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onida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4초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콜레마니진디벌 기능반응에 미치는 이산화탄소 농도 영향 (Effects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n Functional Response of Aphidius colemani Viereck (Hymenoptera: Braconidae) on the Green Peach Aphid)

  • 안정준;김정은;김천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55-1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의 포식 기생자인 콜레마니진디벌의 기능반응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별(400, 600, 1000ppm) 복숭아혹진딧물 밀도를 달리하여(2, 4, 8, 16, 32, 64, 128마리) 콜레마니진디벌 한 마리를 24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각 이산화탄소 처리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은 제 3 유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600 ppm (0.015 day)과 1000 ppm (0.014 day)에서 추정된 처리시간은 400 ppm에서 추정된 결과(0.017 day)보다 짧았다. 이산화탄소 농도별 복숭아혹진딧물 기생률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기생률은 400, 600, 1000 ppm에서 복숭아혹진딧물 16, 32, 32마리에 대해 0.57, 0.61, 0.70이었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콜레마니진디벌의 기능반응에서 공격율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처리시간에는 영향을 주었다.

대형 엘리베이터에서 Bracon hebetor (벌목: 좀벌과)의 반복 방사에 의한 화랑곡나방 (나비목 : 명나방과)의 방제 효과 (Suppression of Indian Meal Moth (Lepidoptera : Pyralidae) by Iterative Mass Release of Bracon hebetor (Hymenoptera : Braconidae) in Wheat Elevators)

  • 나자현;천용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1
    • /
    • 2005
  • 대용량 밀 저장 엘리베이터(직경 8 m, 높이 41 m)에서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H\"{u}bner$))의 유충기생봉, Bracon hebetor Say, 방사를 통한 화랑곡나방 개체군의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2 년 7월 23일부터 일주 간격으로 총 50,000 마리의 기생봉을 방사하였던 바 화랑곡나방 성충의 밀도 수준이 방사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비해서 30%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L., as a Host for Neurotoxic Braconidae I. Insect-toxic Properties of Bracon Venom Gland Extract and Its Fractions

  • Madyarov, S.R.;Mirzaeva, G.S.;Otarbaev, D.O.;Khamidi, K.S.;Kamilova, S.I.;Akhmerov, R.N.;Khamraev, A.S.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2호
    • /
    • pp.235-239
    • /
    • 2003
  • The silkworm Bombyx mori L. was studied as the potential “host” of popular in Uzbekistan biocontrol ectoparasite, entomophagous Bracon hebetor Say. Being one of representatives of economic-beneficial insects, the silkworm (larvae, pupae and imago) can be used as highly sensitive test organism for revealing of neuro toxic effects of insects venom as well as of their purified components in screening assays. In comparative aspect, except a mulberry silkworm, representatives of Uzbekistan pests cotton-boll worm Helycoverpa armigera Hbn., lesser mulberry pyralid Glyphodes pyloalis Wlk., codling moth Corpocapsa pomonella L., malaria mosquito Anopheles claviger and Colorado potato beetle Leptinotarsa decemlineata Say have been subjected to insect toxic test of bracon venom gland extract (VGE) and its fractions which were obtained by gel-chromatography on Sephadex G-100. The paralyzing effect of the VGE and its fractions was shown in a various degree on the pests.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the Endoparasitoids on Acronicta rumicis (Lepidoptera, Noctuidae)

  • Cho, Young-Ho;Kwon, Oh-Seok;Nam, Sang-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55-60
    • /
    • 2006
  • Forty six individuals out of 200 Acronicta rumicis larva were parasitized (23 %) in 2000, 14 individuals out of 60 (23.33 %) in 2001, and 14 individuals out of 62 (22.58 %) in 2002. The mean parasitism rate was $22.97{\pm}0.38%$. The parasitism rate was 36.36 % in May and 52.78 % in October, 2000, 75 % and 50% in May and October 2001, 71.4% and 47.37% in May and October 2002 and it was much higher than other months. Parasitism was occurred from May to October 2000, but it was not in June and August 2001 and June 200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nthly mean parasitism rate, but the rate was the highest in May and October. The parasitoid of the larva of A. rumicis was the highest by 77.02% of parasitic wasps, and 13.51% of parasitic flies. It was found that multiparasitism was 4.05 % and hyperparasitism was 5.41 %. In case of parasitic wasps whose parasitism rate is the highest, the rate of Braconidae and Ichneumonidae was 70.18 % and 29.82 % respectively. That is, the former has much higher parasitism rate. The parasitism rate of the larva of A. rumicis was found that Microplitis sp. is $5.28{\pm}0.63%$, Glyptapanteles liparidis $8.62{\pm}3.70%$, and Diadegma sp. $4.02{\pm}1.28%$ respectively.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Aleiodes (벌목: 고치벌과: 송충살이고치벌아과)속 4종에 대한 보고 (Four New Records of Parasitoid Wasps of Genus Aleiodes (Hymenoptera: Braconidae: Rogadinae) from South Korea)

  • 이경현;손주형;남궁혜반;임종옥;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49-56
    • /
    • 2023
  • 송충살이고치벌아과의 Aleiodes의 미기록종 4종(A. lipwigi, A. guidaae, A. subemarginatus, A. caprinus)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연구에선 종의 동정을 위한 진단, 분포, 삽화 및 DNA 바코드 서열을 제공한다.

생식형불일치 유형에 따른 국내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의 유전적 위치 (Genetic Identity of a Korean Isolate of an Endoparasitoid Cotesia plutellae(Hymenoptera: Braconidae), Among Reproductive Incompatibility Types)

  • 박정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2
    • /
    • 2007
  • 자생밀도의 증가를 위해 도입되는 생물적 방제인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생식형불일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L.))에 대한 효과적 생물적방제 인자로서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Kurdjumov))은 집단 사이에 생식형불일치로 크게 두 생식형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서식하는 특정 프루텔고치벌 집단에 대해서 형태적 및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 지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 국내 집단이 기존에 보고된 두 생식형집단에 비해 형태적 형질과 분자지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프루텔고치벌 집단이 새로운 생식형집단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외래 프루텔고치벌의 도입을 위해서는 국내 자생종과의 생식형불일치 가능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한다.

시설 수박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을 이용한 목화진딧물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otton Aphid by Aphidius colemani(Hymenoptera: Braconidae) in Watermelon Greenhouses)

  • 문형철;김웅;최민경;권성환;신용규;김대향;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9-82
    • /
    • 2011
  • 4월부터 6월까지 수박을 재배하며 콜레마니진디벌을 이용하여 목화진딧물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 방제를 위하여 콜레마니진디벌를 $m^2$당 2마리씩 3회(4월 24일, 5월 8일, 5월 22일) 방사한 결과 목화진딧물 밀도는 잎당 0.6마리 이하로 억제되었고, 최고 기생률은 57.2%이었다, 진딧물 발생엽률은 2.0~10.6% 이었다. 무방사구에서 목화진딧물의 밀도는 5월 초부터 증가하여 5월 29일에는 잎당 653.2마리까지 증가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치벌에 대한 행동 반응으로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용화장소 선택 (Pupation Site Selection Behavior of Plodia interpunctella (Lepidoptera: Pyralidae) in Response to Its Parasitoid, Bracon hebetor (Hymenoptera: Braconidae))

  • 신재협;남영우;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5-222
    • /
    • 2012
  • 화랑곡나방 유충이 자유롭게 수직적 분포를 하도록 허용된 아크릴 실린더(지름 150 mm, 높이 85 mm, 현미 660 g 포함)에서 보리살이나 방고치벌 공격에 대응하는 화랑곡나방 유충의 행동반응을 용화장소 선택행동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없을 때는 화랑곡 나방 유충의 용화가 표층(< 5 mm)에서 이루어졌으나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존재하는 경우 유충은 더 깊은 층에서 용화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 치벌의 기주 탐색은 주로 표층에서(< 5 mm) 이루어 졌으며, 따라서 화랑곡나방 유충은 표층보다 깊은 층에서 용화함으로써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 유충의 용화 장소 선택은 기생자의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행동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유충의 방어 행동은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의 수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알려진 바대로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기주 유충 당 산란 수를 피공격 유충 수에 따라 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도 공격된 화랑곡나방 유충 수가 감소하면서 기주 유충 당 고치벌의 산란 수는 증가하였다.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촉각에 분포하는 감각기의 종류 및 외부미세구조적 특징 (Type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tennal Sensilla on Aphidius colemani (Hymenoptera: Braconidae))

  • 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77-287
    • /
    • 2010
  • Aphidius속(Hymenuptera: Braconidae)에 속하는 일부 종은 주로 생물학적 방제 인자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행동학적 생태에 대하여 연구가 많이 되어있다. 행동에 있어서 신경기관을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촉각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콜레마니진디벌의 암수 성충의 촉각에 분포하는 감각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외부형태를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의 촉각은 염주상(filiform)의 형태로 수컷($1,515.2{\pm}116.5\;{\mu}m$)이 암컷($l,275.1{\pm}103.4\;{\mu}m$)보다 더 길다. 촉각은 촉각근절(radicle), 밑마디(scape), 자루마디(pedicel, 채찍마디(flagellomeres)로 구분된다. 암 수컷의 채찍마디의 수에서 수컷은 15마디, 암컷은 13마디로 차이가 나타났다. 콜레마니진디벌의 촉각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총 7 종류의 감각기 즉; Bohm bristles, Sensilla placodea와 두 가지 타입의 S. coeloconica, S. trichodea, 또 tip pore 또는 wall pores가 있는지 여부에 띠라 두 가지 S. basiconica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에 연구들을 바탕으로 각 감각기들의 기능을 추측해볼 때 Bohm bristles과 S. coeloconica type I & II, S. trichodea 등은 기계적감각을, S. placodea, S. basiconica type I & II는 회학적감각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