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ed Chai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초

Direct Monitoring of Membrane Fatty Acid Changes and Effects on the Isoleucine/Valine Pathways in an ndgR Deletion Mutant of Streptomyces coelicolor

  • Tae-Rim Choi;Suk Jin Oh;Jeong Hyeon Hwang;Hyun Jin Kim;Nara Shin;Jeonghee Yun;Sang-Ho Lee;Shashi Kant Bhatia;Yung-Hun Y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6호
    • /
    • pp.724-735
    • /
    • 2023
  • NdgR, a global regulator in soil-dwelling and antibiotic-producing Streptomyces, is known to regulate branched-chain amino acid metabolism by binding to the upstream region of synthetic genes. However, its numerous and complex roles are not yet fully understood. To more fully reveal the function of NdgR, phospholipid fatty acid (PLFA) analysis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an ndgR deletion mutant of Streptomyces coelicolor. The deletion of ndgR was found to decrease the levels of isoleucine- and leucine-related fatty acids but increase those of valine-related fatty acids. Furthermore, the defects in leucine and isoleucine metabolism caused by the deletion impaired the growth of Streptomyces at low temperatures. Supplementation of leucine and isoleucine, however, could complement this defect under cold shock condition. NdgR was thus shown to be involved in the control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and consequently affected the membrane fatty acid composition in Streptomyces. While isoleucine and valine could be synthesized by the same enzymes (IlvB/N, IlvC, IlvD, and IlvE), ndgR deletion did not affect them in the same way. This suggests that NdgR is involved in the upper isoleucine and valine pathways, or that its control over them differs in some respect.

한국에서의 단풍당뇨병 진단 치료 지침: 과거와 현재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Diagnosis & Treatment Guidelines: Past and Present in Korea)

  • 김숙자;송웅주;이선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38
    • /
    • 2023
  •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is an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in branched chain α-keto acid dehydrogenase (BCKAD). Between 1997, when Korea's MSUD case was first reported, and 2023, 14 cases we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29% of the cases experienced developmental delay, and 29% expired. The prevalence of MSUD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1 in 230,000. Of 21 MSUD patients currently being treated at the Korea Genetics Research Center, 19 were detected through newborn screening program, and 2 were diagnosed by the symptoms. 14 MSUD patients had confirmed genetic mutations; 6 (43%) were BCKDHA and 8 (57%) were BCKDHB. In one case, a large deletion was observed. 4 patients had leucine levels above 2,000 (umo/L), and post-dialysis diet therapy was initiated in the newborn period. No patient required further dialysis as diet therapy and regular monitoring proved highly effective. Most MSUD patients were growing normally; weight and height growth were above the 50th percentile in 76% of the cases while BMI values were higher than normal in 71% of cases. Developmental delays were observed only in 2 cases (10%) and anticonvulsant use in 3 cases (14%). With newborn screening available to all Korean infants,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should allow most patients to remain asymptomatic. However, ongoing surveillance, dietary management and continued patient compliance as well as rapid correction of acute metabolic decompensations remain critical to a favorable long-term prognosis.

  • PDF

기면과 중추성 무호흡으로 나타난 단풍시럽뇨병 Type 1B 신생아 1례 (A Newborn Case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Type 1B Presenting with Lethargy and Central Apnea)

  • 강영태;최성환;고정민;신승한;김이경;김한석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3-49
    • /
    • 2018
  • 단풍시럽뇨병은 드문 상염색체 열성 대사 질환으로 측쇄 알파 케토산 탈수소효소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다. 측쇄 아미노산인 류신, 이소류신, 발린의 분해가 되지 않아 몸에 축적이 되고 식욕 저하, 구토, 기면, 이상행동, 발작 및 심한 경우 죽음을 초래한다. 세계적으로 단풍시럽뇨병의 유병율은 185,000명당 한명 이지만 한국에서는 극히 드물어 1,148,413명당 한명으로 보고된다. 이 증례의 여아는 만삭에 2.54 kg로 주산기 특이 병력 없이 출생한 첫째 아이로 특이 가족력 없었던 환아이다. 생후 10일경 식욕저하, 구토, 기면으로 타병원에서 대증치료 중에 선천성 대사이상 선별 검사 결과 상류신이 높아 전원 되었다. 환아는 기면, 혼수를 보였고 중추 수면무호흡으로 인공호흡기를 적용하였으며 소변에서 단풍시럽 냄새를 보였다. 뇌 초음파,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뇌부종 소견을 보였으며 혈중아미노산 검사상 류신, 이소류신, 발린의 수치가 정상치보다 매우 높았다. 측쇄 아미노산 없는 특수분유를 시작했고 뇌부종으로 만니톨과 이뇨제를 사용했으며 고암모니아혈증으로 벤조산을 투약하였다. 경련 예방을 위해 페노바비탈을 투약하였으며 측쇄 알파 케토산 탈수소효소의 조효소인 타이아민 보충을 시작하였다. 치료함에 따라 혈중 측쇄 아미노산 수치가 감소하였고 뇌부종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29일 간의 신생아중환자실 처지 후 환아는 호흡 및 구강 식이 진행이 안정적이었고 병동으로 전동 후 퇴원하였다. 환아는 현재 5개월로 페노바비탈을 점차 줄여가고 있으며 측쇄 아미노산 수치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고개 가누기는 완벽하지 않지만 옹알이 및 뒤집기 가능하며 따라잡기 성장 및 발달을 보이고 있다. 유전학적 검사에서는 두 개의 BCKDHB 이형접합 돌연변이 p.Ala32Phefs*48와 p.Val130Phe를 확인 하였으며, 가족 검사를 통하여 부모 모두 보인자임을 확인하였다. 이 두 변이는 모두 이전에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변이이다. 단풍시럽뇨병의 빠른 진단과 즉각적이고 적절한 치료가 환아의 생명을 유지하고 예후를 호전시킴을 본 증례를 통하여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 PDF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Defatted Mealworm Powder)

  • 신승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23-530
    • /
    • 2019
  • 본 연구는 고 탄수화물식품인 설기떡에 단백질함량이 높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0, 3, 6, 9 및 12%)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으로 색도, 기계적 물성, 관능평가, 일반성분, 분지사슬 아미노산 함량을 평가하였다. 품질 특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색도의 경우 명도(L) 값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낮아진 반면, 적색도(a)과 황색도(b) 값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졌다.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에 따른 설기떡의 기계적 물성 측정결과 경도, 검성은 탈지 밀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진 반면, 씹힘성, 탄력성과 응집성에서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탈지 밀웜 분말 첨가량에 따른 설기떡의 관능평가의 경우, 탈지 밀웜 분말을 6% 첨가한 설기떡(MS-6)의 색, 맛,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탈지 밀웜 분말을 6 % 첨가한 설기떡(MS-6)의 일반성분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대조군과 MS-6간에 수분함량과 조회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MS-6이 높았고 탄수화물은 대조군이 높았다. 탈지 밀웜 분말을 6 % 첨가한 설기떡(MS-6)의 분지사슬 아미노산(BCAA) 함량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탈지 밀웜 분말 첨가로 근육형성 기능을 하는 branched amino acids인 valine($275.8{\pm}3.41mg/100g$), leucine($414.3{\pm}5.87mg/100g$) 및 isoleucine($188.9{\pm}2.31mg/100g$)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탈지 밀웜 분말을 6 % 첨가한 설기떡(MS-6)은 일반성분 중 단백질함량, 아미노산 중 분지사슬 아미노산(valine, leucine 및 isoleucin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높아져 영양적 단점이 보완되어 단백질 강화식품으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여진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용한 유전자 송달 및 발현 유효성 연구 (Cellular Uptake and Transfection Efficiency of Plasmid DNA U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imine)

  • 정길재;박귀례;신지영;최한곤;오유경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4호
    • /
    • pp.263-267
    • /
    • 2004
  • Branched and linear polyethylenimines (PEIs) have been studied as efficient and versatile agents for gene delivery in vitro and in vivo. PEIs exist in a linear or branched topology and are available in a wide range of molecular weight (Mw). Most studies have been done using PEIs with Mw higher than 10Kd. This study was aimed to test the transfection efficiency and the cell viability following gene delivery using PEI of Mw 2Kd, a relatively lower Mw cationic polymer. We used murine interleukin-2(mIL-2) plasmid DNA complexed with branched PEI 2Kd or 25Kd, and transfected them into a myoblast muscle cell line, C2C12. The cellular uptake of mIL-2 plasmid DNA was determined using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NA transcript levels were studied in the myoblast cells. Our results show that PEI 2Kd was as effective as PEI 25Kd in celluar gene delivery and transfection efficiency in C2C12 cells. Moreover, MTT assay indicated that PEI 2Kd/DNA complexes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cell viability regardless of N/P rati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I of Mw 2Kd might play a role as effective and low toxic nonviral vector systems for muscular cell lines.

세포외 Adenosine Deaminase를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 (Isolation of Actinomycetes Producing Extracellular Adenosin Deaminase)

  • 전홍기;김태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89
    • /
    • 1990
  • 토양으로부터 세포의 adcnosinedeaminase를 생산하는 두종의 방선균 J-845S주와 J-326TK 주름 분리하여 각각 Streptomycs sp. J-845S와 Nocardioides sp. J326TK로 동정하였다. Streptomyces sp. J-845S는 그람염색 양성, 비항산성균으로 기균사의 흰색계열의 간상형의 비운동성의 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포자의 표면은 평할하였고 나선상의 포자연쇄를 형성하였다. 균사체의 분자는 양호하였다. 세포벽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LL-diaminopimelic acid를 함유하는 cell wall type I 이었으며, phospholipid type II였다. Nocardioides sp. J-326TK는 그람염색반응 양성, 항산성염색반응 음성이었으며, 균사체는 불규칙한 간상 또는 구사으이 절편으로 분절되었다. 기균사의 분자는 그다지 인정되지 않았으며, 포자형태의 긴 elements의 표면은 평할하였다. 세포벽 구성성분을 검토한 결과 cell wall type I과 phospholipid type I으로나타났다.

  • PDF

Morphology of Metal Salt of Carboxylic Acid: Metal and Acid Dependency on Branched Round Cluster Images

  • Min Su Kang;Kwang-Jin Hwang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22-225
    • /
    • 2023
  • Metallic salts of C10-18 aliphatic carboxylic acids were prepared and the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s were analyzed for the morphology dependency with the metal and the carboxylic acid. Regardless of metal ion, metal salts of dicarboxylic acids showed a high crystallinity with a fiber image (SuA-Na). The aromatic dicarboxylates also represented a morphology of a rectangular-rod or board shapes (IA-Li, IA-Ba). With Na ion, most aliphatic carboxylate (MA, PA, SA) showed a fiber-like crystallinity. However, other monovalent Li, K and multivalent Mg, especially Al ion resulted a glassy-amorphous in the metallic salts of acids (MA, PA, SA). With divalent Ba and Ca ions, the metal salt of aliphatic acids expressed a branched round cluster shape as in SA-Ca, SA-Ba. Both Li and Mg ions with a similar size showed a strong morphological similarity in the metallic salts of aliphatic acids MA, PA, SA. In the case of Na and Ca ions with a similar size (98, 106 pm), both ionic salts of stearic acid gave a branching effect for a fiber or round granular image. In the case of hydroxyl-aliphatic acids (HLA, HPA, HSA), the fiber images in HLA-Na and HSA-Na was appeared about 100 nm thicker than those of nonhydroxycarboxylates (LA-Na, SA-Na). The metallic salts of unsaturated C-18 carboxylic acids (OlA, LeA and LnA) showed an amorphous glassy image due to a kinked carbon chain.

수영만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Group LS-1 의 세균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Group LS-1 Isolated from Suyeong Bay)

  • 성희경;이원재;김용호;함건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39-346
    • /
    • 1992
  • 수영만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group LS-1 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성상 및 지방산 조성 분석을 통하여 세균학적인 특성을 밝혔다. B. cereus group LS-1 은 면양혈구배지에서 비용혈성의 점조성 집략과 convex 하고 가장자리가 규칙적인 둥근형태로 운동성이 없고 glucose, maltose, sucrose 와 gelatin 을 이용하고 trehalose 와 salicin 을 분해하지 않으며 6.5% NaCl 에서 자라지 않는 Gram 양성의 중심성 아포형성간균으로 표준균주 B. cereus group 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에서 chain 의 길이가 $C_{12}$ 에서 $C_{17}$로 iso $C_{15}$와 iso $C_{13}$의 branched chain 이 우점하는 B. cereus group 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nC^{15}$가 검출되지 않는 B.mycoides GC subgroup B 로 0.312 의 similarity index(SI) 를 지칭하여 다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한편 API system (API 50 CHB & API 20E) 의 ATB computer profile 에서 "Doubful Profile" 99.7% 의 B. firmus 로 나타내어 큰차이를 나타내었다. 67 개의 biochemical character 로 B. mycoids S-12 는 각각 42%, 42% 59% 와 52% 의 similarity matrix 를 나타내었다. B. cereus group 간의 아주 낮은 similarity 를 나타내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key test 와 지방산 조성등을 종합하여 볼때 B. ceresu group 중의 B. mycoides 로 새로운 biotype 인 것으로 사료되며 지방산 조성 분석으로 동정함이 훨씬 용이하였다.

  • PDF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활성에 대한 당쇄의 역할 (Roles of sugar chains in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 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6-342
    • /
    • 2019
  • 참당귀 유래 면역활성 다당의 활성과 구조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조다당 AGE-0로부터 두 차례의 연속적인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행하여 단일 정제 다당 AGE-2c-I을 얻었다. AGE-2c-I은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항보체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일반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분자량 약 140 kDa의 고분자 다당으로 4종의 구성당과 13종의 당쇄 결합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다당은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높은 반응성을 보임으로써 arabino-3,6-galactan의 구조를 가진 rhamnogalacturonan-I 구조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 AGE-2c-I의 미세구조의 해명과 항보체 활성에 관여하는 다당 중의 활성부위 검토를 위해 ${\alpha}$-L-arabinofuranosidase와 endo-1,4-${\beta}$-galactanase를 이용한 연속적 가수분해를 행하고 얻은 단편획분들을 이용, 구성당 및 당쇄결합 양식 분석,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반응성 검토 및 항보체 활성 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당귀 유래 항보체활성 다당 AGE-2c-I은 rhamnogalacturonan-I과 유사한 구조를 소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AGE-2c-I의 측쇄 구조인 arabino-${\beta}$-3,6-galactan 사슬이 항보체 활성 발현에 주요 역할을 수행하며, 5-linked Araf와 3,5-branched Araf로 구성된 ${\alpha}$-arabinan 측쇄가 활성에 부분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쌀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 (Relationship between Molecular Structure of Rice Amylopectin and Texture of Cooked Rice)

  • 강길진;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5-111
    • /
    • 1995
  • 밥의 식미가 다른 일반계와 통일계 쌀을 대상으로 아밀로펙틴과 그 베타-한계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밥의 텍스쳐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쌀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는,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분포로 보아, $\overline{DP}$ 12.4의 A 사슬, $\overline{DP}$ 20.6의 짧은 B 사슬, $\overline{DP}$ 26.3의 중간 B 사슬, $\overline{DP}$ 45의 긴 B 사슬과 $\overline{DP}$ 55 이상의 초장쇄로 이루어진 polymodal이었다. 아밀로펙틴의 초장쇄는 긴 직쇄를 가진 사슬로서 아밀로펙틴의 평균 사슬길이,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정의 상관을 보이나 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성질은 일반계와 통일계 쌀 시료간 차이를 보였다. 아밀로펙틴의 A 사슬에 대한 B 사슬의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초장쇄의 분포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더 낮았다.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와의 관계에서,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사슬길이 그러고 초장쇄는 밥의 경도와 정의 상관을,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밥의 식감은 아밀로펙틴의 긴 사슬이 적고 짧은 사슬이 많이 분포할 수록, 밥의 경도가 낮고 부착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가 밥의 텍스쳐와 밀접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