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wav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성인들의 혈액형과 성격 및 항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one's blood type on emotional character and antistress of adults)

  • 김충식;이선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54-2560
    • /
    • 2011
  • 이 연구는 성인들의 혈액형이 성격이나 스트레스 저항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개인이 지닌 뇌신경 생리학적 지표인 뇌파 측정을 이용하여 비교 하여보았다. 대상자는 2006년 9월에서 2009년12월까지 한국정신과학 연구소에 뇌파측정 의뢰한 성인(20세-59세)들을 기준으로 선정한 자료이다. 남 1415 명, 여 3221명으로 총4636 명이다. 혈액형의 분포도는 A>B>O>AB형 순이었다. 분석 결과 성인들의 혈액형과 정서적 성향과는 무관 하였다. 하지만 스트레스 저항능력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O형이 다른 혈액형에 비하여 주의 지수나 항스트레스 지수에서 높게 차이가 났다.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 결과 몇 개의 범주에서 혈액형과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미치는 영향이나 유전적인 역할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의 작용기전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의료센터의 다중로봇통신망을 이용한 뇌파전송망 프로토콜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Brain Wave Transmission Network Protocol using Multi-Robot Communication Network of Medical Center)

  • 조준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0-47
    • /
    • 2013
  • 병원과 같은 의료센터에서 이동하는 환자들의 상태를 효과적이며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무선통신망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802.11a, 802.11g, direct sequence와 같은 무선통신 프로토콜들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모바일 노드의 개수나 전파도달 거리등 다양한 요소들이 망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환자들의 상태를 뇌파전송(EEG)을 통해 감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 특성도 고려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EEG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망을 설계하고 이를 Op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뒤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EEG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전반적으로 802.11g의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폴로지의 구성요소에 따라 결과의 특성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사춘기 발달지표 분류에 의한 항 스트레스 차이 연구 (Research on the Difference of Anti-Stress by Classification of Puberty Development Index)

  • 최남숙;안상균;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05-2510
    • /
    • 2015
  • 본 연구는 사춘기 전, 중, 후의 스트레스저항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다. 연구는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두달간 진행했다. 대상자로 사춘기 전과 중은 Y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사춘기 전 28명, 중 35명 두 집단으로 나누고 사춘기 후 집단은 한국 정신과학 연구소의 전국 대학생 33명 뇌파로 사춘기 전, 중, 후 세 집단의 항 스트레스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좌뇌 사춘기 전 평균값 77.11, 중 79.14, 후 84.93, 우뇌의 전 평균값 77.24, 중 79.89, 후 84.43으로 점차 항 스트레스지수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사춘기의 심리적 특성이 설문방식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뇌파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흡연 기능성 게임에서 심리생리학적 경험과 흡연의 부정적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hysiological Experience and Negative Attitude in Smoking Serious Games)

  • 장한진;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89-1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을 주제로 하는 기능성 게임에 따른 흡연 태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흡연태도와 심리생리학적인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뒤, 금연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흡연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저항, 심리적 디스트레스, 뇌파(Left Brain ${\theta}$, Right Brain ${\theta}$)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흡연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심리적 저항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theta}$파의 경우 좌뇌에서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우뇌에서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몰입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flow status in smoking simulation game)

  • 장한진;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4
    • /
    • 2017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게임인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의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게임 중에 발생하는 뇌 활동 패턴이 게임몰입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뇌파측정과 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게임몰입의 정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이입, 건강관심도, 생리적 지표인 뇌파(${\alpha},{\beta}$)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몰입에 감정이입, 건강관심도, ${\beta}$파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alpha}$파의 경우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능성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용자 경험과 신경생리학적 변화에 대하여 자기 보고와 더불어 뇌파측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게임몰입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가 있다.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Brain Motion Controller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 Park, Myeong-Chul;Choi, Duk-Kyu;Kim, Tae-S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11-117
    • /
    • 2020
  • 최근 머신러닝의 높은 관심과 더불어 물리적 장치에 연동하기 위한 교육용 컨트롤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컨트롤러는 교육용으로서의 고비용과 활용 영역면에서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머신 러닝 학습을 목적으로 뇌파를 이용한 동작 제어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특정 행위를 상상할 때 발생하는 뇌의 동작 상상 뇌파를 측정하여 표본화 한 후, Tensor Flow를 통하여 표본값을 학습시키고 게임 등의 콘텐츠에서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동작 인식을 위한 움직임 변이는 상하좌우의 방향성과 점프 동작으로 구성된다. 인식 동작의 식별 정보를 언리얼 엔진으로 제작한 게임에 전송하여 게임 속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절차로 이루어 진다. 구현된 컨트롤러는 뇌파 외에도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머신 러닝 학습 등의 교육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일부 여대생들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지훈;박의정;오나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299-307
    • /
    • 2016
  • 본 연구는 뇌파를 변화시키는 훈련 뉴로피드백이 일부 여대생들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융복합 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를 비교하여 생활 스트레스가 감소되었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생활 스트레스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를 비교하여 우울이 감소되었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울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뉴로피드백 훈련이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주행속도와 기하구조에 따른 운전자 불안뇌파 분석 -고속주행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er's Anxiety EEG & Driving Speed in Motorway Sections)

  • 임준범;이수범;김근혁;김상엽;최재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7-175
    • /
    • 2012
  • For establishing a standard of design element of the smart highway, this study investigated driver's anxiety EEG according to running speeds and geometric designs. Also,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on 60 subjects. Based on running speed data and brainwave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this study analyzes anxiety EEG according to running speeds and geometric designs, and finally draws a forecasting model of anxiety EEG by selecting affecting factors of anxiety EEG. Forecasting model shows that left curve is the most influential on anxiety EEG figure. The reason is because when driver is driving on the first-lane, his or her visibility is impeded by a median strip. For this reason, anxiety EEG figure increases. And also steep downward slope and large radius of curve are heavily influential on driver's anxiety EEG figure. It is judged that anxiety EEG figure is increased by high speed on those section. Thus, the forecasting model of anxiety EEG suggested o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design phase, and will decide the design speed on the superhighway. So, it will be used to make practical and safety road.

영어학습 유형별 뇌기능 활성화에 대한 정량뇌파연구 (Quantitative EEG research by the brain activities on the various fields of the English education)

  • 권형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3호
    • /
    • pp.541-550
    • /
    • 2009
  • 본 연구는 영어학습 영역별 (듣기쓰기능력, 단어수준, 스피킹, 단어기억, 리스닝) 성취도에 따른 대뇌피질 내의 뇌기능 활성화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한 것이다. 좌뇌 기반으로 알려진 영어학습에 대한 우뇌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뇌기능 영상화 중에서 정량뇌파분석를 사용하여 영어학습에 관여하는 뇌 영역별 정량뇌파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영어학습을 뇌 영역별 활성화로 변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영어학습의 좌우뇌 균형발달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특정 학습영역과 연계한 뇌의 활성화를 제시함으로써 개인별 뇌 기능에 따른 영어학습 향상을 위한 뇌기능을 훈련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권형규, 2008). 이를 통하여 단순한 이미지와 오감을 활용한 우뇌적 학습방향이 아니라 개인별 정량뇌파 데이터에 의한 통합뇌 훈련모형을 개발하였다. 정량뇌파 분석을 위해서는 피험자 개인별 영어능력 검사점수에 대한 뇌파지표를 도출하여 단계적 변수선택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유아들의 혈액형과 정서적 성향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one's blood type on emotional character of children)

  • 백기자;박병운;안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18-1824
    • /
    • 2008
  • 이 연구는 유아들의 혈액형과 정서적 성향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개인이 지닌 뇌신경 생리학적 지표인 뇌파 측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대상자는 2005년 9월에서 2007년 12월까지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뇌파측정 의뢰한 유아들로서, 연령은 4세에서 7세까지이다. 유아 남 1690명, 유아 여 1322명 총 3018명이다. 유아 혈액형 분포는 A>B>O>AB형 순이었다. 분석의 결과 유아들의 혈액형과 조울 성향과는 분석의 결과 여아는 무관하였으며, 남아에서 명랑 성향은 B형에서 가장 많았고 우울 성향은 O형에서 가장 많았다. 긍정이면서 명랑한 유아는 남자 B형의 유아가 가장 많았으며 부정이면서 우울한 유아는 남자 AB형에서 가장 많았다. 그리고 혈액형과 주의력과의 상간관계에서 O형의 유아가 주의지수가 가장 높았고 A형의 유아가 가장 낮았다. 이 연구 결과 몇 개의 범주에서 혈액형에 따른 정서적 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미치는 영향이나 유전적인 역할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의 작용기전을 규명하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