • The integration of metabolomics and transcriptomics may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otypic and phenotypic patterns in organisms. In equine physiology, various metabolite levels vary during exercise, which may be correlated with a modified gene expression pattern of related genes. Integrated metabolomic and transcriptomic studies in hors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da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effect of moderate exercise on the metabolomic and transcriptomic levels in horses. In this stud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we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metabolites in muscle and plasma; we also determin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branched chain (alpha) keto acid dehydrogenase kinase complex (BCKDK), which encodes the key regulatory enzymes in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 catabolism, in two breeds of horses, Thoroughbred and Jeju, at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concentrations of metabolites in muscle and plasma were measured by 1H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the relative metabolite level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the two samples were compared. Subsequently, multivariate data analysis based on the metabolic profiles was performed using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 (OPLS-DA), and variable important plots and t-test were used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e stress-induced expression patterns of BCKDK genes in horse muscle-derived cells were examin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to gain insight into the role of transcript in response to exercise stress. In this study, we found higher concentrations of aspartate, leucine, isoleucine, and lysine in the skeletal muscle of Jeju horses than in Thoroughbred horses. In plasma, compared with Jeju horses, Thoroughbred horses had higher levels of alanine and methionine before exercise; whereas post-exercise, lysine levels were increased. Gene expression analysis revealed a decreased expression level of BCKDK in the post-exercise period in Thoroughbred horses.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Defatted Mealworm Powder)

  • 신승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23-530
    • /
    • 2019
  • 본 연구는 고 탄수화물식품인 설기떡에 단백질함량이 높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0, 3, 6, 9 및 12%)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으로 색도, 기계적 물성, 관능평가, 일반성분, 분지사슬 아미노산 함량을 평가하였다. 품질 특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색도의 경우 명도(L) 값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낮아진 반면, 적색도(a)과 황색도(b) 값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졌다.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에 따른 설기떡의 기계적 물성 측정결과 경도, 검성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진 반면, 씹힘성, 탄력성과 응집성에서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에 따른 설기떡의 관능평가의 경우, 탈지 밀웜 분말을 6% 첨가한 설기떡(MS-6)의 색, 맛,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탈지 밀웜 분말을 6 % 첨가한 설기떡(MS-6)의 일반성분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대조군과 MS-6간에 수분함량과 조회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MS-6이 높았고 탄수화물은 대조군이 높았다. 탈지 밀웜 분말을 6 % 첨가한 설기떡(MS-6)의 분지사슬 아미노산(BCAA) 함량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탈지 밀웜 분말 첨가로 근육형성 기능을 하는 branched amino acids인 valine($275.8{\pm}3.41mg/100g$), leucine($414.3{\pm}5.87mg/100g$) 및 isoleucine($188.9{\pm}2.31mg/100g$)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탈지 밀웜 분말을 6 % 첨가한 설기떡(MS-6)은 일반성분 중 단백질함량, 아미노산 중 분지사슬 아미노산(valine, leucine 및 isoleucin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높아져 영양적 단점이 보완되어 단백질 강화식품으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여진다.

식용곤충 분리단백의 특성 및 활용연구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teins isolated from edible insects)

  • 김선민;안채원;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37-542
    • /
    • 2019
  • 국내에서 식용으로 유통 및 판매가 가능한 7종의 곤충 중 누에(Bombyx mori),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의 4종을 대상으로 단백질을 분리하고, 유청 단백질과 비교하여 항산화 및 영양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물시료에서 분리한 단백질의 수율은 65.0-75.0%로 나타났다. 각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모든 곤충 시료에서 필수 아미노산인 Phe, Trp은 유청 단백질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근육생성에 도움이 되는 세 종류의 BCAA아미노산 중 Val은 모든 곤충단백질에서 유청단백과 유사한 함량을 보였으며, BCAA함량은 곤충분리단백질 중 쌍별 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그 함량이 각각 16.8과 16.4%로 가장 높아 유청단백(22.2-23%)의 73-7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 단백질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유청단백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곤충단백중에는 누에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항산화활성 또한 곤충단백이 유청단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갈색거저리 유충에서의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결과에서는 시판 단백질파우더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했을 경우, 유청단백의 25%의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맛과 향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떨어지므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곤충단백질은 유청단백질에 비해 BCAA함량은 다소 낮았지만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이 있으므로 아미노산 조성을 참고하여 특정목적 단백질 제품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규칙적 운동을 하는 남녀 성인의 근력운동 빈도에 따른 영양 보충제 이용 및 영양정보 획득의 실태 및 영양지수 (Pattern of Using Nutrition Supplements and Nutrition Quotient of Adults Who Practice Strength Exercise Regularly)

  • 윤선웅;강현주;김형숙;이홍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8권2호
    • /
    • pp.99-113
    • /
    • 2022
  • This study compared the pattern of purchas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obtaining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Nutrition Quotient of adults who exercise regularl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uscle training (LM, muscle training less than two days/week; MM, 2~3 days/week; HM, more than three days/week).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significantly more men in the HM group answered that they had purchased supplements and would repurchase them. They presented "increasing muscle mass" as the purpose of buying them and "types and contents" as the major factor to consider before buying. The supplements that significantly more subjects in the HM group purchased than in the other groups were protein supplements, BCAA (Branched-chain amino acid), arginine, and caffeine supplements for men and protein supplements, BCAA and carnitine for wome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significantly more men and women in the HM group reported "trainer" as the major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significantly more men in the HM group reported "increasing muscle mass" as the 1st topic of nutrition education that they wanted to receive and were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that they obtained. Most of all, males and females in the HM group had significantly a higher Nutrition Quotient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variables regarding exercise, the patterns of using supplements and acquiring nutrition information, and Nutrition Quotient were also found. These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emphasizing the wise consump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including supplement intake.

홍삼 섭취가 유.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과 중추 및 말초피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 supplementation on aerobic.anaerobic performance, central and peripheral fatigue)

  • 윤성진;김기형;김창주;박해찬;강경희;김무정;강성목;곽욱헌;김형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10-219
    • /
    • 2008
  • 본 연구는 8주간의 홍삼 투여가 중추피로 및 말초피로에 미치는 영향과 홍삼 투여와 지구성 트레이닝을 병행 했을 경우, 홍삼이 유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홍삼 섭취와 지구성 트레이닝을 병행하는 것이 홍삼 섭취와 지구성 트레이닝을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 보다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과 말초피로에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홍삼의 섭취가 중추피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홍삼의 피로회복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는 추후 일반인뿐만 아니라 운동선수의 운동능력향상 보조물(Ergogenic aid)로써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WPI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y Protein Isolate)

  • 안명수;김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0-54
    • /
    • 2007
  • 단백질을 식품의 원료로서 여러 가지 식품에 응용하려고 할때 제일 먼저 문제되는 것이 영양가이지만 동시에 물리화학적 특성도 식품 원료로서의 적합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유청(cheese whey)의 성분에서 단백질 함량을 90% 이상으로 농축 분리시킨 whey protein isolate(WPI)는 단백질 보충제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가공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WPI의 아미노산 함량, 용해성, 유화성, 기포성을 조사하여 식품의 기능성 원료 및 대체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WPI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89.5%였고 그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44.6%를 차지하였다. 필수 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 isoleucine, valine 등의 BCAA(branched chain amino acid) 함량이 높았다. pH에 따른 WPI의 용해성은 82-88%의 범위로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유화용량은 302.7mL/g으로 난황의 187.0mL/g보다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화액의 이장량으로 측정한 유화안정성도 65-97%로 나타나 난황의 60-89%보다 안정함을 보였다. 기포형성력은 323.3%로 난백의 186.6%보다 약 2배 정도 높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남은 기포의 부피로 측정한 기포안정성은 85.9-97.7%로 난백의 84.8-95.3%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WPI는 우수한 단백질 보충제로서 뿐만 아니라 용해성, 기포성, 유화성도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각종 가공식품의 품질향상에 영향을 주는 기능성 원료 및 대체물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알코올성 간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대한 고 분지아미노산 함유 옥수수 단백가수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enriched Corn Gluten Hydrolysates on Ethanol-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 정용일;배인영;이지연;전향숙;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6-711
    • /
    • 2009
  •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corn gluten hydrolysates, CGH)의 알코올 대사 및 간 기능 보호효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즉, 흰쥐에게 4주간 시료를 함유한 알코올을 경구투여함에 의해 간 손상을 유도시키고, 혈액 중 생화학적 간 기능 지표(ALP, GOT, GPT), 간세포 내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와 지질과산화물(MDA) 및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ADH, ALDH, MEO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섭취에 따른 경시적인 ethanol과 acetaldehyde 농도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알코올성 간 손상을 입은 흰쥐의 체중변화 및 간 중량에 대한 에탄올 투여 및 CGH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CGH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ALP 활성은 CGH 처치로 30% 감소한 반면, GOT 및 GPT 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알코올성간 손상에 따른 체내 항산화 반응계 중 catalase 효소활성은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 CGH 처리군에서 79%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DH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LDH 활성은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CGH군에서 20%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CGH는 MEOS활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하여 3% CGH을 급여한 그룹에서는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20%까지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단회 투여에 따른 경시적인 혈액 중 ethanol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acetaldehyde 농도는 CGH 투여에 의해 급격히 감소하였고, 시간에 따른 곡선 하 면적으로 환산한 결과, 약 60% 정도 감소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CGH는 알코올대사과정 중 ALDH 및 MEOS 활성에 작용하여 체내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기능 보호효과와 함께 ethanol 대사산물인 acetaldehyde의 체내 배출을 촉진시키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