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

검색결과 2,129건 처리시간 0.03초

기포 펌프를 적용한 흡수식 열펌프용 고온 재생기의 작동 특성 실험 (Experiments on a Regenerator with Thermosyphon for Absorption Heat Pumps)

  • 박찬우;정종수;남평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63-472
    • /
    • 1996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regenerator with a thermo-syphon pump and a surface-flame burner for a lithium bromide (LiBr)-water absorption heat pump. A cylindrical-shape metal-fiber burner and commercial grade propane were used. The emission of carbon monoxide and nitric oxide was measured by a combustion gas analyzer. Ther regeneration rate of water vapor as a refrigerant was measured. It could be as a reference value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regenerator. The circulation rate of the LiBr-water solution was also measured from both the tanks for the weak-and the strong-solution. Using a refractometer, the LiBr concetration in the solution was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refractory index of the solution. Temperature of the solution and the condensed water was recorded at several points in the experimental apparatus with thermocouples, using a personal computer. This data collecting system for measuring temperature was calibrated with a set of standard thermometers. The generating rate of water vapor as refrigerant increased linearly with heat supplied. It was about 4.0g/s with the heat supplied at a rate of 16,500kcal/h. The circulation rate of LiBr solution also increases with the heat supplied. The difference in LiBr concentrations between the weak and the strong solution was in the range of 1 to 5%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trong solution was about 60%. It was dependent upon both the heat supplied and the circulation rate of the solution. The initial concentration and the level of the LiBr solution in the regenerator were measured and recorded before experiments. The effect of them on the generating rate of water vapor and the circulation rate of the solution was also studied. The generating rate of water vapor was not strongly dependent upon both the level of the LiBr solution and the initial LiBr concentration. However,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of the solution increases with the initial level of the LiBr solution.

  • PDF

cis-Diamminedichloroplatinum(II)에 의한 pBR322 DNA의 변성과 구조 변화 (cis-Diamminedichloroplatinum (II) induces denaturation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pBR322 DNA)

  • 구자춘;임창수;한태룡;양재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43-348
    • /
    • 1990
  • CDDP를 처리한 pBR322 DNA로 형질변환된 대장균 LE392를 ampicillin이 포함된 한천평판배지위에 도말시켰다. Ampicillin을 함유하고 있는 평판배지위에 형성된 집락수는 13.3 ${\mu}M$의 CDDP를 처리한 뒤에는 검출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하였다. CDDP를 처리한 pBR322 DNA는 외가닥 DNA에 특이성이 있는 S1 핵산분해호소에 의해 전달되었고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상에서 이동 유형이 변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CDDP가 pBR322 DNA에 반응하여 이증나선의 변성과 궁극적으로는 ampicillin 저항성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구조변화를 일으키는 것 같다.

  • PDF

Lithium Bromide 수용액중에서 연신된 견의 구조와 물성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lk Fiber Stretched in Aqueous Solution of LiBr)

  • 김동건;최진협;소서효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3-38
    • /
    • 1995
  • 견 fibroin을 8M LiBr 수용액에 침지하여 연신처리에 의한 견의 구조와 물성변화를 시험해 보았다. 1. 연사의 역학적 성질은 8M LiBr 수용액의 처리온도 상승에 따라서 강도와 신도는 증가하나 Young's율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8$0^{\circ}C$ 처리의 X선회절에 있어서는 염축에 의해 분자배향은 흐트러지나 SilkII형의 결정구조는 변하지 않았다. 2. 8M LiBr수용액을 사용하여 8$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면 160%정도 연신이 가능하며 고연신시의 역학적 성질에 있어서는 강도와 Young's율은 증가하고 신도는 감소하였으나 X선회절에서는 연신율의 증가와 함께 결정이 고배향화되는 경향이었다. 3. DSC의 시차열 Thermogram에서 무처리의 연사와 8M LiBr 수용액에 처리되어진 미연신의 연사사이에는 열분해거동이 다른 것이 관찰되었으며 열분해 최대 Peak점의 온도는 연신율의 증가에 따라 조금씩 고온쪽으로 이동함으로써 X선회절사진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 PDF

티크의 기내 줄기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in teak (Tectona grandis L.))

  • 이나념;김지아;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9
  • 본 연구는 티크의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ight-emitting diode (LED)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티크의 정아 절편체의 줄기 신장은 LED 혼합광(BR, 50% 청색광 + 50% 적색광) 하에서 DKW 배지 배양 시 3.2 cm로 가장 좋았고, 줄기유도는 광원 및 배지(MS 및 DKW)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A 농도 처리 시 최대 줄기 유도는 BR 광원 및 1.0 mg/L 처리구에서 2.4개, 최대 줄기 신장은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4.94 cm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영향하는 IBA 농도 효과는 정아 절편체를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배양 시 최대 발근율(93.8%)과 최대 뿌리 길이 신장(1.3 cm)을 보였고, 뿌리 수는 0.2 mg/L (3.1개/절편)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근 식물체는 상토로 이식 후 순화 과정을 거쳐 정상적은 생장을 보였다.

폴리우레탄 절연전선도료 제조시 TDI와 MDI의 Blocking 반응에 미치는 여러가지 반응조건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Various Reaction Conditions on the Blocking Reactions of TDI and MDI in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 Varnishes)

  • 권석기;박내정;남윤기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308-314
    • /
    • 1997
  • 폴리우레탄 전선도료 제조시의 TDI와 MDI의 blocking 반응에 미치는 촉매와 blocking reagents(BR)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4-diazabicyclo[2.2.2]octane(DABCO)와 tetramethyl guanidine(TMG)와 같은 촉매들은 NCO의 blocking 반응을 완결시키는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MG는 DABCO에 비해 매우 빠른 반응속도를 보였다. TMG의 농도는 1%까지 반응도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비례하였다. DABCO의 경우는 0.25%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반응도를 나타내었다. BR의 입체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henol, p-cresol, m-cresol, o-cresol, 2,4-xylenol과 같은 BR 등을 사용하였다. 예측한대로 입체장애가 적은 BR이 높은 반응도를 보였다. 또한 이 반응 시스템에서는 온도와 BR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도가 증가하였다.

  • PDF

방사화분석법에 의한 식물 중의 Br, As, Hg, Se의 정량 (Determination of Bromine, Arsenic, Mercury, and Selenium in Plant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전세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44-149
    • /
    • 1971
  • 폐암과 담배와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게된 후, 독성원소(As, Se, Hg, Br)는 발암성 물질로서 문제화되고 있다. 특히 Se은 담배와 그 종이에도 함유되고 있음이 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 무기화합물은 극히 유독하여 폐암의 원인이 되고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그러나 이 독성원소(As, Se, Hg, Br)는 극미량이 있음으로 방사화분석으로 정량하는 것이 효과적일 줄 믿고 실험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산 및 외국제(미국산, 일본산)의 담배를 시료로 수집하여 건조한 것을 vial에 넣고 열중성자속 $3.8{\times}10^{12}n/cm\;sec$에 15시간 조사하였다. 이 시료를 Bethge 장치로 분해시켜, 수은, 비소, Br을 증류하여 TMC 100 channel pulse height analyzer로 측정 하였다. Se 분석은 $^{77m}Se\;18$초의 핵종을 이용하여 비 파괴분석하였다. 국산담배에서는 Br $5.9{\sim}8.4\;ppm$, As $0.49{\sim}0.79\;ppm,\;Hg\;0.53{\sim}0.95\;ppm,Se\;0.92{\sim}1.45\;ppm$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을 외산담배와 Br, As, Hg, Se 함량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한다.

  • PDF

NR, SBR, BR 가황물의 원형 변형으로부터의 회복 거동 (Recovery Behaviors of NR, SBR and BR Vulcanizates from Circular Deformation)

  • 장중희;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4호
    • /
    • pp.442-446
    • /
    • 2009
  • 충전제의 영향을 막기 위해 비보강 NR, BR, SBR 고무 가황물을 원형 변형시켜 노화시킨 후 회복 거동을 비교하였다. 시료는 상온, 50, 70, $90^{\circ}C$에서 10일간 노화시켰다. 측정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회복률은 증가하였다. 노화 후 측정 시간에 따른 회복률의 변화로부터 1.0 초 미만의 순간회복률을 구하였다. 상온 노화에서는 노화 기간이 짧아 고무 간의 회복률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50, 70, $90^{\circ}C$에서의 가속 노화 실험 결과에서는 각 고무 간의 회복률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BR의 회복률이 가장 우수하였고, SBR의 회복률이 가장 적었다. 그러나 $90^{\circ}C$ 가속 노화 에서는 NR의 회복률이 BR보다 높게 나타났다. 노화 온도가 높아 질수록 초기 회복률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 폭은 SBR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는 고무의 반발 특성과 노화에 의한 가교밀도 변화로 설명하였다.

실리카-커플링제-고무의 화학 결합 형성과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and Formation of Chemical Bonds of Silica-Coupling Agent-Rubber)

  • 고은아;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239-244
    • /
    • 2014
  •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카와 실란커플링제의 반응을 투과 방식 휴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과 열중량 분석법(TGA)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실란커플링제로 bis[3-(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TESPT)를 사용하였다. 미반응 TESPT를 제거한 후, FTIR로 화학 결합 형성을 분석하였고 TGA로 반응한 TESPT 함량을 결정하였다. 커플링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실리카에 결합한 커플링제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커플링제를 과량으로 첨가하면 커플링제 간의 축합반응에 의해 올리고머를 형성하였다. 실리카와 커플링제 그리고 고무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질 실리카와 저분자량 액상 BR을 반응시켜 실리카-커플링제-BR 모델 복합체를 제조하여 화학 결합 형성을 조사하였다. 미반응 고무는 용매를 사용하여 제거하였고 FTIR과 TGA로 분석하였다. BR은 개질 실리카의 커플링제와 반응하여 화학 결합을 형성하였다. 실리카-커플링제-BR의 화학 결합 형성으로 인해 실리카 표면의 극성은 크게 낮아졌고 실리카 입자 크기는 커지는 효과를 보였다.

Protective Effect of Aster tataricus L. Extract on the Dermal Cytotoxicity Induced by Sodium Bromate, Oxidant of Hair Dye

  • Chung, Jung-Hwa;Lee, Gyoung-Wan;Seo, Young-Mi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8-356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dermal cytotoxicity of sodium bromate (NaBrO3)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Aster tataricus L. (AT) extract against NaBrO3-induced cytotoxicity in the cultured NIH3T3 fibroblasts. For this study, it was done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electron donating (ED)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LP) activity as well as cell viability. NaBrO3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its XTT50 value was measured at a concentration of 54.4 μM in these cultures. The cytotoxicity of NaBrO3 was determined as highly-toxic by Borenfreund and Puerner's toxic criteria. The quercetin, antioxida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against NaBrO3-induced cytotoxicity. Regarding the protective effect of Aster tataricus (AT) L. extract on NaBrO3-induced cytotoxicity, AT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the ED ability and the inhibitory ability of LP. From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at the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cytotoxicity of NaBrO3, and AT extract effectively protected NaBrO3-induced cytotoxicity by antioxidative effects. Conclusively, the natural component like AT extract may be a putative therapeutic agent for the diminution or treatment of the cytotoxicity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like hair dye component, NaBrO3.

불포화 고무와 포화 고무의 공가류 및 내오존성 (Covulcanization and Ozone resistance for Unsaturated and Saturated Rubbers)

  • 임원우;정일택;한민현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32-38
    • /
    • 2001
  • 본 실험에서는 공가류와 내오존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무 조성비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사용한 시편은 NR, SBR, BR, IIR 및 EPDM을 다양한 비율로 블렌딩 한 고무 조성물(시편 A), NR/BR/SBR로 구성된 불포화 고무 조성물(시편B)와 NR/IIR/EPDM로 구성된 포화 고무 조성물(시편C)이다. 시편A와 시편B, 시편A와 시편C를 각각 공가류시켜 PAD 접착 시편을 제작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편A에 대해서 내오존성을 평가하였다. 시편 A의 불포화 고무 조성중(NR/BR Blend)에 BR보다 NR의 비율이 높을수록 시편B와 시편C와의 접착 강도가 높았고, 또다른 불포화 고무 조성(NR/SBR)에서는 NR보다 SBR 함량이 높을수록 접착 강도는 높았다. 또한 시편A의 조성중에서 NR/BR/IIR/EPDM 조성물 보다 NR/SBR/IIR/EPDM 조성물이 접착성이 우수하였다. 고무 조성중 불포화 고무가 많을수록 접착 강도는 우수하였으나, 내오존성은 다소 열세였다. 불포화 고무와 포화 고무의 비율이 60/40 정도 일 때 접착 강도와 내오존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