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wman's lay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발생과정에 따른 흰쥐 각막의 상피층 및 실질층의 미세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n Ultrastructural Changes of Rat Corneal Epithelium and Stromal layer in Developmental Process)

  • 김인숙;김진숙;전진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491-502
    • /
    • 1998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s in rat cornea. Sixty eyes from one-day-old uneyed rats, fourty eyes from 4-weeks-old rats, and foully eyes from 10-weeks-old adult rats were used. With the increase of age, the epithelial layer was thickened by the addition of new successive cellular layers. Then, the new-born rat's epithelial cells formed a pentagonal shape, and the quality of decidual cells showed a high electron-density, although the boundary between cells was distinctive. The newly produced cells showed a low electron-density so that there was the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light and darkness. In Bowman's layer, collagen fibrils demonstrate a regularly arranged structure along with the age. In stroma's layer, the density of keratocytes was decreased and thereby Progressively flattened during the development. The collagenous layer of the adult rats was more distinctive than that of the new-born rats in a form of parallel alignment runn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 PDF

Interspecies comparative morphological evaluation of the corneal epithelial stem cell niche: a pilot observational study

  • Popova, Petya;Malalana, Fernando;Biddolph, Simon;Ramos, Tiago;Parekh, Mohit;Chantrey, Julian;Ahmad, Sajjad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4호
    • /
    • pp.62.1-62.10
    • /
    • 2022
  • Background: The corneal and limbal morphology relevant to corneal epithelial maintenance in ten different species was examined using histological methods. Objectives: The presence of a Bowman's layer, limbal epithelial cell, and superficial stromal morphology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specie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corneal thickness and epithelium: Java sparrows, frogs, macaws, spoonbills, red pandas, penguins, horses, Dobermans, orangutans, and humans. Methods: Corneal sections (4 ㎛) were obtained from ten ocular globes from three different animal classes: Aves, Amphibia, and Mammalia. All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periodic acid-Schiff reaction. After microscopy, all stained slides were photographed and analyzed. Results: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e corneal and limbal epithelia and their underlying stroma between species were observed. The number of corneal epithelial cell layers and the overall corneal epithelial thickness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species. The presence of a Bowman's layer was only observed in primates (orangutans and humans). Presumed supranuclear melanin caps were noted in four species (orangutans, macaws, red pandas, and horses) in the limbal basal epithelial layer (putative site of corneal epithelial stem cells). The melanin granules covered the apex of the cell nucleus. Conclusions: Supranuclear melanin capping has been described as a process within the epidermis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ultraviolet-induced DNA photoproducts. Similarly, there may be a relationship between limbal stem cell melanin capping as a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Triton WR-1339 주사에 의한 고지혈증 유발 생쥐 신장에 미치는 참홑파래 추출물의 지방축적 억제 영향 (The Lipid Accumulation Suppressive Effect of Monostroma nitidum In kidney of Murine with hyperlipidemia induced by Triton WR-1339)

  • 박인식;안상현;최난희;김진택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87-98
    • /
    • 1998
  • 본 실험은 참흩파래 추출물의 항고지혈증 효과의 조사를 위해 시행된 것으로 ICR 생쥐에Triton WR-1339(TX) 복강주사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참흩파래 추출물(30mg/kg)를 복강주사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신장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와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입자 축적양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TX 주사 후 신장조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형태변화는 콩팥소체의 혈관극과 요세관극 모두에서 단층편평상피인 보우만주머니의 외벽이 비후되어 단층입방상피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요세관 공간도 확장되었다. 지방입자는 사구체 전지역, 근위곱슬세관, 원위곱슬세관 그리고 헨레고리에서 침착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입자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입자도 전 지역에서 월등하게 증가한 분포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TX 주사 후 참흩파래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보우만주머니 외벽세포의 비후와 요세관공간의 확장을 일부 콩팥소체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은 정상적인 신장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방입자는 TX 주사군에 비해 그 분포와 크기가 감소한 것 나타났으며. 또한 콜레스테롤입자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 그 분포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흩파래 추출물은 TX 주사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생쥐에 대해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항고지혈증 효과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생 흰쥐와 성숙 흰쥐 각막의 미세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n Ultrastructral changes of the new-born rats and adult rat's cornea)

  • 김대년;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3-101
    • /
    • 1998
  • 본 연구는 발생과정에 따른 흰쥐 각막의 변화를 주사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생후 1일된 안검이 개검되지 않은 흰쥐의 각막 60안, 생후 10주된 성체 흰쥐의 각막 40안을 적출하여 각막의 변화를 비교 연구 하였다. 연령증가에 따라 각막의 미세구조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각막의 상피는 오각형의 모양이며, 세포간 경계는 분명하였으나 성장할수록 탈락세포는 짙은 전자밀도를 나타냈으며, 새로 생성된 세포는 밝은 전자밀도를 나타내어 명암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보우만층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콜라겐섬유가 불균질한 구조에서 균질한 구조로 변화하였다. 실질층의 각막세포는 세포 소기관의 밀도가 성체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콜라겐층은 연령증가에 따라 종횡으로 평행배열을 나타내었다. 데스멧층은 성체로 갈수록 "banded layer"에서 "non-banded layer"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층의 두께가 현저히 두꺼워진것이 관찰되었다. 내피층은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체로 갈수록 내피 세포수는 감소하는 반면 감소된 세포수의 자리는 세포 크기가 확대됨으로써 보상되었다.

  • PDF

Triton WR-1339에 의한 고콜레스테롤증 유발시 해조류 김 추출물의 신장내 콜레스테롤 축적 감소효과 (The cholesterol Accumulation decreasing effect of Porpbyra yezoensis extract in kidney of Murine with hypercholesterolemia induced by Triton WR-1339)

  • 박인식;안상현;정재만;김진택;김호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43-51
    • /
    • 1998
  • 본 실험은 김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증 유발시 발생되는 신장내의 과도한 콜레스테롤 축적에 대한 감소효과의 조사를 위해 ICR 생쥐에 Triton WR-1339(TX) 복강주사로 인위적인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김 추출물(30mg/kg)을 복강주사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신장조직에서의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입자의 축적양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TX 주사로 고콜레스테롤증 유발시 신장조직 전지역, 즉 사구체, 근위곱슬세관, 원위곱슬세관 그리고 헨레고리에서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입자의 축적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콜레스테롤증시 나타나는 신장내의 일련의 변화는 김 추출물 처리후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입자의 축적이 신장조직 전 지역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TX 주사후 48시간에서 가장 잘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해조류 김 추출물은 고콜레스증 유발된 신장내의 과도한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항고콜레스테롤증 효과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