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hytherapy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48초

Dosimetry of Brachytherapy Sources: Review of The AAPM TG-43 Formalism

  • Cho, Sang-Hyun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141-143
    • /
    • 2002
  • In 1995,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 Task Group 43 published a report dealing with the dosimetry of interstitial brachytherapy sources, generally known as the TG-43 report. Compared to previously adopted formalisms, a formalism proposed in this report provides a more accurate and systematic brachytherapy dose calculation method, especially for Ir-192 and other low energy gamma sources such as 1-125 and Pd-l03. In this lecture, an overview of the TG-43 formalism will be presented, along with the lecturer's experience in determining the TG-43 parameters by the Monte Carlo method and experimental methods such as TLD and radiochromic film.

  • PDF

두경부암의 근접방사선 치료 (Brachy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류성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
    • /
    • 1991
  • Brachytherapy is a method of radiotherapy in advantage to achieve better local control with minimum radiation toxicity in comparison with external irradiation because radiation dos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inverse square low of gamma-ray emitted from the implanted sourc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rachytherapy are delivering of higher dose to target volume shortening of total treatment period and sparing of normal tissue. Recent development of iridium ribbons for low dose rate implant provides improvement of technology of brachytherapy in terms of safety and efficiency. High dose rate method. on the other hand, is effective to avoid unnecessary expoure of medical personnel.

  • PDF

방사선 이리디움(Ir-192) 근접치료의 임상적 응용 (The Clinical Application of Radioactive Iridium (Ir-192) Brachytherapy)

  • 유성열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8
    • /
    • 1989
  • Brachytherapy is known to be a good modality to achieve local control as a boost treatment following limited external irradiation, which may reduce the external beam related complication particularly in head and neck cancer. The authors developed iridium-192 ribbons recently to replace the radium needles in the field of brachytherapy. Total of 48 cases of head and neck and pelvic-perineal cancer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Ir-192 ribbons during last two years from October 1986 to September 1988,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fabricated sourc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Iridium implant resulted excellent tumor control effect in clinical application. 2. Iridium is superior than radium and cecium in brachytherapy because of easier to use and lesser exposure to the personnel. 3. Afterloading technique is useful to modify dose distribution, to expand treatment site and method, and to develop interstitial hyperthermia.

  • PDF

고선량율 질강 근접조사를 위한 새로운 적용구의 제작 (Design of a New Applicator for High-Dose Rate Vaginal Brachytherapy)

  • 신세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23-128
    • /
    • 2000
  • 본 연구에서 인체공학적으로 개선된 새로운 2-채널 고선량을 근접치료용 적용구(Shin's Applicator)를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단일 선원 근접치료 적용구와 비교하여 질벽에 더 균등한 방사선치료가 가능하고 방광과 직장선량이 적어 근접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감소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 Shin's Applicator는 자궁 경부암이나 자궁 체부암의 수술 후 국소재발이나, 절강에 발생한 다발설 악성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방사선 치료 후 흔히 나타나는 질강의 협착을 예방할 수 있는 질 확장기(vaginal dilator)로도 사용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hin's Applicator는 부인과 종양환자들의 방사선치료 뿐만 아니라 치료 후 삶의 질의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 comparison of preplan MRI and preplan CT-based prostate volume with intraoperative ultrasound-based prostate volume in real-time permanent brachytherapy

  • Park, Hye-Li;Kim, Ja-Young;Lee, Bo-Mi;Chang, Sei-Kyung;Ko, Seung-Young;Kim, Sung-Jun;Park, Dong-Soo;Shin, Hyun-So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99-205
    • /
    • 2011
  • Purpos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intraoperative transrectal ultrasound (iTRUS)-based prostate volume and preplan computed tomography (CT), prepla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based prostate volume to estimate the number of seeds needed for appropriate dose coverage in permanent brachytherapy for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11, among 112 patients who underwent permanent brachytherapy with $^{125}I$, 60 image scans of 56 patients who underwent preplan CT (pCT) or preplan MRI (pMRI) within 2 months before brachytherap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wenty-four cases among 30 cases with pCT and 26 cases among 30 cases with pMRI received neoadjuvant hormone therapy (NHT). In 34 cases, NHT started after acquisition of preplan image. The median duration of NHT after preplan image acquisition was 17 and 21 days for cases with pCT and pMRI, respectively. The prostate volume calculated by different modalities was compared. And retrospective planning with iTRUS image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number of $^{125}I$ seed required to obtain recommended dose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state volume. Results: The mean difference in prostate volume was 9.05 mL between the pCT and iTRUS and 6.84 mL between the pMRI and iTRUS. The prostate volume was roughly overestimated by 1.36 times with pCT and by 1.33 times with pMRI. For 34 cases which received NHT after image acquisition, the prostate volume was roughly overestimated by 1.45 times with pCT and by 1.37 times with pMRI.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replan image-based volume and iTRUS-based volume (p<0.001). The median number of wasted seeds is approximately 13, when the pCT or pMRI volume was accepted without modification to assess the required number of seeds for brachytherapy. Conclusion: pCT-based volume and pMRI-based volume tended to overestimate prostate volume in comparison to iTRUS-based volume. To reduce wasted seeds and cost of the brachytherapy, we should take the volume discrepancy into account when we estimate the number of $^{125}I$ seeds for permanent brachytherapy.

혈관내 방사선치료를 위한 이론적 선원 설계 및 선량적 관점에서의 적합성 연구: 출력변조를 이용한 근접치료에 대한 제안 (Conceptual Source Design and Dosimetric Feasibility Study for Intravascular Treatment: A Proposal for Intensity Modulated Brachytherapy)

  • 김시용;한은영;;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58-166
    • /
    • 2003
  • 목적: 본 연구는 새로운 근접치료선원의 이론적 설계를 통해 출력변조를 이용한 혈관내 방사선치료를 제안한다. 대상 및 방법: 제시된 이론적 선원은 기존의 선원과는 달리 선원물질과 차폐물질(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텅스텐) 둘 다로 구성되며 이는 방위방향으로 비대칭적 방사선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방위방향으로 선원의 방향과 체류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출력변조를 통한 근접치료가 가능해진다. Novoste Beta-Cath system에서 사용하는 Sr-90/Y 전자방출 선원과 유사한 모양의 두 가지 단순화한 선원을 연구의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첫 번째 선원은 선원물질과 차폐물질이 각각 반씩 차지하며, 두 번째 선원은 1/4은 선원물질로, 나머지 3/4은 차폐물질로 구성된다. 두 선원에 대해 방위 및 방사방향으로의 선량분포를 MCNP 몬테 카를로 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선원이 혈관내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게 되는 가상조건에서의 선량 최적화 계산을 시도한 결과, 혈관내벽에 미치는 선량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가 87$\%$에서 7$\%$까지 줄어들 수 있음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론적 선원은 선량적 관점에서의 적합성 여부에 관해 매우 고무적인 결과를 보여 줌으로써 출력변조를 통한 혈관내 근접방사선치료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본 과제의 다음 단계는 굵기가 가는 맥관 내에서 선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그를 방위방향으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방사선 전달 체계의 개발이라 할 수 있다.

근접 치료에서 역방향 치료 계획의 선량분포 계산 가속화 방법 (An Accelerated Approach to Dose Distribution Calculation in Inverse Treatment Planning for Brachytherapy)

  • 조병두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33-640
    • /
    • 2023
  • 최근 근접 치료에서 방사선 차폐막을 사용하여 선량 분포를 변조하여 선량을 전달하는 정적 및 동적 변조 근접 치료 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새로운 방향성 빔 세기 변조 근접 치료에 적합한 역방향 치료 계획 및 치료 계획 최적화 알고리즘에서 선량 계산에 필요한 파라미터 및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세기 변조 근접 치료는 방사선의 정확한 선량 전달이 가능하지만, 파라미터와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선량 계산에 필요한 경과 시간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량 계산 경과 시간의 증가를 줄이기 위해 그래픽 카드 기반의 CUDA 가속 선량 계산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계산 과정의 가속화 방법은 관심 체적의 시스템 행렬 계산 및 선량 계산의 병렬화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모두 인텔(3.7GHz, 6코어) CPU와 단일 NVIDIA GTX 1080ti 그래픽 카드가 장착된 동일한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하였으며, 선량 계산 시간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불러오고 전처리를 위한 작업 등의 추가 적으로 필요한 시간은 제외하고 선량 계산 시간만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속화된 알고리즘은 CPU로만 계산할 때보다 선량 계산 시간이 약 30배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속화된 선량 계산 알고리즘은 적응방사선치료와 같이 매일 변화되는 어플리케이터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새로운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경우나 동적 변조 근접 치료와 같이 선량 계산에 변화되는 파라미터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 치료 계획 수립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관동맥혈관 내 방사선 근접 치료: 치료 방법의 비교와 선택 (Options in Intracoronary Radiation Therapy)

  • 문대혁;오승준;이희경;이병용;김은희;박성욱
    • 대한핵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핵의학회 1999년도 제38차 춘계학술대회
    • /
    • pp.209-221
    • /
    • 1999
  • Coronary restenosis is still regarded as Achilles' Hill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despite relentless efforts of many investigators. Recent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both gamma and beta radiation can reduce restenosis after angioplasty. Currently, intracoronary brachy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restenosis has become a new evolving treatment modality in interventional cardiology. This report discusses a physical aspect of gamma and beta radiation, initial clinical results and delivery systems used in intracoronary brachytherapy. We shall take a brief overview of methods and their advantages in intra-coronary brachytherapy. Future work should provide further insight for the best way of treating resten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